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삼장전인三藏全人은 불교 용어로, 경經, 율律, 논論의 삼장三藏을 완전히 갖춘 사람을 의미합니다. 삼장은 불교 경전의 세 가지 주요 분류를 나타내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장經藏,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으로, 수행과 깨달음을 위한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율장律藏, 승가僧伽의 규율과 계율에 대한 내용을 다룬 경전으로, 올바른 수행과 공동체 생활을 위한 규칙을 설명합니다. 논장論藏, 경과 율의 가르침을 해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논서입니다. 삼장전인은 이 세 가지를 모두 깊이 이해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사람으로, 학문적 깊이뿐만 아니라 수행과 도덕적 완성에서도 탁월한 인격을 갖춘 이상적인 불교도를 가리킵니다. 불교의 전통에서 삼장전인은 보통 삼장법사三藏法師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삼장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있어 권위 있는 스승으로 인정받는 이들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천상의 길을 걸어온 발자취, 삼장전인의 여정은 먼 길, 문을 열어 주시고 가르침을 나누며 진리의 구슬을 우리에게 남기셨네. 하늘과 땅을 관통한 지혜의 길, 슬픔과 기쁨의 속삭임 속에서 참된 가르침을 찾고, 세상의 고통을 이해하려 했던 그대. 책의 한 장,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영산설법靈山說法은 불교 경전에서 가장 경이롭고 상징적인 장면 중 하나로, 부처님께서 영축산靈鷲山에서 설법하시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가르침은 우리가 삶 속에서 어떻게 깨달음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과 영감을 줍니다. 영산설법도는 이러한 가르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그 안에는 깊은 철학적 의미와 깨달음의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영산의 법회는 단순히 부처님의 설법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이는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다양한 중생들의 마음과 태도를 함께 나타냅니다. 법회에 참여한 대중들은 보살, 아라한, 비구, 그리고 일반 중생들까지 다양한 존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습은 깨달음의 길이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에게 차별 없이 열려 있다는 부처님의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상징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가르침의 핵심은 바로 연기법緣起法입니다. 세상 모든 것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존재하고, 그러므로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깨달으면 우리 삶의 고통과 번뇌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산설법도 속에서 부처님은 이러한 연기법의 진리를 설하며,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청주시 상당구에 위치한 벽사초불정사(약칭 불정사)가 본격적인 대작불사에 돌입했다.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이사장 담화총사)이 이끄는 불정사는 단순한 불교 수행의 공간을 넘어 우주적 차원에서 평화와 복을 기원하는 성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 벽사초불정사의 위용 불정사는 약 3만 5천 평의 광활한 부지 위에 현재 약 650평의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340평 규모의 2차 건물이 내년 1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이후 박물관, 대웅전, 요사채 등 600여 평의 신규 건축물이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봉안시설 15,000기와 위패시설 5만기를 포함한 대규모 공사가 진행 중으로, 이곳은 현대인들에게 삿된 것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공간으로 설계되고 있다. 2. 상징 조형물 “우주를 품은 佛 달” 지난 12월 1일, 불정사의 중심에는 높이 4미터, 폭 3.5미터, 무게 30톤에 달하는 거대한 조형물 “우주를 품은 佛 달”이 세워졌다. 