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인물

일정스님의 “무명無明과 집착執着”

- 물질적 집착은 재물, 권력, 명예 등에 대한 집착
- 감정적 집착은 사랑, 미움, 질투 등의 감정에 대한 집착
- 자아에 대한 집착은,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고 여기는 마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무명無明과 집착執着에 대한 법문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로, 인간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불교에서 무명과 집착은 중생이 고통 속에서 살아가게 만드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설명됩니다.

 

 

 

1. 무명無明의 진리를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무명은 한자로 '밝지 않음'을 뜻하며, '어리석음' 또는 '무지'로 번역되기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무명은 단순한 무지가 아니라, 즉, 존재의 참된 본질을 알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중생은 존재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고, 세상을 잘못된 방식으로 이해하며, 이로 인해 끊임없는 고통을 겪게 됩니다.

 

무명의 가장 큰 문제는 무상無常과 무아無我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무상은 모든 것이 변화한다는 진리입니다. 중생은 이 사실을 알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며, 영원한 행복이나 안정성을 추구하려 합니다. 그러나 모든 것은 변하기에 그 기대는 결국 실망과 고통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무아는 고정된 자아가 없다는 진리입니다. 중생은 '나'라는 고정된 자아를 믿고 그것에 집착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것이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며 독립적인 실체는 없습니다.

 

무명은 이런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현실을 왜곡해서 보게 만듭니다. 그 결과로 욕망과 집착이 생기고, 이는 고통을 불러옵니다.

 

 

2. 집착執着과 욕망과 집념의 고통에서 집착은 우리가 어떤 대상을 고정된 것으로 여기고 그것에 매달리는 마음입니다. 불교에서는 탐貪, 즉 탐욕과 집착이 고통의 근본 원인이라고 설명합니다. 중생은 무명으로 인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사라질 것을 영원한 것처럼 여기며 그것을 소유하려고 합니다. 이런 집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 물질적 집착은 재물, 권력, 명예 등에 대한 집착
- 감정적 집착은 사랑, 미움, 질투 등의 감정에 대한 집착
- 자아에 대한 집착은,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고 여기는 마음

 

이러한 집착은 중생을 고통 속에 가두는 원인이 됩니다. 우리가 좋아하는 것이 사라지거나,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괴로움을 느끼고, 싫어하는 것이 다가오면 두려움과 분노를 느낍니다. 결국, 집착은 늘 불만족과 괴로움으로 이어집니다.

 

3. 무명과 집착의 상관관계에서는 무명과 집착은 서로를 강화시키는 관계에 있습니다. 무명은 우리가 집착을 일으키게 하고, 집착은 다시 무명을 깊게 만듭니다. 무명 때문에 세상의 진리를 보지 못한 채 탐욕에 사로잡히고, 그 탐욕은 더욱더 무명을 심화시켜 고통의 악순환을 만들게 됩니다.

 

 

4. 무명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길은 불교에서는 팔정도八正道를 실천하여 무명과 집착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팔정도는 올바른 지혜와 실천을 통해 무명을 걷어내고 집착을 끊는 길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정견正見과 정사유正思惟입니다.

 

정견은 세상의 진리를 올바르게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상과 무아의 진리를 깨닫고, 모든 것은 인연으로 인해 일어나고 사라진다는 연기법緣起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사유는 올바른 생각을 갖는 것입니다. 자아에 대한 잘못된 집착을 버리고, 이타적인 마음을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명상과 관찰을 통해 마음의 상태를 바로보고, 자신이 어떤 욕망에 집착하고 있는지 자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집착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무명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5. 자비와 지혜의 길은 무명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은 단지 개인적인 해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불교에서는 자비慈悲의 마음을 가지고 다른 중생들도 함께 고통에서 구제하는 보살행菩薩行을 실천할 것을 강조합니다. 지혜智慧를 통해 진리를 깨닫고, 자비를 통해 다른 이들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마음이 결합될 때, 무명과 집착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립니다.

 

결국 무명과 집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세상의 진리를 올바르게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비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이 불교에서 제시하는 실천적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