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인 ‘연등회’가 지난 26일 서울 전역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세상에 평안을, 마음에 자비를(Peaceful World, Compassionate Mind)”이라는 2025년 봉축 표어 아래 열린 이번 연등회는 치유와 화합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모인 불자와 시민, 외국인 관광객 10만여 명이 함께하며 서울의 밤을 환희의 빛으로 수놓았다. 이날 오후 4시 30분, 동국대학교 대운동장에서 어울림마당을 시작으로 연등회의 서막이 올랐다.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 율동단을 포함한 1,000여 명이 펼친 다채로운 율동과 공연은 연등회의 흥겨운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어 오후 7시, 연등회의 백미인 연등행렬이 흥인지문을 출발해 종각과 조계사를 잇는 종로 전 구간에서 펼쳐졌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과 원로의원 스님, 문화체육관광부 용호성 제1차관 등 주요 인사들과 어린이 대표들이 선두에 나서 치유와 희망,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10만 개의 형형색색 연등과 150여 기의 대형 장엄등이 서울 도심을 수놓았으며, 연등회 프렌즈의 플래시몹 등 퍼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세상을 살다 보면 우리는 수많은 인연을 만납니다. 어떤 이는 우리의 벗이 되어 따스한 손을 잡아주고, 어떤 이는 우리의 마음에 상처를 남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가르치셨습니다. "怨親平等 同體大悲" 원수와 벗을 가르지 말고, 모두를 평등히 여기며, 한 몸처럼 품는 자비를 지녀야 한다고. 원망하는 이도, 사랑하는 이도, 모두 한 세상의 중생이요, 모두가 고통과 기쁨을 함께 겪는 인연입니다. 우리가 미워하는 그 사람 또한 자신의 무명을 이기지 못해 아픔을 드러낸 것일 뿐, 본성은 모두 부처님과 같은 청정한 빛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움에 끌리지 않고, 친애에 집착하지 않으며, 모든 인연을 평등하게 대하고, 한없는 자비로 서로를 어루만져야 합니다. 서로 다투는 마음을 거두고, 서로 상처내는 말을 삼가며, 적대와 집착을 초월하여 모든 존재를 있는 그대로 껴안는 것. 그리할 때, 우리 마음은 진정으로 자유로워지고, 이 세상은 고통이 사라진 정토淨土가 될 것입니다. 오늘 이 시간, 우리 모두 '怨親平等원친평등'의 마음을 지니고, '同體大悲동체대비'의 가슴으로 세상을 품읍시다. 그것이 곧, 자신을 구하는 길이요, 모든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 부처님오신날의 거룩한 뜻을 기리며, 세계불교 초대법왕이신 일붕 서경보 존자 예하의 위대한 가르침과 숭고한 뜻을 영원히 계승하고자 "일붕기념관 헌정문"을 삼가 바칩니다. 담화총사는 일붕 존자 예하를 8년 6개월 동안 가까이 모시며, 수행 경호실장과 비서실장의 소임을 다해왔습니다. 이 인연을 바탕으로, 존자 예하의 성스러운 자취를 길이 보존하고 널리 알리기 위하여, 벽사초불정사 3만 5천여 평의 부지 위에 약 200평 규모의 '일붕 존자 기념관' 건립을 발원하고, 이에 설계 작업에 착수하였음을 삼가 아룁니다. 이 기념관이 불법佛法의 등불이 되어 후세에 길이 빛나기를 발원합니다. 푸른 바람 속에서 태어나, 세상의 모든 고통을 품고자 하셨던 이여. 1914년 제주 서귀포 땅에 빛으로 내려오신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 예하, 그 발자취는 곧 불법(佛法)의 길이었고, 그 숨결은 세계 평화와 인류 공존의 노래였나이다. 불국사의 종소리로 진리의 씨앗을 심으셨고, 미국과 세계 오십 개국을 순회하며 불법의 등불을 밝히셨으며, 153개국 5,300여 불교단체의 추대로 세계불교법왕청을 창설하고, 첫 번째 세계불교 법왕初代法王의 위대한 위상을 세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담화총사가 “벽사초불정사에 세계불교 초대법왕이신 일붕 서경보 존자 예하의 뜻을 받들어 불사에 부치는 노래”를 헌정 하였다. 다음은 담화총사의 “벽사초불정사에 부치는 노래” 전문이다. 십만 불빛이 모여 어둠을 깨뜨린다, 벽사초불정사여, 고요 속에 피어나는 별빛이어라. 푸른 바람을 가르고 큰 새 一鵬은 날아올랐다. 세상의 끝, 하늘의 끝, 법法의 빛을 싣고 세계를 품었다. 한 걸음, 또 한 걸음, 바다를 건너 산을 넘어 불법의 씨앗을 뿌리며 평화의 바람을 일으켰다. 