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오는 2025년 3월 5일부터 11일까지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에서 열리는 제52차 국제문화교류전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적 유대와 우호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특별한 전시회다. 이번 전시는 양국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며, 주한 우즈베키스탄 알리셔 압두살로모프 대사와 외교저널 이존영 회장의 협의를 통해 마련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와 예술 작품이 한데 모이는 장대한 문화 교류의 장이 될 전망이다. 한국 작가 70여 명의 회화, 민화, 조각, 공예 등 다양한 작품들과 함께 우즈베키스탄 예술 작품 70여 점이 전시되며, 예술 애호가들과 일반 대중 모두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시의 주요 내용 및 특별 행사 이번 전시회에서는 양국의 예술 교류를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출신 학생을 201번째 장학생으로 선정하여 장학금을 수여하며, 동시에 대한민국 명인연합회 초청 10인 개인전도 함께 개최된다. 전시 하이라이트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수교 33주년 기념 한국미술관 2층에서 3월 5일~11일까지 개최 한국 작가 70여 명 작품 전시 및 우즈베키스탄 작품 70여 점 주한 우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2025년 새해를 맞아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적 유대를 강화하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제52차 국제문화교류전이 오는 3월 5일부터 11일까지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에서 개최되며, 양국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전시는 주한 우즈베키스탄 알리쉐르 아브두살로모프 대사와 외교저널 이존영 회장의 협의를 통해 마련되었다. 이번 전시는 70여 명의 한국 작가와 우즈베키스탄 예술 작품 70여 점이 한자리에 모이는 장대한 문화 교류의 장이 될 전망이다. 회화, 민화, 조각, 공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전시되어 예술 애호가는 물론 대중에게도 깊은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출신 학생을 201번째 장학생으로 선정해 장학금을 수여하며, 동시에 제2차 대한민국 명인연합회 초청 10인 개인전도 함께 개최된다. 이로써 양국의 예술적 교류는 더욱 풍성해질 전망이다. 전시 하이라이트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수교 33주년 기념 한국미술관 2층에서 3월 5일~11일까지 개최 한국 작가 70여 명 작품 전시 및 우즈베키스탄 작품 70여 점 주한 우즈베키스탄 출신 학생에게 장학금 수여 제2차 대한민국 명인연합회 초청 10인 개인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A rough axe, a dull blade Even if it can't cut down a mountain I won't stop due to the laughing peole I will silently move forward. When sweat seeps onto the stone And when my fingertips wear out At the end of the flowing time Finally, the needle will shine. Even if hardship is a wall I will knock and knock again. As water drops pierce through a rock My path will open. Continuous steps pierce the world And as an axe becomes a needle Even small dreams will become reality. Chanting 'Patience' three times in one's mind, opens the path. And endless effort overcomes the mountain. 담화풍
