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9 (수)

  • 맑음동두천 23.3℃
  • 맑음강릉 27.8℃
  • 구름많음서울 24.9℃
  • 구름많음대전 23.9℃
  • 구름많음대구 25.4℃
  • 구름많음울산 26.9℃
  • 흐림광주 23.3℃
  • 구름많음부산 25.9℃
  • 구름많음고창 21.0℃
  • 구름조금제주 24.6℃
  • 구름조금강화 21.5℃
  • 구름조금보은 21.7℃
  • 구름조금금산 21.3℃
  • 구름많음강진군 21.4℃
  • 구름조금경주시 25.4℃
  • 구름많음거제 24.2℃
기상청 제공

문화재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21세기 실학포럼 ’실학정신과 지역창업‘ 개최

정약용의 사상을 조명하고 동시대의 실천적 가치를 재해석하는 실학 포럼 개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경기도와 (재)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에서 주최한 경기실학(京畿實學)의 진흥 및 대중화를 위한 사업 “2024 신(新) 경세유표 기회의경기 강진순례” 사업의 주요 행사인 ’사색의 길 걷기‘와 ’실학포럼‘이 6월 10일 개최됐다.
 

 

오전 일정으로 백련사에서 다산초당까지 ’사색의 길 걷기‘를 진행했다. 이 곳은 유배객 정약용과 혜장스님간에 이루어졌던 유교와 불교를 넘나드는 교유의 공간이다. 행사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참여하여 강진 순례 참가자를 격려했다. 이 자리에서 김지사는 “저는 지난 대선 출마를 앞두고 강진을 방문했고, 지사로 취임한 후 남양주 정약용 선생의 묘소를 참배하기도 했습니다. 다산 선생은 조선의 잘못된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경세유표'를 쓰셨습니다. 저는 오늘날 현실 문제의 개혁을 위해 '신(新) 경세유표'를 실천하려 합니다. 오늘 강진 순례에 참가하신 청년분들은 다산의 위대한 실학 정신을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기원합니다.”라고 했다.

 

오후에는 경기도와 전남 강진군 청년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포럼을 진행했다. 포럼에는 지역 청년 사업가 4명의 사례발표와 종합발언, 라운드테이블 등을 진행했는데, 오늘날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소멸, 청년실업과 창업 등에 대한 실용적 해법과 경험을 나누기 위해 기획된 자리였다.

 

좌장인 한종호 소풍벤처스 이사의 기조발언을 시작으로 실학 포럼을 시작했다. 총 4편의 사례발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예원(일공일오 대표)은 경기도의 사회적 기업(일자리 제공형) 대표이며, 자신의 경험을 ’세바시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에 출연하여 ’안 되면 되게 하라‘라는 주제로 공유하기도 했다. 발표는 경력 단절 여성 등 사회적 약자가 함께 하는 일터, 더불어 살아가는 삶터를 주제로 했다. ① 나를 성장시키는 회사, 내가 일하기 좋은 회사 만드는 방법 ② 지역과 하나 된 브랜드 만들기, ③ 지속 가능한 일터 만들기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발표했다.

 

임미려(DMZ숲 대표)는 다산 정약용의 실학 정신에 대한 이해 위에서 DMZ의 미래 해법을 연계하여 제시했다. 발표는 청년과 여성이 주체가 된 DMZ 보전·개발을 주제로, 청년들이 모여서 DMZ의 절대적인 보전과 무분별한 개발의 양극단을 조화롭게 융합하고, 접경지역의 미래를 끌어 나갔던 실천 사례와 미래 전망을 이야기로 풀어냈다. 오늘날 MZ세대의 실리적 가치 추구 경향은 실생활에서 동시대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했던 실학자의 접근방식과 방향을 같이하고 있다고 발표를 마무리했다.

 

장성현(강진청년협동조합 편들 대표)은 전남의 무형문화재 천연염색을 활용하여 농촌지역에서 청년살이 해법을 제시했다. 오늘날 농촌 인구 감소라는 현시대적 문제에 대한 귀농 청년들의 실천 사례이다. 내용은 ① 지역으로의 청년 인구 유입 정책 개선 방향 ② 인구 소멸 지역 간의 제로섬 게임 ③ 행정구역간의 연계 ④ 청년들에게 전하는 말을 본인의 경력과 경험을 발표했다. 그의 농촌 정착기는 성공 사례로 ’청년들이 돌아왔다, 시골마을에 활력이 솟았다‘(전남일보) 등 언론과 방송에도 소개된 바 있다.

 

하지수(여수와 대표)는 전남 여수에서 지역 자원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공정여행 상품을 개발한 사례를 발표했다. 청년들과 경력 단절 여성이 함께하며 경험 공유, 정보 공유, 실패 공유를 통해 지역 상생 창업을 실천하며 지역에서의 지속적 삶을 가꾸어 나간 경험을 공유했다.

 

발표가 끝난 후에는 강경환(로컬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진행으로 라운드테이블이 꾸려졌으며, 다산연구소 김태희 대표와 발표자·참가자들이 함께 포럼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논의하며 각자 가진 생각들을 풀어내는 시간을 가졌다.

 

김태희(다산연구소 대표)는 종합발언에서 ’실학 정신과 지역창업’을 통해 실학과 창업의 연결고리를 찾고 이를 재해석했다. 특히, 실학과 창업 사이에 존재하는 '문제 해결'과 '리더십'이라는 공통점을 찾고, 국가(제도)적 차원의 실학이 크게 보면 '오늘 여기, 나와 우리'를 강조하는 점에서 지역창업과 통한다는 점을 조명했다.

 

좌장을 맡은 한종호(소풍벤처스 이사)는 마무리 발언에서 “이번 포럼은 단순히 지역 창업가들의 흔한 성공담을 나눈 것이 아니라, 지역민으로서 우리 지역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고민 속에서 창업이라는 해답을 내놓은 발표자들의 관점이, 사실은 실학자들의 관점과 닮아 있었음을 알게 됐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이번 포럼은 다산 정약용의 자취가 깃든 강진에서 사회적 기업의 실천 사례를 공유했던 뜻깊은 행사였다.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라는 지역 공간을 ’희망의 공간‘으로 경영했고, 지식의 공유와 경험의 공유를 통해 사람들에게 미래를 제시했다. 다산의 행적을 돌이켜보며 진행된 포럼은 시간을 뛰어넘는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