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확대하고, 나아가 세금으로 지원금까지 내걸며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의 회복이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그 이면은 지역 재정을 담보로 한 무모한 도박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은 오랫동안 한국 관광시장의 핵심이었고, 무비자 확대는 단기적으로 항공·숙박·요식업에 일정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그러나 관광객 숫자의 증가는 곧바로 지역경제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미 제주도는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관광객이 늘었지만 그 결과는 불법 체류자 급증, 각종 사건·사고, 지역사회 갈등이었다. 단기 성과 뒤에 따라오는 부작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 한국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일부 지역은 여전히 바가지요금이 만연하고, 볼거리와 체험거리는 빈약하다. 관광객은 돈을 쓰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기억에 남을 추억거리도 얻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세금으로 관광객을 불러오는 것은 결국 “돈 주고 망하는 정책”이다. 잠시 발길을 모아도 재방문율은 떨어지고, 한국 관광은 싼값에 소비되는 단체관광지로 전락할 뿐이다. 일부 지자체가 내건 관광객 1인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전통 민화 속 익살스러운 호랑이와 토끼의 구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민화에 옻칠을 더하다」가 공개됐다. 옛 민화에서 호랑이는 담배를 피우며 해학과 풍자를 상징했으나, 이번 작품 속 호랑이는 더 이상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오히려 토끼들이 긴 대롱 담뱃대를 멀리 치워내며 금연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담배 피우는 호랑이였으나, 이제는 금연하는 호랑이로 거듭나 금연운동에 앞장선다”는 시대적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단순한 민화가 아니라 민화 위에 옻칠을 더한 독창적 작업으로, K-민화의 새로운 도전이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실험적 시도로 평가된다. 이번 작품은 담화총사曇華總師의 대표작 중 하나로, 오는 10월 열리는 벨라루스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에 기증될 예정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백 가지 지혜가 단 하나의 무심無心만 못하다는 말은 생각이 깊을수록 본질에서 멀어질 수 있음을 일깨운다. 안팎의 마음을 버리고, 지금까지 쌓아온 공덕조차 버려야만 비로소 부처의 길이 열린다는 말씀, 이는 곧 ‘놓는 것이 얻는 것이다’라는 도리다. 삼계三界는 불타는 집이다. 그 속에서 진정한 법왕은 누구인가? 석가도 미륵도 아닌, 당신의 눈동자 안에 비친 그 자성이 법왕이다. 그러니 외호外護의 이름에 메이지 말고 내면의 광명을 바라보아야 한다. 내가 설한 일체의 법은 모두가 ‘조병무早騈拇’라 하셨다. 즉, 필요 이상으로 덧붙인 말일 뿐, 진실을 가리는 안개일 수 있음을 경계하신 것이다. 오늘 일을 묻는가? 달은 강마다 고요히 비친다. 강이 맑으면 달빛은 더욱 또렷하고, 마음이 고요하면 진리는 스스로 드러난다. 효봉스님은 입적하는 그날에도 “화두가 들리십니까?”라는 물음에 세 번 ‘무無’라 하시며 삶과 죽음, 얻음과 놓음을 한 줄기 화두로 삼아 떠나셨다. 우리도 묻지 말고, 지혜를 꾸미지 말며, 그저 달빛을 받아들일 마음 그릇 하나를 비워둘 일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마음 그릇을 정돈하라, 감로를 흘리지 말라” 파도가 뒤엉키면 달빛은 물 위에 비치기 어렵고, 밤이 깊을수록 등불은 더욱 밝게 빛납니다. 