이 조형물은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해와 달의 조화를 통해 화합과 평화를 상징하며, 우주와 인간의 조화를 꿈꾸는 담화총사의 비전을 담아냈다. 특히, 조형물에 담긴 하트 모양은 인간과 자연, 우주의 에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진충보국盡忠報國은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한다”는 가르침은 단지 국가를 위한 헌신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모든 관계 속에서 참된 충성과 헌신의 자세를 실천하라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1. 진충의 시작은 자신의 자리에서 충성은 거창한 행동에서 시작되지 않습니다. 가족, 친구, 직장에서 자신이 맡은 일을 성심껏 수행하는 것, 그리고 그 일에 진실한 마음으로 임하는 것이 진충의 출발입니다. 일상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온전히 다하는 것이 곧 나라를 위한 길과 연결됩니다. 2. 보국은 이웃과 함께하는 삶에서 나라를 보답하는 일은 단지 국익을 위한 행동으로만 해석될 수 없습니다. 우리 주변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것이 보국의 본질입니다. 작게는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에서부터, 크게는 사회 전체의 행복을 위해 기여하는 삶이 곧 보국입니다. 3. 불자의 진충보국은 깨달음을 전하는 일 불자로서의 진충보국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신의 삶에 실천하며, 그것을 통해 타인에게도 깨달음과 자비의 정신을 전하는 것입니다. 나의 수행과 자비로운 행위가 사회와 국가의 근본적인 발전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정사에 솟아오르다, 우주를 품은 거대한 달. 그 안에 담긴 것은, 하늘의 뜻과 인류의 소망. 3.5미터의 넓은 품으로 4미터 높이의 숭고한 몸짓. 30톤의 무게마저 가벼이 떠받드는 신령의 힘. 삿된 것을 물리치고 평화를 꿈꾸는 이곳, 불정사의 품 안에서 우주는 인간과 조화를 이루네. 하늘은 말을 걸고, 대지는 축복을 보내며, 그 에너지는 흐르고 흘러 우리 마음의 佛 달을 밝히리. 지난 12월 1일, 청주에서 시작된 대작불사, 삶과 우주의 연결을 향한 첫 걸음. 전주행 KTX에서 적다. 2. 담화풍월曇華風月 "벽사초불정사의 미래" 담화 속에서 피어난 꽃, 달빛 아래 춤추는 바람의 노래. 벽사초불정사의 품은 우주, 영원히 머무는 평온의 별들이라. 환구단에 새겨진 마음의 기도, 영구위패엔 쉼 없이 흐르는 강물처럼 삶과 죽음이 하나 되어 불빛 아래 평화를 찾는다. 천 스님 붓끝의 숨결, K-민화 속 살아 숨 쉬는 한국의 혼. 우표의 기록, 시간의 흔적, 그곳엔 세월을 넘어선 빛이 머물다. 풍월이 깃든 이 공간에서 담화의 꿈을 품은 달이 되리라... 2024.12.9 서울행 KTX 안에서 적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글은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의 개념과 함께 삶과 죽음, 그리고 집착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담은 내용이다. 세상은 그저 바람처럼 스쳐가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니, 모든 것은 한때의 환영이요, 본질은 결국 공空이라. 꽃이 피어나도 시들어 사라지듯, 마음의 욕망도 언젠가 잦아들리라. 물 흐르듯 흐르는 이 삶 속에서, 집착 없는 마음이 진리를 보리라. 너와 나, 그리고 만물은 하나요, 차별 없는 눈으로 보면 진리가 보이네. 삶과 죽음조차 허망한 꿈일 뿐, 본래의 자아는 이미 깨달음 속에 있네. 공空의 꽃 의미 - 불교적 공空 사상의 상징과 메시지 삶과 죽음의 진리 - 불교에서 바라본 생과 멸의 본질 집착 없는 삶의 지혜 -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르침 본래 자아와 깨달음 - 불교의 깨달음에 이르는 길과 자기 발견 공空 사상과 현대적 해석 - 전통 불교 사상의 현대적 응용과 통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담화풍월曇華風月의 의미는 고결하고 깨달음을 담은 시적 표현의 의미와 해석, 삼장전인三藏傳人의 여정은 삼장의 가르침과 수행자의 길에 대한 이해, 불교 진리와 깨달음이란 고난 속에서 빛을 찾는 진리의 여정, 고승들의 지혜의 발자취는 삼장전인을 통해 본 위대한 깨달음의 유산, 불교 문학과 시에는 담화풍월과 같은 불교적 시어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이다. 천상의 길을 걸어온 발자취, 삼장전인의 여정은 먼 길, 문을 열어 주시고 가르침을 나누며 진리의 구슬을 우리에게 남기셨네. 하늘과 땅을 관통한 지혜의 길, 슬픔과 기쁨의 속삭임 속에서 참된 가르침을 찾고, 세상의 고통을 이해하려 했던 그대. 