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일정스님의 “무시겁래無始劫來”

– 끝없는 윤회 속에 깃든 깨달음의 씨앗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불자 여러분과 함께 법의 향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오늘 우리가 나눌 법의 주제는 “무시겁래無始劫來”, 곧 시작 없는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온 윤회의 흐름입니다.

 

 

1. 무시겁래란 무엇인가?

 

“무시無始”란 시작이 없다는 뜻이며, “겁劫”이란 불가에서 말하는 매우 긴 시간 단위를 의미합니다.

 

“무시겁래”란 곧 우리가 언제부터 존재했는지조차 알 수 없을 정도로 먼 옛적부터 생사윤회를 되풀이하며 살아왔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생이 처음이 아니며, 죽음이 끝이 아니라는 것이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무시겁래로부터 수없는 몸을 받아, 부모를 바꾸고 이름을 달리하며 생사를 거듭해 왔습니다.

 

2. 윤회의 굴레 속에서

 

우리는 무시겁래 동안 업業을 짓고, 그 업에 따라 생사를 반복해 왔습니다.
때론 천상에, 때론 인간 세상에, 때론 축생계나 지옥계에 이르기까지 번뇌와 무명을 따라 흐르는 바람에 실려 흘러왔습니다.

 

무시겁래라 하여 시작이 없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번뇌도 깊고 뿌리도 깊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 끝없는 윤회 속에서도 부처의 씨앗, 즉 불성佛性은 한 번도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3. 무시겁래의 자각은 수행의 시작이다

 

무시겁래를 깨닫는 것은 단순한 탄식이 아닙니다.

 

“나는 왜 이렇게 힘든가?”

 

“어째서 같은 고통을 되풀이하는가?”

 

이 의문은 곧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 물음으로 이어지며, 이는 수행의 문을 여는 첫걸음이 됩니다.

 

무시겁래를 아는 자는, 더 이상 헛된 욕망에 몸을 맡기지 않습니다.

 

그는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괴로움은 어제의 탐욕이며, 오늘의 집착은 내일의 사슬이라는 것을.

 

4. 무시겁래 속의 희망의 발심發心

 

우리가 부처님을 믿고, 법을 따르고, 수행을 하는 이유는 무시겁래의 굴레를 끊기 위해서입니다.

 

그 길은 다름 아닌 지혜와 자비의 실천, 업의 소멸, 번뇌의 초월입니다.

 

그리고 그 첫걸음은 “발심發心”, 깨달음을 향한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지금 이 마음을 내면에서 무시겁래의 어둠 속에 한 줄기 등불이 켜지고, 그 불빛은 마침내 여러분을 열반의 언덕으로 이끌 것입니다.

 

무시겁래는 우리의 슬픈 과거인 동시에, 지금 이 자리에서 새롭게 깨어날 수 있는 기회의 이름입니다. 과거를 탄식하기보다, 지금 이 순간에 깨어 수행하고, 자비를 베풀고, 지혜를 닦아야 합니다.

 

끝없는 생사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 오늘 이 순간부터 불자의 길을 더욱 정진하시길 발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