어둠이 짙을수록, 작은 빛도 위대한 길잡이가 되지요. 그대여, 복잡한 세상살이 속에서 마음이 흔들릴 때, 우리는 더욱 고요함을 지녀야 합니다. 거칠고 어지러운 감정이 일렁이면 지혜와 자비의 달빛은 비칠 틈이 없습니다. 마음의 그릇을 잘 정돈하십시오. 그 그릇이 기울면 아무리 귀한 감로수라도 쏟아지고 맙니다. 감로는 부처님의 가르침이요, 참된 삶의 자양분입니다. 그릇이 안정되면, 삶의 작은 순간마다 감로가 고이듯 맑게 머물게 될 것입니다. 오늘도 삶의 바다를 항해하는 여러분, 파도를 두려워하지 말고 마음의 닻을 고요에 내리십시오. 그러면 등불은 더욱 밝아지고, 달은 물 위에 은은히 피어날 것입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법성본무생法性本無生이란, 법의 본성은 애초에 생겨남도, 사라짐도 없는 자리입니다. 태어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는 것. 그것이 바로 참된 자성自性입니다. 그러나 중생의 눈에는 세상 모든 것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변화로 보이기에, 거기에서 온갖 집착과 번뇌가 일어납니다. 시현이유생示現而有生이란, 부처님은 이러한 중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생겨남이 있는 듯 시현해 보이십니다. 진리는 말 없이도 머무나, 중생의 깨달음을 돕기 위해 부처는 모습과 소리를 빌려 진리를 설하시고, 그 진리를 일깨우기 위해 육신을 드러내십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방편方便'입니다. 시중무능현 역무소현물 是中無能現 亦無所現物이라, 그렇다면 이 모든 시현 속에는 '나타내는 자'도, '나타나는 대상'도 없습니다. 이는 곧 ‘주체와 객체’, ‘너와 나’라는 이분법적 분별이 진실이 아님을 뜻합니다. 보는 이도 없고, 보이는 것도 없는 경계, 그것이 바로 무생법인無生法忍의 세계입니다. 세간의 눈에는 분명히 '있다'고 보이지만, 진리의 눈으로 보면 거기엔 실체가 없습니다. 불생불멸, 무소무위한 그 자리를 본다는 것, 그것이 바로 법성法性을 보는 눈, 지혜의 눈입니다. 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현진 작가의 대표작 「송학천년도松鶴千年圖」가 지리산 가피암迦披庵에 봉헌되어 신도들과 함께 부처님 전에 올려졌다. 이번 봉헌은 일정 대종사의 인준을 거쳐 이뤄진 것으로, 불자들과 지역 신도들의 깊은 신심 속에 법당에 안착하게 되었다. 천년송과 학이 전하는 이야기에는 옛날 동해와 맞닿은 깊은 산골에는 ‘천년송’이라 불린 노송老松이 있었다. 그 꼭대기에는 언제나 두 마리의 학, ‘백설白雪’과 ‘청운靑雲’이 찾아와 앉았다. 가뭄과 병충해로 마을이 메마르던 어느 해, 천년송이 시들 위기에 처하자 두 학은 하늘로 날아올라 은빛 이슬을 구해와 소나무 뿌리에 매일 떨어뜨렸다. 그 덕분에 소나무는 다시 푸르름을 되찾았고, 마을은 평화와 생명을 이어갈 수 있었다. 이 전설을 담은 송학의 풍경은 이후 ‘송학천년’이라 불리며, 천년의 우정과 장수長壽, 변치 않는 평화平和의 상징으로 전해졌다. K-민화의 현대적 의미, 현진 작가는 이 전설을 바탕으로 「송학천년도」를 그려냈다. 작품 속 송학은 단순한 길상화吉祥畵가 아니라, 사람과 자연, 그리고 세대를 잇는 인연을 품은 상징으로 재해석되었다. 특히 이번 봉헌은 한국 민화의 맥을 이어 세계 속에 K-민화를 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부처님께서 석가족 마을에 머무실 때의 일이다. 제자 아난이 문득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좋은 스승善知識과 좋은 벗善道伴, 그리고 좋은 제자善隨徒를 갖는 것은 성스러운 도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절반을 이루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바르게 말씀드린 것입니까?”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그런 말 하지 말라. 좋은 스승, 좋은 벗, 좋은 제자가 있다는 것은 도 수행의 절반이 아니라 전부이다. 