이정하 기자 | 성남시는 책 읽는 문화 활성화를 위해 100개 팀의 독서동아리를 선정해 연간 30만∼50만원 상당의 토론 도서를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1월 13일부터 2월 7일까지 '독서동아리 지원사업' 참여 신청을 받는다. 지원은 성인 독서동아리 80개 팀, 가족 독서동아리 20개 팀에 이뤄진다. 성인 독서동아리 신청 자격은 성남시 도서관사업소 홈페이지에 등록된 5명 이상, 월 1회 이상 정기 독서토론 동아리다. 오는 3월부터 활동 예정인 신규 동아리도 포함한다. 가족 동아리는 초등학생 자녀를 포함한 2명 이상의 가족으로 구성돼 있으면 된다. 선정되면 5명 이상의 독서동아리는 50만원 상당의 토론 도서를, 2∼4명의 독서동아리는 30만원 상당의 토론 도서를 지원받는다. 이와 함께 연합토론회, 문화 탐방, 강연회 등을 지원한다. 신청하려면 기한 내 성남시 도서관사업소 홈페이지(공지사항)에 있는 독서동아리 지원사업 신청서·활동 계획서·소개서·회원 명부 등 지정서식을 작성해 담당 부서 이메일(snlibbook@korea.kr)로 보내면 된다. 선정 결과는 오는 2월 14일 도서관사업소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시 관계자는 "독서동아리는 시민들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政客정객의 權利권리 다툼에, 主人주인된 民민이 둘로 나뉘어, 寒風한풍 吹雪취설 맞으며, 밤낮 없이 거리에서 울부짖네. 贊찬과 反반은 나뉘었으나, 苦痛고통은 모두가 같으니, 차디찬 道路도로 위에서, 骨髓골수까지 寒氣한기가 스며드누나. 骨切골절인 冬寒동한의 바람 속에서, 誰수를 위함인가 묻노라, 이젠 그만 싸움 멈추고, 國泰民安국태민안을 이루어라. 겨울은 지나고 春來춘래할지니, 무너진 民心민심을 다독여, 國家국가의 主人주인이, 더 이상 哀嘆애탄치 않게 하라. 요즘 우리나라는 政治정치가 아니라! 政恥정치(부끄러울치)이다! 政治정치의常識상식이 五里霧中오리무중이다! 인왕산인 담화 적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청곡 이재삼작가의 지두화指頭畵와 수장화手掌畵는 전통적인 붓을 사용한 화법에서 벗어나, 손의 일부를 도구로 사용하는 독창적이고 파격적인 미술 양식이다. 이 두 화법은 전통적 기법을 넘어선 새로운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며, 손과 몸을 예술적 도구로 변형시킨 작품들이다. 손끝, 손톱, 손바닥, 팔꿈치 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이 두 기법은 그 자체로 예술적 혁신을 의미한다. 지두화指頭畵는 손끝으로 그린 예술작품 지두화는 손가락 끝이나 손톱에 먹을 묻혀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말한다. 전통적인 붓을 사용하지 않고 손의 일부를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독특한 텍스처와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손가락, 손톱 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며, 그 방법이 단순히 화구를 바꾸는 것을 넘어선 파격적인 미학적 실험으로 이어진다. 지두화의 가장 큰 특징은 붓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과의 차별화하고 있다. 붓을 이용한 묘사에서는 나타나기 어려운 손끝의 섬세한 감각과 질감이 그림에 고스란히 드러낸다. 이는 예술적 표현의 다양성을 더욱 확장시키며, 새로운 미적 언어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장화手掌畵는손바닥과 팔꿈치로 그린
법왕청 신문 이정하 기자 |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지난 11월 11일 개막한 '찬란한 전설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 총 2만 6천 명의 관람객이 방문해 관람객으로부터 큰 호평을 받으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고(故) 천경자 화가의 탄생 100주년을 기리기 위해 작가의 고향인 고흥에서 개최된 전국 유일의 단독 전시로, 고흥분청문화박물관과 고흥아트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에는 채색화 29점, 드로잉 23점, 화선지에 먹으로 그린 작품 6점, 아카이브 102점 등 총 160점의 작가의 다양한 작품과 개인 소장품, 유품 등과 미디어 아트를 선보였으며, 전국 애호가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특히,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의 작품을 통해 천경자의 예술 세계가 현대적으로 재조명되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며, 관람객들에게 신선하고 심도 있는 경험을 선사했다는 평가다. 전시의 마지막 주말인 지난 12월 28일과 29일에는 하루 1,300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천경자에 대한 깊어진 관심을 실감할 수 있었다. 관람객들은 "고향인 고흥에서 열린 전시를 통해 천경자의 작품을 가까이에서 감상할 수 있어 매우 뜻깊었다"는 반영을 보였다. 