책의 한 장, 한 장에 담긴 사랑과 고난의 이야기, 세속을 초월한 그 진리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을 비추어 주는 빛. 거룩한 길을 걸어온 전인, 삼장에 깃든 깊은 법문, 그대의 지혜가 나날이 펼쳐져 우리의 삶에 평화와 깨달음을 주네. 삼장전인三藏傳人의 흔적 따라 진리의 길을 걸으며 끝없는 여정 속에서 우리도 그와 함께 할 수 있기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담화풍월曇華風月, "불정사의 소사모종蘇寺暮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어봅니다. 해 저문 산허리에 노을이 드리우고 불정사의 고요함 속에 종소리 울리네. 한 번, 두 번, 메아리치는 맑은 울림 잠든 마음을 깨우며 저 멀리 퍼지네. 소나무 숲길 따라 바람도 숨죽이고 달빛은 살며시 마루 끝에 내려앉는다. 종소리 끝자락에 담긴 깊은 평안 삶의 고단함도 서서히 흩어지리. 저녁의 종소리는 어둠을 걷어내고 소생의 새벽으로 우리를 이끌리라. -초암에서 담화-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벽사초불정사辟邪招佛精舍(불정사)는 이름 그대로 "부정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이는 신성한 공간"으로, 불교의 깊은 전통을 경험하면서 현대 예술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이다. "불정사에 "우주를 품은 佛 달"이 뜨다."를 2024년 12월 1일 세워지다. 담화풍월曇華風月 "불정사에 "우주를 품은 부처님 달"이 뜨다." 고요한 밤, 산사의 숨결 따라 달빛이 내려온다. 수백 겹 구름을 뚫고, 영원의 침묵 속에서, 빛나는 부처님 둥근 달, 그 안에 우주를 품고 있다. 별빛의 속삭임도, 은하의 흐름도 모두 그 안에 깃들어, 천상의 정수를 담는다. 불정사의 마루 끝에 앉아, 달을 바라보면 무심한 마음에도, 우주의 숨결이 차오르리라. 그 빛을 닮아가는 나의 마음, 비움과 채움이 하나 되는 순간, 그곳에서 진리가 피어난다. 오늘 밤, 불정사에 뜬 달은 단순한 달이 아니라 우주의 품이요, 삶의 佛 해답이라.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제주도에서 태어난 일붕 서경보 스님(1914년 10월 10일 - 1996년 6월 25일)은 한국 불교를 세계에 널리 알린 불교계의 선구자였다. 불교의 진리를 깨닫고자 19세의 나이에 승려로 출가한 스님은 이후 끊임없는 수행과 학문적 탐구로 명성을 쌓아갔다. 특히, 스님은 1964년에 승려로서 최초로 미국에 도착하여 현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함으로써, 한국 불교계에 있어 역사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법왕 일붕 서경보 스님의 주요 활동과 업적 스님은 한국 불교 승려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로, 약 124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소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는 세계불교 법왕청 초대 법왕을 역임하였으며, 대한민국 W.F.B. 한국지부장을 맡아 국제적인 평화 활동을 펼쳤다. 1960년대 스님의 미국 생활은 미국 내에서 불교를 알리고 교류를 촉진하는 기회가 되었다. 스님은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청룡종(Blue Dragon Order)의 창립자와 제자로서의 관계를 맺었으며, 이곳을 비롯해 알라바마 헌츠빌의 선원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스님은 세계평화교육자 국제협의회의 창설자인 찰스 버스킨과 함께 UN에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선시불심禪是佛心"이라는 말은 "선禪이 곧 부처님의 마음이다"라는 뜻으로, 선禪의 본질이 바로 부처님의 마음을 깨닫는 것임을 가리킨다. 이 말은 깨달음과 불성佛性이 이미 우리 마음 안에 있음을 나타내며, 선 수행이 이를 체험하는 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선사불禪是佛心의 의미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선禪"이란 무엇입니까? 선은 단순히 앉아서 명상을 하는 것 이상의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선은 우리 마음의 본질, 즉 부처님의 마음을 바로 보는 수행이다. "선시불심禪是佛心"은 부처님의 마음이 곧 선이며, 선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뜻한다. 이것은 깨달음의 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마음속에 이미 존재한다는 가르침이다. 많은 사람들이 선을 어렵고 복잡하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선은 우리 마음을 고요히 하고, 본래의 자리를 찾는 것이며, 그 자리가 바로 불성佛性, 즉 부처님의 마음이다. 