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서울 성북구가 지난 10일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가 지역 취약계층 주민을 위해 사랑의열매 이웃돕기 성금 1천만 원을 성북구청에 기탁했다고 밝혔다. 흥천사는 1397년 창건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의 말사로 역사가 깊은 성북구 전통 사찰 중 하나다.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도심 속 사찰로 지역주민을 위한 지속적인 봉사, 어르신들을 위한 경로잔치 및 식사 대접, 불우이웃돕기, 성금·성품 기부 등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오고 있으며 성북구는 이를 기리기 위해 감사장을 수여했다. 흥천사 주지 각밀스님은 “형편이 어려운 지역주민들에게 성금이 전달되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우리 주변의 소외되기 쉬운 이웃들을 위해 선뜻 성금을 전달해 주신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각밀스님께 구민을 대표해 감사드리며, 성금을 필요한 곳에 신속히 전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오대산월정사에서 용평면 장평리 LPG가스충전소 가스폭발사고 현장 피해이웃들에게 전달해 달라며 성금 일천만원을 기탁했다. 정념스님은 "갑작스런 화재로 주거지를 잃어버린 이웃주민을 위해 마련한 성금으로 조금이나마 힘이 됐으면 한다" 고 뜻을 전했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주신 대한불교조계종 오대산월정사 정념스님께 감사드리며, 화재피해 가구가 조속한 복구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고 말했다. 기탁받은 1,000만원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화재가구에 전달 될 예정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 보광사(주지스님 현중)로부터 ‘2024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성품, 사랑의 쌀 4,000kg(1천173여 만원 상당)을 이순희 서울 강북구청장에게 전달했다. 보광사가 기부한 쌀은 13개 동주민센터와 강북푸드뱅크로 배부돼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이순희 구청장은 "사랑의 쌀과 함께 보광사의 따뜻한 마음을 어려운 이웃에게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산시가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주말에도 경로 급식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16일 오산시장 집무실에서 ‘행복한 밥상’사업 업무협약식과 기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한불교 청용사 법정스님 후원으로 (사)오산백세, 오산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사)사랑의밥차, 오산노인종합복지관 등 관내 후원자와 기관 등이 힘을 모아 추진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행복한 밥상 사업은 무료 경로식당이 운영되지 않는 휴일 중 어르신들의 결식을 예방하고 급식 지원의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오는 11월 19일 일요일부터 어르신 300명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향후 매월 셋째 주 일요일과 후원자 발굴을 통해 사업 주기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대한불교 청용사 법정 스님은 향후 1년간 매월 300만 원, 총 3천 6백만 원을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탁하고, (사)오산백세와 (사)사랑의 밥차에서 사업비를 배분받아 급식 조리와 배식, 후원자 발굴 등의 사업을 추진하며, 현장에는 오산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봉사 동아리 자원봉사 대학생들이 배식 및 안내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무료 경로 급식 사업을 추진하고 있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는 11월 14일 구례군 관내 어려운 저소득 가정을 위해 구례군에 백미 100포(20kg)를 기탁했다. 천은사 대진스님은 “동절기 경제적 어려움으로 힘들어하는 어려운 이웃에게 작은 나눔 실천이지만 따뜻한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순호 구례군수는 “매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나눔을 몸소 실천해 주신 천은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이웃을 살피는 따뜻한 마음을 담아 저소득가정에 쌀을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선각종 총무원장 옴천사 회주 정암 큰스님이 지난 11일 옴천사 목조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 기념 효사랑 큰잔치를 개최하고 강진군민장학재단에 장학금 300만 원을 기탁했다. 