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지난 13일 천년고찰 동사에서는 하남시장애인복지관에 쌀 10kg 50포대를 후원하고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전달식에는 천년고찰 동사 상우 주지스님, 하남시장애인복지관 민복기 관장 등을 비롯한 신자분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대한불교조계종 천년고찰 동사는 하남시 춘궁동에 위치한 사찰로 하남동사지오층석탑과 하남동사지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천년고찰 동사 상우 주지스님은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뜻깊은 후원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쁘고 앞으로도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하남시장애인복지관 민복기 관장은 “지난 해에 이어 올 해도 따뜻한 후원을 베풀어주신 상우 주지스님과 신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따뜻한 마음으로 후원해주신 쌀은 장애인 이용자분들에게 잘 전달하겠다.”라고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금산군 남이면 소재 대한불교 조계종 보석사는 지난 7일 어려운 다문화가정을 위해 써달라며 금산군가족센터를 방문해 총 210만 원 상당 백미(40포), 라면(30박스)를 기탁했다. 이 중 50만 원 상당의 라면은 임예순 보석사신도회장이 마련했다. 기탁받은 백미와 라면은 문화‧언어 등 차이로 한국문화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다문화가정 60곳에 전달할 예정이다. 장곡 스님은 “신도들과 함께 모은 작은 나눔이 외롭고 힘들게 보낼 다문화 가정에 위로가 되고 힘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예순 회장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몸도 마음도 따뜻한 설 명절이 되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군 관계자는 “어려운 다문화가정을 위해 기탁에 참여해 주신 보석사 장곡 스님과 임예순 신도회장님께 감사드린다”며 “따뜻한 마음이 담긴 기탁품이 어려운 다문화 가정들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갑진년 청용의 해 지난 1월 1일 재단법인 용문선원 청운 이춘섭 이사장은 청룡해를 맞이하여 양평군 지평면에 지장성전을 개원한다고 밝혔다. 청운 국사는 용문선원 개원에 앞서 삼대 목표로 사상화합, 인류화합, 생사화합을 실행하고 지장 전 7개 단지 조성 사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용문선원은 우주 사상문화원 설립을 비롯한 학술·교육·출판·강연·홍보 등 세계종교문화 단지 조성과 함께 세계 5대 성인 기념관건립, 지장 성전에 김교각 스님 등신불 황금 대불과 기념관을 건립하고, 주요 불교국가 기념관을 비롯한 지장선원에 수행 전문 도량 수행자와 일반 수행자의 선원을 개원하고 지장선원에 난치병 자연치유를 위한 힐링명상센타와 지장추모공원 등을 건립할 계획이다. 지장경地藏經이란 지장 신앙 소의 경전의 하나로 원래 이름은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이다. 이 경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도리천忉利天에서 어머니 마야부인을 위해 설법한 내용을 모은 것으로서 여기에는 지장보살의 전생에 관한 이야기와 자신의 성불成佛은 뒤로 미루면서 지옥에서 온갖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들을 먼저 구제하기 위해 지장 보살이 세운 큰 서원을 13품으로 나누어 설하고 계시다. 지장보살은 석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화재로 집을 잃은 이웃을 위해 완주군 운주면의 안심사 주지 일연스님이 50만 원을 기탁했다. 3일 운주면에 따르면 일연스님은 최근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원완창 마을 화재 소식을 뒤늦게 들어 조속히 돕지 못해 미안하다”며 “주택 마련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위로의 말과 성금을 전했다. 안심사 주지 일연스님은 1965년에 출가해 현재 안심사에서 정진하고 있으며, 운주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으로 평소 관내 취약계층을 위해 백미를 기탁하는 등 나눔에 솔선수범하고 있다. 안심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의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로, 2005년 보물로 지정된 안심사 금강계단, 198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안심사 사적비 등이 있다. 박정수 운주면장은 “안심사 주지 일연스님의 꾸준한 나눔에 감사드리며, 기탁금이 화재민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1월 12일 원완창 마을의 한 가구가 화목보일러의 불씨로 화재가 발생해 주택이 전소했다. 