그대들은 나를 좋은 벗으로 삼음으로써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근심과 슬픔, 괴로움에서 해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정한 벗을 만나는 것은 수행의 일부가 아니라 수행 전체를 관통하는 길임을 알라.” 사람은 혼자 살아갈 수 없으며, 혼자 수행할 수도 없다. 좋은 벗을 만나면 잘못된 길로 들어가지 않고, 바른 길에서 나아갈 용기와 힘을 얻는다. 반대로 나쁜 벗을 가까이하면 바른 마음이 흐려지고, 어리석음과 욕망에 이끌리기 쉽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일러주신 말씀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크나큰 울림이 된다. 좋은 벗은 단순히 함께 있는 이가 아니라, 내 마음을 깨우고 도의 길로 이끌어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2025년 세계통계(World of Statistics)와 Adventourely가 공동 발표한 ‘유럽 41개국 야간 안전도 조사’에서 크로아티아가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가장 안전한 밤길을 가진 나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조사에서 크로아티아는 75.93점(Numbeo 기준)을 기록하며, 슬로베니아(73.74점), 아이슬란드(71.55점), 조지아(69.72점), 스위스(69.35점)를 제치고 최상위권에 올랐다. 반면, 프랑스(35.28점), 벨기에(40.88점), 벨라루스(41.05점), 영국(42.26점), 스웨덴(43.4점) 등 일부 서유럽 주요국은 하위권에 머무르며 체감 안전도 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발칸반도 국가의 두드러진 치안 수준 이번 조사에서는 발칸반도와 발트해 지역 국가들의 치안 체감도가 서유럽 주요국보다 높다는 사실이 주목받았다. 슬로베니아와 함께 상위권에 오른 크로아티아는 경제 규모와 무관하게 안전한 사회 환경을 유지하는 국가로 평가됐다. 전문가들은 “GDP 같은 경제 지표가 높은 국가가 반드시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며 “범죄율뿐 아니라 사회적 신뢰, 지역 불균형, 언론의 보도 양상 등 복합적인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리는 흔히 묻습니다. "왜 나는 이렇게 태어났는가?" "왜 저 사람은 모든 것을 갖고 나는 아무것도 없는가?" 그러나 『논어』에도 말했듯이 死生有命, 富貴在天이라 하였습니다. 죽고 사는 것은 하늘이 내린 명(命)에 따르고, 부와 귀함은 천도天道에 달려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운명을 체념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오히려 불교에서는 이것을 전생의 업業, 즉 인연과 인과因果의 결과로 이해합니다. 내가 지은 만큼 받고, 내가 뿌린 만큼 거두며, 내가 베푼 만큼 채워지는 것이 이 우주의 섭리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가 할 일은 단 하나입니다. 주어진 명을 원망하지 말고, 주어진 업을 탓하지 말며,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해 선업善業을 짓는 것입니다. 세속의 눈으로 보면, 죽음은 두렵고, 가난은 괴롭습니다. 그러나 명命을 바로 아는 사람은 죽음조차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가난조차 수행의 밭으로 삼습니다. “복은 하늘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짓는 것이다.” 진정한 부귀는 마음의 평화에서 옵니다. 참된 성공은 남과의 비교가 아니라 내면의 성장에서 비롯됩니다. 오늘 하루, 나에게 주어진 삶의 명을 감사히 여기며, 어떤 순간에도 선업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약속과 은혜를 기억한 두 마리 소의 이야기는, 하찮게 여겨질 수 있는 짐승조차도 받은 은혜를 잊지 않고 사람의 진심을 위해 목숨을 걸었음을 보여줍니다. 