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담양군 천년의 깃대, 담양 객사리 석당간
법왕청신문 장규 기자 | 담양군 읍내에서 순창 방면으로 향하다 보면, 들판 한가운데 우뚝 솟은 이색적인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그것은 바로 천 년의 세월을 지켜온 담양 객사리 석당간(石幢竿)이다. 이 석당간은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위치하며,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969년 보물 제505호로 지정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당간’은 원래 불교 사찰에서 법회나 의식을 알리는 깃발을 걸기 위해 세운 기둥이다. 이 깃발에는 ‘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도리를 드러낸다’는 의미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 담겨 있어, 단순한 장식을 넘어 불교의 진리를 상징하는 종교적 구조물로 여겨졌다. 당간은 대개 목재로 제작되었으나 대부분 세월 속에 사라졌고, 오늘날 남아 있는 석제 또는 철제 당간은 전국적으로도 매우 희귀하다. 특히 담양 객사리 석당간은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석당간 두 점 중 하나로, 그 희소성과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객사리 석당간은 인근의 고려시대 오층석탑(보물 제506호)과 함께, 이 지역에 크고 중심적인 절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남아 있는 석당간은 조선 헌종 5년(1839년)에 중건된 것으로, 당시 비문에 따르면 그 이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