천경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曇華風月담화풍월 "동지 冬至" 冬至雪至嚴冬寒 동지설지엄동한 紅豆香氣入家安 홍두향기입가안 祈願歲歲康寧福 기원세세강녕복 和順百年子孫滿 화순백년자손만 동짓날 눈이 내려 엄동설한이 깊어지니, 붉은 팥죽 향기 집 안에 가득하도다. 해마다 평안과 복을 기원하며, 화목한 백년 속에 자손이 넘쳐나길 바랄뿐이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글은 교령윤신敎令輪身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 지속적인 교화와 실천으로 백성을 이롭게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특히, 지도자는 말로만 머물지 않고 몸소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야 하며, 그 영향력이 온 세상에 미쳐야 함을 강조했다. 이 글은 현대 사회에서의 리더십과 공동체를 위한 헌신의 가치를 제시하며, 초암에서 이 시대를 위한 가르침으로 적었다. 敎化四方道若輪 교화사방도약륜 교화가 사방에 펼쳐지니 길이 바퀴 같고, 令聲九地志同心 명령구지지동심 명령은 아홉 땅에 울려 퍼져 마음이 하나 되네. 輪轉不息傳大道 윤전불식전대도 바퀴는 멈추지 않고 대도를 전하며, 身行萬里濟蒼民 신행만리제창민 몸은 만리를 다니며 백성을 구제하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曇華風月 담화풍월 “百鶴松風萬年仙景백학송풍만년선경” 백 마리 학이 날아올라 소나무 숲에 바람이 스미네. 천년의 청풍은 선계의 숨결, 만년의 노송은 하늘을 품었네. 맑은 하늘 아래 구름이 춤추고, 달빛 머문 산야엔 평화가 가득. 학의 노래와 소나무 향기가 영원을 속삭이는 신선의 경지라. 푸르름 가득한 이 풍경 속에서 한 점 티 없는 마음을 맡기리니, 백학이 부르는 노래에 실려 선경 속에 나 또한 쉬어가네. - 초암에서 담화 -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법화경(法華經)은 불교 경전 중에서도 가장 귀하고 소중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모든 중생에게 부처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가르칩니다. 법화경의 핵심은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는 가르침에 담겨 있으며, 이는 우리 모두가 본래부터 불성을 지닌 존재임을 의미합니다. 1. 묘법(妙法)의 의미 묘법연화경에서 "묘법"은 불교의 궁극적 진리를 뜻합니다. 이 진리는 시공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열려 있습니다. 법화경은 이 묘법이 연꽃처럼 청정하고 완전한 가르침이라는 점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듯, 우리도 삶의 괴로움 속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희망을 상징합니다. 2. 삼승(三乘)과 일승(一乘)의 화합 법화경은 초기 불교에서 언급된 삼승(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이 결국에는 하나의 길, 즉 일불승(一佛乘)으로 통합됨을 설하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수행자가 결국 하나의 목표, 즉 부처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을 가르칩니다. 법화경에서 설하는 비유 중 ‘삼거화성(三車火城)’ 이야기가 이를 잘 보여줍니다. 아버지가 자식들을 구하기 위해 각기 다른 수레를 제시했지만, 결국 모두 하나의 궁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옛날 어느 산골 마을에, 한 청빈한 나무꾼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하루하루 산에서 나무를 하며 근근이 생계를 이어갔습니다. 가진 것은 많지 않았지만, 그저 매일의 노동 속에서 소박한 기쁨을 느끼며 살았지요. 어느 날, 나무꾼이 도끼를 들고 산으로 향하던 중, 맑은 시냇가에 반짝이는 금빛을 발견했습니다. 가까이 가보니, 그것은 금으로 된 돌멩이였습니다. 나무꾼은 잠시 고민했지만, 스스로에게 말했습니다. “이 금덩이는 내가 굳이 필요하지 않다. 나에게는 이미 필요한 만큼의 음식과 집이 있으니, 이것을 욕심내지 말아야지.” 그는 금을 다시 시냇물에 내려놓고, 언제나처럼 나무를 하러 갔습니다. 며칠 뒤, 마을에 한 부자가 찾아와 말했습니다. “나는 이 마을에서 가장 만족한 사람이 누구인지 찾아 선물을 주려고 합니다.” 부자는 마을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은 만족합니까?” 그러나 마을 사람들 대부분은 더 많은 땅, 더 많은 재물을 원한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마침내 부자가 나무꾼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은 지금의 삶에 만족합니까?” 