약속을 저버린 사람, 진심을 증명한 소의 이 이야기 속에는 우리가 잊고 지낸 ‘신뢰’와 ‘보답’의 도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참된 보시와 진심은 말없이도 전해집니다. 이제, 이 따뜻한 고전 설화를 통해 약속의 가치를 다시 새겨봅니다. 옛날 어느 마을에 부모를 일찍 여의고 친척 하나 없이 홀로 살아가는 청년이 있었습니다. 하루는 산에서 나무를 한 짐 해 내려오던 중, 그늘에 앉아 쉬고 있는데, 밭에서 나이 든 노인이 홀로 밭을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모르는 사이였지만 청년은 다가가 정중히 물었습니다. “할아버지, 연세가 많으신데 어찌 혼자 밭을 갈고 계십니까? 자제분도 없으신가요?” 노인은 한숨을 내쉬며 대답했습니다. “형제도, 자식도 없어 내가 몸소 밭을 일구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지.” 청년은 안타까운 마음에 바로 삽을 들고 밭을 갈기 시작했습니다. “할아버지는 집으로 돌아가 쉬십시오. 저는 해가 질 때까지 밭을 다 갈아놓겠습니다. 해질 무렵 마을 어귀로 오셔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총무원장 진우스님, 정동영 통일부 장관 예방 받아… 금강산 유네스코 등재 계기 삼아 교류 가능성 강조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4일 조계사 템플스테이 홍보관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예방을 받고 남북 교류 재개에 있어 불교계의 중추적 역할을 제안했다. 이날 만남에는 총무부장 성화스님, 민족공동체추진본부장 태효스님, 기획실장 법오스님, 민추본 사무총장 덕유스님, 이규민 대북특보가 배석했다. 진우스님은 “남북 관계가 꽉 막혀 있는 상황에서 정 장관님의 임명은 현 정부가 남북 문제를 얼마나 중시하는지 보여주는 상징”이라며 “국제 정세도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불교계가 중심이 되어 문화적 접근을 통해 교류의 물꼬를 트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스님은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새로운 기회”라며 “원산-갈마지구와 금강산을 연계한 관광 문화교류가 조만간 다시 시작될 수 있다면, 불교계가 앞장서서 신계사에서의 공동 법회 개최와 같은 협력 사업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불교의 자리이타 정신은 곧 상호공존의 철학”이라며 “저 역시 청문회에서 원효대사의 ‘불일불이’ 사상을 인용했다. 부처님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재난사회복지 전문기관 (사)더프라미스(이사장 묘장스님)는 지난 19일부터 이어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남 산청 지역을 찾아 이재민과 구조 인력 지원을 위한 긴급구호 활동을 펼쳤다. 이번 지원은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 및 산청군과 협력해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더프라미스는 초기 현장 조사를 통해 피해 규모와 현장의 실질적인 요구를 면밀히 파악했다. 특히 기존 지원이 닿지 않는 ‘틈새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현장 맞춤형 지원에 주력했다. 이번 활동에서 주목된 점은 수색 및 구조 인력에 대한 후방 지원의 부족이다. 이에 따라 더프라미스는 경남자원봉사센터와 협의해 구조대원들을 위해 간식(바나나, 이온음료 등 400인분), 부식(4,500인분), 아이스 넥 스카프 260개를 긴급 지원했다. 또한, 산청군의 요청에 따라 자가 복구에 나선 이재민 200명에게 의류(반팔 티셔츠, 바지, 양말)와 식료품을 제공하고, 추가로 두유와 핫도그 세트 부식 400인분을 전달했다. 이번 긴급구호에는 총 약 2,400만 원 상당의 지원금이 투입되었으며, 불이암선원과 개인 후원자들의 정성이 큰 힘이 되었다. 