이제, 그 발길은 멈추지 않고 청주의 별 아래, 벽사초불정사에 내려앉아 우주의 달빛과 숨을 나눈다. 삿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의 노래를 부르며, 진리의 등불로 다시금 어둠을 밝히리라. 고요 속에 빛나라, 벽사초불정사여. 영원 속에 피어나라, 一鵬의 뜻이여. 담화총사曇華總師 두손모음...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는 5월5일(음력 4.8) 불기2569(2025)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4월23일 봉축법어를 내렸다. 중봉 성파대종사는 “부처님께서 룸비니에 탄생하실 때 두루 일곱 걸음을 걸으시니 걸음마다 연꽃이 솟아올랐고,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땅을 가리키며 ‘하늘 아래 나 홀로 존귀하다’라 하셨도다”며 “우리 모두 이러한 존엄성을 인정하고 잘 활용하면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고, 이 땅을 극락처럼 만들 수 있으니 각자에게 본래 구족한 불성(佛性)을 인정하는 삶을 살고, 법장 비구가 극락세계를 만들었듯이 각자의 불국토를 만들어 내는 원력을 세우고, 각자가 이를 성취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는 가르침을 내렸다. 이어 “각자의 안목과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어 부처님의 안목으로 세상을 보지 못하고, 부처님이 권한 행(行)을 하지 않았으며 ‘나’라는 한계와 조건에서 자유롭지 못했기에 일어나는 일이니 이러한 조건에서 벗어나는 일이 참으로 중요하도다”라며 “부처님 안목으로 세상을 살면 걸음걸음마다 연꽃이 피어나고 행하는 일마다 무진법문이 되도다”라고 설했다. 다음은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 봉축법어 전문. [20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1994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린 제2회 세계불교법왕청 총회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세계불교평화의 날’로 제정한 사건은 단순한 선언을 넘어선, 불교가 세계 평화의 중심 철학이 될 수 있음을 알린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당시 한국의 일붕 서경보 스님과 스리랑카의 찬다난다 스님이 공동 법왕으로서 함께 선포한 이 결정은, 불교권 국가 간 연대의 첫 결실이자 동서 불교의 조화로운 통합의 상징이기도 했다. ‘우주는 하나, 세계는 한 가족’이라는 법어 속에는 종교의 경계를 넘어 모든 생명의 공존과 평화를 향한 불교의 다짐이 담겨 있었다. 이제 우리는 묻는다. 그 선언은 일회성 행사로 끝났는가? 아니다. 그날의 외침은 오늘도 되살아나고 있다. 세상은 여전히 전쟁과 분열, 갈등으로 신음하고 있다. 핵무기의 위협은 사라지지 않았고, 종교 간 충돌과 환경 파괴는 새로운 위기로 다가온다. 이럴 때일수록, 30여 년 전 선포된 ‘세계불교평화의 날’의 가치는 더욱 절실하다. 평화는 선언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계속 이어져야 한다. 실천과 전승으로 삶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불교는 침묵 속의 외침이다. 수행은 조용하지만 그 목적은 크다. 세상에 평화를, 마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작은 복덕이라도, 그 안에 깃든 마음이 크면 하늘도 감동합니다." 우리는 종종 큰 공덕, 큰 복을 바라고 수행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一切福德 從微善起일체복덕 종미선기」 모든 복덕은 아주 작은 선행에서 비롯된다고. “소분복덕少分福德”이란 말은 겉으로는 작고 보잘것없어 보일지 모르나, 그 안에는 수행자의 진심, 자비의 씨앗, 깨달음의 발심이 담겨 있다는 뜻입니다. 길을 걷다 쓰러진 나뭇가지를 치워주는 손길, 배고픈 이에게 내미는 따뜻한 한 그릇,이른 새벽 법당에 홀로 등을 밝히는 그 마음이 모두가 소분복덕입니다. 세속은 성과를 크기로 판단하지만, 불가는 그 마음의 깊이와 청정함을 먼저 봅니다. 복은 남에게 보이기 위해 짓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마음을 밝히기 위해 짓는 것입니다. 소분복덕을 쌓는 이의 길은 비록 느릴지언정 결코 퇴보하지 않습니다. 큰 물줄기도 작은 이랑에서 흘러나오듯, 부처의 길도 작은 복덕의 실천에서 비롯됩니다. 우리도 오늘, 작은 복 하나라도 실천해봅시다. “작은 복덕이 쌓여 큰 깨달음의 길이 됩니다.” “소분의 공양도 진심이면 부처님께 이릅니다.” 