피해 가정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한 운주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모금 활동을 벌여 400여만 원을 전달하기도 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임정사(주지 성우)는 12월 18일 성주읍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관내 어려운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이웃돕기성금 100만원을 기탁했다. 임정사는 매년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성금을 기탁하고 있으며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성우 주지스님은 “부처님의 자비 정신을 바탕으로 신도들이 정성을 모았다.” 며 “우리 주위의 어려운 이웃들에게 부처님의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길 바란다.”고 성금 전달의 뜻을 전했다. 배해석 성주읍장은 “매년 귀중한 성금을 기탁해 주신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하고, 스님의 바람과 같이 어려운 분들이 따뜻하게 겨울을 나도록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임정사는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소재한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전통사찰로 조선시대 고종27년(1890년) 우산당 상진 스님이 창건했으며, 고단한 삶과 과도한 경쟁 분위기로 인하여 힘겨워하는 현대인들의 마음 수양을 위한 안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청도군 청도읍 평양리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대감사에서 지난 15일 어려운 저소득가구를 위해 라면 200박스(시가 580만 원 상당)를 청도읍사무소에 전달했다. 2014년부터 한해도 빠짐없이 부처의 자비와 온정으로, 물품을 기탁해 오고 있는 대감사는 지역사회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기탁받은 라면 200박스는 청도읍 저소득가구에게 전달될 예정이며, 대감사 회주 설우스님은 “연말연시 외롭고 힘들게 사는 저소득가구에 물품이 잘 전달되어, 올 겨울을 따뜻하고 건강하게 잘 보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용부 청도읍장은 “매년 대감사에서 따뜻한 애정과 자비로 저소득가구에게 많은 물품을 기탁해 주셔서 늘 감사드리며, 따뜻한 마음을 담아 저소득가구에 물품을 잘 전달하여 살기좋은 복지청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감사의 박수를 보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남양주시 진건읍에 소재한 대한불교조계종 명덕사 주지 우정방생스님은 25일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후원금 1천만 원을 남양주시복지재단에 전달했다. 이날 전달된 후원금은 남양주시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양한 복지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명덕사 우정방생스님은 “이번 후원이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지역의 이웃들에게 봄날의 햇살처럼 따뜻한 위로가 됐으면 좋겠다.”라며 “앞으로도 명덕사는 멈추지 않고 나눔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남양주시의 취약계층을 위해 꾸준히 나눔에 동참해 주시는 우정방생스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시에서도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복지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남양주시복지재단 심우만 대표이사는 “명덕사 우정방생스님의 후원이 어려운 이웃에게 큰 위로와 힘이 될 것”이라며 “전해 주신 소중한 후원금은 보호 종료 아동, 어르신, 어린이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돕는 데 사용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명덕사 우정방생스님은 지난 30여 년간 ‘종교보다 일체중생 인간 방생이 먼저다’라는 자비 정신으로, 독거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밀양 삼봉사 주지 녹원스님 우리들 인간에게는 오관(五官)이라는 것이 있다.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에 자기보존을 유지하는 의(意)이다. 또한 지정의(知情意)가 포함된 오관을 흔히 육근(六根)이라고도 하며, 우리 불가(佛家)에서는 고(苦)의 원인이라고 한다…. 그러나 오관이라는 것은 육체를 보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빼어놓을 수가 없다. 