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한국의 美] 창덕궁 낙선재 일원樂善齋 一圓 Nakseonjae Complex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낙선재 일원은 현종이 1847년에 서재 겸 사랑채로 지은 낙선재와 이듬해, 낙선재 동쪽에 이웃하여 지은 석복헌, 수강재를 하나의 권역으로 일컫는 말이다. 낙선재는 일반적인 궁궐과 달리 단청을입히지 않았으며 창호, 담장, 굴뚝, 석물 등에 다양한 문양을 더하여 소박하지만 단아한 기품이 느껴지게 지어졌다. 석복헌은 헌종이 후궁인 경빈을 위해 지은 처소이며 수강재는 어린 왕을 대신하여 나랏일을 돌본 순원왕후가 머물렀던 곳이다. 또한 낙선재 일원에서 순종의 비 순정효황후가 1966년까지 살았고 영친왕의 비 이방자 여사와 고종의 막내딸 덕혜옹주가 1989년까지 머물렀다. • 단청은 벽, 기둥, 원장 등에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림이나 무늬를 그리는 것. In 1847, King Heonjong constructed Nakseonjac as his personal library and living quarters. The following year, the king constructed two more buildings to the east of Nakseonjae: Seokbokheon, a residence for his concubine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