강진군 옴천면 개산리에 소재한 옴천사는 2005년 1월 국가지정 전통사찰 제92호로 지정됐다. 1983년 현재 주지인 정암 큰스님이 부임하고 사찰명을 만연사에서 옴천사로 개칭했다. 이번 옴천사 효사랑 큰잔치는 ‘목조보살좌상’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365호 지정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로 인기가수 공연과 참석자를 위한 도시락 및 다과를 준비했다. 특히 정암 큰스님은 강진원 강진군수에게 장학금 300만 원을 전달하고 기탁식을 가졌다. 정암 큰스님은 이전에도 꾸준히 장학금을 기탁해 왔다. 이와 함께 독거노인 및 저소득층 가구를 위한 생활품 기부 등 다양한 선행을 이어왔다. 정암 큰스님은 “지역 학생들에게 희망을 전달해주고 싶은 마음에 장학금을 기탁했다”며 “강진군민 모두가 함께 나눔의 정을 실천해 많은 학생들이 지역 인재로 성장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장학금 기탁을 비롯한 다양한 선행을 계속한 정암 큰스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남양주시 진건읍에 소재한 대한불교조계종 명덕사 주지 우정방생스님은 지난 12일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사랑의 연탄 1만 장을 남양주시복지재단(대표이사 심우만)에 전달했다. 이날 연탄 나눔 행사에는 명덕사 우정방생스님, 손연희 진건퇴계원행정복지센터 센터장, 김태완 진건읍 주민자치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탄 일부가 진건읍 소재 취약계층 가구에 전달됐다. 명덕사 우정방생스님은 “기록적인 한파에 더욱 힘들어하고 계실 지역의 어르신들을 돕기 위해 기부를 결심했다.”라며“추운 날씨에도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봉사에 참여해주신 분들과 뜻깊은 나눔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남양주시복지재단에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손연희 진건퇴계원행정복지센터 센터장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한결같이 따뜻한 손길을 내어주시는 명덕사 우정방생스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오늘을 계기로 더 따뜻하고 행복한 진건읍이 된 것 같다.”라고 전했다. 김태완 진건읍 주민자치회장은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식사대접, 장학금 지원, 연탄 지원 등으로 지역주민들을 잘 살펴 주시는 우정방생스님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나눔을 베풀고 실천하는 스님의 행보를 이어갈 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부산 부산진구는 10월 27일, 대한불교 천태종 삼광사(주지스님 영제)에서 삼광사 창립기념법회 54주년을 맞이하여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해 달라며 백미 3,000kg을 기탁했다고 전했다. 영제 주지스님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들에게 작게나마 위안이 되고 싶어 신도들이 모은 백미를 기탁하게 됐다”라고 전했다. 한편, 부산진구 초읍동에 위치한 삼광사는 매년 잊지 않고 다양한 나눔활동을 이어가며 이웃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포항시 불교 여성회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난 7일 포항시청을 방문해 지역의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써달라며 성금 300만 원을 기탁했다. 김경희 포항시 불교 여성회장은 “전 회원이 자발적으로 이웃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기부금 조성에 동참했다”며, “회원들의 온정의 손길이 모여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명환 포항시 복지국장은 “어려운 시기에 자비의 마음을 베풀어준 포항 불교 여성회 회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기탁해준 소중한 성금은 지역 내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이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한국불교태고종 평택 보국사(주지 무상 스님, 경기도 전통사찰 제26호)는 지난 18일 부처님 궐(대웅전) 낙성에 이어 주지 무상 법현 스님의 진산식을 개최했다. 