이 말씀을 항상 마음에 새기며 살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불기2569(2025)년 부처님오신날 법왕청 이사장 봉축 법어입니다. 一切衆生 悉有佛性 일체중생 실유불성 모든 중생은 부처님의 성품을 지녔습니다. 應當自覺 勿尋外境 응당자각 물심외경 진리는 스스로 깨닫는 것이며, 밖에서 찾지 마십시오. 一燈能破 千年之暗 일등능파 천년지암 등불 하나가 천 년의 어둠을 밝힙니다. 微慈化苦 愍念群生 미자화고 민념군생 작은 자비가 고통을 녹이고, 모든 중생을 어루만집니다. 怨親平等 同體大悲 원친평등 동체대비 원수와 벗을 평등히 여기며, 하나 된 자비로 품어야 합니다. 今此佳辰 如來降誕 금차가신 여래강탄 오늘은 여래께서 이 땅에 오신 거룩한 날입니다. 發心照世 慈光普照 발심조세 자광보조 우리의 발심이 세상을 비추고, 자비의 광명이 두루 퍼지기를. 願以此燈 功德無量 원이차등 공덕무량 이 등불의 공덕이 무량하게 펼쳐지기를 발원합니다. 願世和平 汝心慈悲 원세화평 여심자비 세상에는 평화가, 그대 마음에는 자비가 머물기를... 불기 2569년 사월초파일 (財)法王廳 平和財團 (재)법왕청 평화재단 理事長 曇華總師 合掌 이사장 담화총사 합장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 우리는 “인간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마음의 길을 함께 걸어보고자 합니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이 질문은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온 인류의 깊은 물음입니다. 살을 가진 육신인가, 감정을 느끼는 마음인가, 아니면 생각하는 지성인가? 불교에서는 말합니다.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 悉有佛性” 모든 중생은 다 불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인간의 본질은 결코 외모나 재물, 지식에 있지 않고, 바로 그 안에 숨겨진 ‘깨달음의 씨앗’, ‘자비와 지혜의 빛’에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때로 화를 내고, 질투하고, 욕망에 이끌려 방황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인간의 참된 모습은 아닙니다. 그 모든 험한 파도를 지나 고요한 마음의 바다 아래에는 언제나 맑고 밝은 불성이 숨 쉬고 있습니다. 본질은 감추어져 있지만, 사라지지 않습니다. 구름이 태양을 가릴 수는 있어도, 태양 그 자체를 없앨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 하나. 본래의 나를 기억하는 것. 진실한 나, 자비로운 나, 지혜로운 나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수행을 합니다. 매일 잠시 눈을 감고 호흡을 바라보며, 거짓된 나를 내려놓고, 참된 나와 다시 마주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꽃을 집어 미소하니,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한다. 여러분, 한 번 눈을 감고 상상해 봅시다. 한 스님이 조용히 연꽃 한 송이를 들고 있습니다. 아무 말 없이, 그저 미소만 지었을 뿐입니다. 그 모습을 본 제자 가섭은, 말 없이 웃었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 스승과 제자는 말없이 마음이 통했습니다. 이 이야기가 바로 ‘염화미소拈花微笑’입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깊은 마음의 교감”이지요. 이처럼, 세상에는 말보다 더 깊이 전해지는 마음이 있습니다. 웃는 얼굴, 따뜻한 눈빛, 진심 어린 행동. 이것이 바로 ‘심심상인心心相印’,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는 길입니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특히 많은 갈등과 고민 속에 있는 청소년 여러분에게도 이 마음의 길은 아주 소중한 열쇠가 됩니다. 친구와 다투었을 때, 부모님과의 오해가 생겼을 때, 굳이 말로 다 설명하려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때로는 진심 어린 미소 하나, 작은 배려 한 번, 그것만으로도 마음은 전해질 수 있습니다. 스님들이 말하는 ‘참된 깨달음’은 거창한 철학이나 깊은 공부에서만 오는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아주 작은 순간, 꽃을 보고 미소 짓는 그 마음속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