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가피암 일정스님의 생활 불교 이야기, 불교에서는 인간의 삶과 존재를 여섯 가지 세계로 구분합니다.이를 육도六道라 하며, 각각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아수라阿修羅, 인간人間, 천상天上의 세계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육도는 단지 내세의 길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경험하는 감정과 상태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지옥은 분노와 고통에 휩싸인 마음, 아귀는 끝없는 욕망과 허기, 축생은 어리석음과 본능에만 이끌리는 상태, 아수라는 질투와 다툼, 인간은 고통과 기쁨이 교차하는 현실로서 천상은 쾌락 속에 무상함을 잊고 살아가는 삶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육도는 우리 가족 모두가 살아가는 감정의 지도이자 삶의 거울입니다.

지장보살, 가장 낮은 곳을 먼저 찾아가는 보살로서 불교의 위대한 보살 중 한 분인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이 육도 중에서도 가장 고통이 극심한 지옥 중생을 먼저 구제하겠다는 큰 서원誓願을 세우신 분입니다.
“지옥이 텅 빌 때까지 나는 열반에 들지 않겠다.” “모든 중생이 성불하기 전에는 나 홀로 성불하지 않겠다.” 이 원력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누구도 외면하지 않겠다는 책임의 자비, 고통의 한가운데로 기꺼이 내려가겠다는 다짐의 실천입니다. 지장보살은 가장 외로운 이, 가장 고통받는 이, 가장 먼저 손 내밀기 어려운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다가가는 존재입니다.

가족 안의 육도, 그리고 가족 안의 보살이란, 현대의 가정 안에서도 우리는 육도의 다양한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말을 잃은 아이는 마음의 지옥에 갇혀 있고, 바쁜 일상에 지친 부모는 아수라의 전쟁터에서 살며, 소외된 어르신의 마음은 허기진 아귀의 세계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화려한 설법이나 책이 아닙니다. 바로 지장보살처럼 조용히, 깊이, 곁에 있어주는 따뜻한 마음입니다. “괜찮니?”, “도와줄까?”, “네가 오늘 힘들었을 것 같아.” 이런 말 한마디가 지옥을 녹이고, 천상을 비추는 자비의 시작이 됩니다.
우리 가족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지장보살행'이란 지장보살의 서원을 가족 안에서 실천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일상의 작고 따뜻한 실천이 보살행이 됩니다.
1. ‘마음 관찰 일기’ 써보기, 하루를 돌아보며 내 마음은 어디에 있었는지 되새깁니다. 지옥·아귀·아수라·천상 등의 감정 상태를 알아차리며, 나의 ‘육도’를 자각합니다.
2. ‘보살의 말 한마디’ 실천하기, 하루에 한 번, 가족에게 마음을 열어주는 말을 건넵니다. “고마워.” “요즘 네가 신경 쓰여.” “네가 있어서 다행이야.” 이 말들이 곧 보살의 혀舌, 보살의 눈眼이 됩니다.
3. ‘가족 회향 시간’ 만들기, 한 주에 한 번, 가족이 모여 서로를 위한 기도를 해봅니다. “이번 주 가장 마음이 힘들었던 사람을 위해 함께 염불합니다.” 이 시간이 바로 가정 안의 지장도량地藏道場이 됩니다.
우리가 지장보살을 믿는다는 것은, 단지 그분께 복을 구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그분의 서원을 내 삶에 실천하겠다는 다짐입니다. 지옥을 외면하지 않는 보살처럼, 우리도 가족의 괴로움을 돌아보고, 먼저 손 내밀 줄 아는 ‘마음의 보살’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우리 가족 모두가 지장보살처럼 서로를 돌보고, 서로의 괴로움을 품어 안으며작은 불국토를 이루어가는 하루가 되길 기원합니다.
나무 본원 지장보살 마하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