묘장 스님은 “이번 수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 대종사가 오는 8월8일(윤 6월15일) 을사년 하안거(夏安居) 해제를 앞두고 법어를 내렸다. 성파 종정예하는 수행을 마친 안거 대중에게 “안거(安居)가 원만했고 자자(自恣)가 원만했으며 인연 있는 이들에게 전해줄 법식(法食)이 넉넉하니 금년 하안거는 제천이 환희하고 부처님께서 칭찬할 만하도다”며 “이 모두가 제방에서 수행하는 여러 선승들과 수행을 돕는 여러 소임자들과 신심 있는 불자들의 정성 어린 후원으로 이루어진 거룩한 불사이니 참으로 찬탄하노라”고 설했다. 이어 행을 점검하고, 산문을 나서는 수행자의 면면이 중생들에게 법(의심의 여지 없는 진리)이 되고 희망이 되기를 당부했다. 종정예하는 “폭우로 신음하는 여러 이웃들에게 따뜻한 손이 되고, 갈등으로 괴로워하는 이들을 품어내고 풀어줄 넓은 가슴이 있는가?”라고 묻고 “그대들의 걸음걸음은 법이 되고 얼굴에 피어나는 미소는 희망이 되리라. 누군가가 영축산의 소식을 물으면 어찌 답하시려는가? 올여름 무더위에 구룡지 옆 백일홍은 더욱 붉게 피어나고 돌솥에 차 향기는 더욱 진하다네” 하였다. 한편, 전국선원수좌회에서 전국 선원의 정진대중 현황을 정리한 <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水聲松影裏 禪意自淸閑 수성송영리 선의자청한 물소리가 흐르고 소나무 그림자 드리운 자리, 그곳에서 참선의 뜻은 저절로 맑고 고요하구나. 여름 바람이 뜨거워지는 아침, 차가운 물소리와 흔들리는 나뭇잎 사이로 잠잠히 앉아보세요. 더위를 피하려 하지 말고, 더위 속에 숨은 맑은 자리를 찾는 연습을 해봅시다. 덧없음을 아는 자는 서두르지 않는다. 덧없는 꽃은 피었다가 이내 지지만,그 향기는 사람의 마음속에 오래 남습니다. 우리 인생도 그러합니다. 젊음은 지나가고, 소유는 흩어지고, 감정은 흔들리며, 몸도 마음도 언젠가 멈춥니다. 그 덧없음을 알면 집착이 줄고, 탐욕이 식고, 마음이 맑아집니다. 그 순간 우리는 참된 ‘보시’와 ‘감사’, 그리고 ‘수행’의 길에 들어설 수 있습니다. 선禪은 더위를 식히는 바람이다 “더위를 없애려 하지 말고, 더위 속에서도 시원한 마음 하나 품어보라.” 이 말은 선창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르침입니다. 무더위에 짜증이 올라올 때, 몸은 땀에 젖었지만 마음만은 고요한 물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그것이 선禪의 힘입니다. 여름 한가운데서 마음을 식히는 법 1. 숨 고르기 등을 곧게 하고 편안히 앉으세요. 들이쉬는 숨을 따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부처님께서 기원정사에 머무실 때, 어느 날 보시의 공덕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불이 났을 때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불이 나면 슬기로운 사람은 먼저 바람이 부는 방향, 물이 있는 위치를 잘 살펴 가장 먼저 귀중한 물건과 생필품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그래서 집은 타더라도 재산은 지킬 수 있고,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리석은 사람은 허둥지둥 아무 생각 없이 불만 바라보다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됩니다. 보시도 이와 같습니다 인생이 덧없음을 아는 사람은 인생의 '불길'이 닥치기 전에 미리미리 보시의 공덕을 쌓습니다. 그리하여 복덕福德의 씨앗이 되고, 그 삶은 따뜻한 열매를 맺습니다. 하지만 보시의 참뜻을 모르는 사람은 끝까지 움켜쥐기만 하다 결국 재산도 덕도 모두 잃고 말게 됩니다. 그는 세상을 떠나며 그동안 쌓아둔 재물은 흩어지고, 탐욕과 집착은 고통의 원인이 됩니다. 진정한 보시란? 탐욕 없는 마음으로 주는 것입니다. 대가나 보답을 바라는 마음이 아니라, 순수한 자비와 이타심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보시를 잘 실천하는 사람은 덕 있는 이들의 보호를 받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으며, 넓은 신뢰와 명예를 얻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