나무꾼은 미소 지으며 대답했습니다. “저는 나무를 해 오는 것으로 배를 채우고, 산바람을 맞으며 하루를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작가 노트나에 게 그림이란,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작업처럼 감정의 장애를 승화하여 삶을 지속하는 매개체와 같다. 어릴 적 언어가 늦어 소통을 그림으로 시작하였고, 나의 인생에서 그림은 나를 위로해주는 친구였고, 그러기에 끊임없이 그림을 그려왔다. 말할 수 없는 영혼의 고독과 외로움들 안에서 버릇처럼 그림을 찾았고, 그림을 그리면서 웃을 수 있었던 기억들이 지금도 눈앞에 선하게 그려진다. 본격적으로 그림 작업을 할 때 우연히 '진주란'이라는 열대어를 키우면서 그들만의 특성에서 나는 나를 보았고 쉼이 되었기에 모티브로 삼게 되었다. 진주린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자면, 진주린은 공격성이 제로인 물고기이기 때문에 그들만의 어항에 구별하여 키워주어야 했고, 물고기가 약하거나 죽어 갈 때도 공격하지 않고 오히려 보호해주는 모습을 보면서 나도 그런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간절함이 있었다. 그래서 나만의 피난처와 같이 진주인이라는 대제목으로 나의 깊은 내면의 세계를 단순화하여 온전히 나만의 이야기를 그림 안에서 펼쳐가고 있는 화가이다. 만약, 그림을 그릴 수 없었더라면, 너무나 나에게는 인생을 살아가는 데 지치고 외로웠을 것이다. 한 작품씩 완성하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可勉向正(가면향정)"힘써 바르게 향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可(가)'는 가능성을, '勉(면)'은 힘쓰고 노력함을, '向(향)'은 향하는 방향을, '正(정)'은 올바름을 나타냅니다. 즉, 우리는 노력하는 마음으로 올바른 길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爲福勿回(위복물회)"복을 이루려면 돌아보지 말라"는 말입니다. '爲(위)'는 만들다, 이루다를, '福(복)'은 행복과 복을, '勿(물)'은 하지 말 것을, '回(회)'는 되돌아보거나 후퇴함을 뜻합니다. 이는 우리가 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거의 후회나 망설임에 얽매이지 않고, 앞만 보고 나아가야 함을 말합니다. 내 마음 속에 근면(勤勉)이 깃들고, 정직(正直)을 실천하면 모든 것이 복이 되어 돌아옵니다. 이 말은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두 가지 덕목인 근면과 정직을 강조합니다. 근면은 시간을 헛되이 쓰지 않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입니다. 근면한 사람은 나태함을 버리고,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자기 역할을 다합니다. 이는 마치 밭을 갈고 씨앗을 심는 농부처럼, 미래를 위한 준비와 노력을 의미합니다. 정직은 진실을 말하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속이지 않는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오늘 우리는 "제행무상"이라는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을 나누고자 합니다. "제행諸行"은 모든 행위와 현상을 의미하며, "무상"은 영원히 고정되지 않고 변화한다는 뜻입니다. 즉, 이 세상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어떠한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진리를 가리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많은 변화를 경험합니다. 행복할 때는 그 행복이 영원하길 바라지만, 무상無常이라는 법칙 앞에서는 그 행복도 언젠가는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또한, 고통스럽거나 힘든 시기를 겪을 때 우리는 그 고통이 영원히 계속될 것처럼 느끼지만, 사실 그 고통조차도 무상합니다. 변화는 필연적이며, 이를 거부하기보다는 받아들이는 것이 지혜입니다.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면 우리는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좋은 일에 집착하거나, 나쁜 일에 절망하지 않고 그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그것이야말로 제행무상의 가르침이 주는 해탈의 길입니다. 여러분, 우리는 스스로의 삶에서도 무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젊음도, 건강도, 재물도 언젠가는 사라질 것입니다. 하지만 그 사라짐은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모든 것은 흘러가고, 변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