눈과 코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만물을 보지 못하면 고행도 자유롭지 못하고, 냄새도 맡을 수가 없으며 호흡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오관이 의(意)에 결부되어 있기에 문제들이 따른다…. 인간은 이 오관과 육근이 있기에 생명을 유지하고 살아갈 수 있으며 무한히 향상하고 발전해 가지만, 또한 이것이 있으므로 문제가 생긴다. 즉 괴로움이다. 바로 생(生) 노(老) 병(病) 사(死)가 그것이다. 또 인간은 한없는 욕망의 동물이기 때문에, 남보다 더 잘 살아야 하고 더 오래 살아야 하고 부자로 살아야 하고 권세와 명예를 가져야 하고 더 아름다운 처첩을 거느려야 하고, 똑똑한 자녀를 두어야 하고 또 재주도 있어야 하고, 보람 있고 명분 있는 일들을 내가 해야 하는데 만약 이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나는 가끔 절에 오는 불자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질 때가 있다. 그러면 대개 불자들은 가족들의 건강과 복을 구하기 위해 온다고 대답한다. 그럴 때면 적잖이 실망할 때가 있다. 물론, 집안의 평안을 위해 절에 오는 것은 만류할 수 없다. 우리 불자들은 그저 절에 가서 부처님께 내 가족 잘되게 해 달라고 향하나 사르고 절 한 번 하면 다 잘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절은 그런 곳이 아니다. 불교는 복을 구하기 위해 믿는 게 아니라 마음을 닦고 수행하는 종교다. 오늘날 불자들은 참 생명의 길을 열어 보이신 부처님의 고마움과 불법을 전하는 그 기쁨을 제대로 모른다는 느낌이다. 부처님이 우리에게 가르친 것은 그런 기복(祈福) 신앙이 아니라 복을 지어 받는 작복(作福) 신앙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불자들은 무조건 복을 구하기 위해 절을 찾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절들은 모두 기복 신앙의 원천인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심지어 기도와 독경을 열심히 하면서도 기실, 그것이 자신을 구제하고 제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엉뚱하게도, 가족의 평안을 위해서라고 대답한다. 물론, 이것도 틀린말은 아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답은 그것이 아니다. 부처님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고승 지눌스님은 도를 닦는 데 있어 근본이 되는 큰 문제에 대해 일상생활에 있어 놓치기 쉬운 일 하나하나를 자상하게 지적하여 수행인의 마음가짐을 정립시킨 분이다. 그 첫 번째가 “일 없이 다름 사람의 방에 들어가지 말고 병처(屛處)에 나아가 굳이 남의 일을 알려고 하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곧 일없이 남의 방을 기웃거리거나 남으 비밀을 알려고 하는 것 자체가 대수롭지 않은 일 같지만, 그것이 습관화되면 도를 닦고자 하는 마음을 흩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무연사(無緣寺)! 지눌스님이 이 단락의 첫구절에서 힘을 주어 말씀하신 ‘무연사’라는 글자 속에는 수행인의 기본자세가 담겨 있습니다. 곧, 반연(攀緣) 하지 말라. 어디에 붙잡히거나 끄달리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바꾸어 말하면 올바른 인연법(因緣法) 속에서 살아가라는 말씀입니다. 불교의 법은 인연법이고, 인연은 인연업과(因緣業果)의 줄인 말입니다. 인연업과를 농사에다 비유하여 봅시다. 인(因)은 종자요, 연(緣)은 땅·기후 등의 자연환경이며, 업(業)은 농업입니다. 좋은 씨(因)를 기름지고 기후가 좋은 땅에 심고(緣), 훌륭한 재배법에 의해 정성껏 키우면(業), 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정 스님은“생사는 본래 있는 것이 아니요, 한 생각 일어나면 그것이 나는 것이며, 한 생각이 사라지면 그것이 바로 죽는 일”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생사가 없는 확고한 금강 같은 지혜를 터득할 때 삶과 죽음의 생로병사를 초월하여 진정한 행복 추구의 즐거움이 있다는 일정 스님. 그는 본무생사(本無生死)의 실상을 깨쳐 부처님과 같이 진리에는 생사가 없다는 대해탈의 자비행을 사회 속에 각인시키고 있다. 삶과 죽음의 인식 자체는 모두 다 몽중생사(夢中生死)로 규명한 일정 스님은“결국 진리에는 태어남이 없고 또한 본래 죽음이 없으며, 나고 죽음은 본래 허망한것이므로 진리의 실상은 영원하다”는일대사 인연의 대명제를 사바제계 중생들께 화두를 던지고 있다. 일정 스님은“자유가 혜(慧)요, 자연이 정(亭)이요, 자율이 계(戒)라”면서“자율에서 자연이 나오고 자연에서 자유가 나온다”고 밝혔다. <편집자 주> 일정 스님은 게송하여 말하되 보배검을 비껴잡고 영대에 앉았으니 살활의 기이한 방편이 손끝에서 열린다. 용은 구름과 비를 얻어 옥룡사에서 신변을 부리고바람은 허공을 얻어 금용사에 마음대로 왕래한다. 橫抽寶劍按靈臺(횡추보검안영대) 殺活奇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