이어 태고종 전 총무원장 운산 스님의 제4주기 추모제를 봉행했다. '부처님 궐'은 임금님이 사는 대궐처럼 부처님이 사시는 대궐이라는 뜻에서 '부처님 궐'이라 한글로 이름한 최초의 법당이다.' 부치님궐' 편액(양각 새김)과 주련(음양각 새김)은 법현 스님의 한글사랑 정신에 따라 한글로 쓰였다. 글은 89세 원로 원법 스님이 쓰고, 조각은 송강 스님이 끌과 칼만으로 백일정진 끝에 완성했다. 주지 법현 스님은 전각 방향에 따라 발원하며 절하면서 부처님 가르침과 나라의 발전, 탐진치 삼독을 깨끗이 하기 등을 기원하고 발원, 축원했다. 보국사와 참석 대중의 3번의 진산 요청을 수락한 법현 스님은 대중으로부터 가사 발우 주장자 불자 등 법물과 새 가사를 받고 진산 설법을 했다. 법현 스님은 "우리 몸과 마음의 오염원을 깨끗하게 씻어 쓸모 있는 빛이 되게 하는 마른 똥 막대기(乾屎闕)인 부처님처럼 우리도 정진해 경기도민, 평택시민 등 어려운 중생을 돕자"라고 했다. 이어 운산 대행 대종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상월결사 인도순례단 귀국을 환영하는 종단 차원의 회향법회가 23일 오후 1시 서울 조계사 특설법단과 우정국로 일대에서 봉행된다. 조계종은 전국의 스님 불자 등 1만 5,000여명이 참석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상월결사 인도순례단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삶과 자취를 간직한 인도와 네팔의 부처님 8대 성지 1,167km를 43일(2/9~3/24)에 걸쳐 순례하고 있다. 조계종은 “이번 순례는 ‘한국불교의 세계화와 불교의 중흥’을 서원하는 수행의 자리이며, 나아가서는 세상의 많은 이들의 행복을 위한 ‘생명존중’과 ‘세계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는 자리”고 밝히고 있다. 조계종은 “순례단은 인도의 무더운 날씨와 열악한 환경에 맞서 정비되지 않은 길을 하루 평균 27km씩 걷고, 학교 공터나 힌두사원 등에서 숙영해야 하는 쉽지 않은 여정임에도 스님과 재가신도를 구분하지 않고 사부대중 108명이 함께 한마음 한뜻으로 순례를 이어가고 있다.”며 “순례단은 8대 성지를 대표하는 주요 건축물 또는 공간에 도착해서 세상의 평화를 위한 기원법회를 봉행하고 있다.”고 했다. 상월결사 인도순례단은 20일 인도 기원정사 회향법회를 끝으로 순례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서경보徐京保, 회암悔巖 스님, 일붕一鵬 스님, 초대법왕初代法王이 삭발削髮(승려가 되기위해 머리를 깍는 절차)한 聖地성지는 어디일까? 당시 서경보徐京保 1914(출)~1996(열반)스님이 삭발하고 출가한 절은 서울의 큰 사찰도 아니다. 제주도의 산방산 산방굴사 바로 아래에 있는 광명사라는 암자였다. 그 암자는 바로 현재의 광명사光明寺이며, 일붕스님은 1932년 출가하면서 처음으로 삭발한 곳이 바로 이 사찰이다. 산방산山房山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있는 산이다. 산방山房이라는 말은 굴이 있는 산을 뜻하며, 높이 해발 395m에 남쪽 해발 150m쯤에 해식동굴이 있어서 산방산이라 불리 운다. 산방산에 대한 재미있는 전설로 옛날 500 장군이 있었는데 이들은 제주도를 만든 설문대할망의 아들들로 주로 한라산에서 사냥하면서 살아나갔다. 하루는 500 장군의 맏형이 사냥이 제대로 되지 않아 화가 난 나머지 허공에다 대고 활시위를 당겨 분을 풀었는데, 그 화살이 하늘을 꿰뚫고 날아가 옥황상제의 옆구리를 건드리고 말았다. 크게 노한 옥황상제가 홧김에 한라산 정상에 바위산을 뽑아 던져 버렸는데, 뽑힌 자리에 생긴 것이 백록담이고 뽑아 던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의령 봉황산 일붕사는 천혜의 자연 요건을 갖춘 명당 일붕사 회주 해운스님을 만나다. 의령 봉황산 일붕사는 천혜의 자연 요건을 갖춘 의령군 궁유면 봉황산에 위치한 역사가 깊은 사찰이다. 이 사찰이 유명한 것은 동굴법당. 이 법당은 세계 최대 동굴법당으로 영국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이 법당의 크기는 456.2m²(138평)과 297.5m²(90평). 현재 불자들의 소원성취를 위한 기도 도량으로 하루 평균 5백여 명의 불자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일붕사는 사찰대지 16,529m²(5천평), 임야 99,174m²(5만여평), 신도수 7천여세대, 석굴 대웅전 456.2m²(138평), 석굴무량수전 297.5m²(90평), 제1요사, 제2요사, 조사전, 약사전, 북극전, 나한전, 산신각, 종각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서기 727년 신라의 혜초스님이 창건한 성덕암이 현재 일붕사의 전신이다. 일붕사는 약 1330년 전에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할 때 최고의 격전지였다. 당시 왕군이 봉황대 영역 안에 이 지역의 수많은 영령을 위로하기 위하여 사찰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태종 무열왕의 삼왕자가 계셨던 궁소 봉황대의 사찰에서 비로자나불을 안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