선을 통해 우리는 본래의 참된 자아를 만나고, 그 안에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를 발견하게 된다. 부처님은 멀리 있는 어떤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부처님은 바로 우리 마음속에 깃들어 있다. 선 수행을 통해 우리는 이 불성을 깨닫고, 그 깨달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견리사의見利思義"라는 말은 이익을 보거든 의로움을 생각하라는 의미로, 공자의 가르침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이익이 눈앞에 보일 때 그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일인지, 정당한 방법인지 신중히 고민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일상 속에서 많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히 마주하는 것은 "이익"과 "의로움" 사이의 선택이다. 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 이익을 취하려는 충동을 느낀다. 그러나 공자는 이렇게 가르쳤다. "이익을 보거든 의로움을 생각하라.“ 이 말씀은 단순한 경제적 이득만을 쫓지 말고, 그 이익이 올바른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인지, 그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지 않았는지, 그 선택이 더 넓은 공동체에 이로운지 고민하라는 것이다. 첫째, 의로움을 생각하는 마음 눈앞에 이익이 나타날 때 우리는 '이것이 과연 정의로운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한다. 정의는 개인적인 이익보다 큰 가치를 가진다. 정의로운 길을 걷는다면, 비록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결국에는 더 큰 신뢰와 존경을 얻게 될 것이다. 둘째, 이익이 아닌 공동체를 생각하라 공자의 가르침은 개인의 이익이 아닌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내 삶이 정말 행복을 향해 가고 있는지 아니면 경주마처럼 그저 앞으로만 달려가고 있는지요? 내 인생이 추구하는 방향은 무엇인가? 내 영혼이 즐거이 따를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아무리 단단하고 강한 물건도 함부러 쓰면 금방 망가진다. 젊고 건강하다 하여 무리하면 안된다. 권력을 잡을려고 별짓을 다해 잡으면 잘써야 본전이다. 재력도 무리하게 쌓으면 티끌모아 태산이지만 무너지는건 바닷가 모래성과 다를바 없다. 명예도 얻는것이 다가 아니다 명예가 실추될때 모든것이 무너져 마치 망한 폐가집 문패 떨어지듯 한다. 모든 인생 삶에서 만고풍상萬古風霜을 겪으면서 자신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행복도 불행도 정해진다. 값진 인생. 품격있는 인생으로 아름답게 살아 가자!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을까 하는 고민은 우리가 평생동안 마음에 담고 사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인생은 정답이 없기에 더욱 풀기 어려운 문제같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충남도는 10일 도청 외부접견실에서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재단 이웃돕기 물품 전달식’을 개최했다. 이번 전달식에는 김태흠 지사와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원장 성해 스님, 성우종 충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김 지사는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재단으로부터 720만 원 상당의 라면 500상자를 기탁받았다. 기탁 물품은 충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충남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푸드뱅크에 배분하고 도내 저소득층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이웃을 위해 따뜻한 나눔을 실천한 한국불교 태고종에 감사를 전하고 기탁 물품은 지역 곳곳 어려운 이웃을 지원하는 데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은사 지흥대강백을 추모하며 “한국불교가 다시 한번 되살아나서 중흥할 수 있는 계기를 저로부터 마련하겠다"는 원력을 밝히고 "한국불교가 세계불교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저와 함께 전심전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6월 3일 담양 용흥사(주지 덕유스님)에서 열린 백운당(白雲堂) 지흥(知興)대강백 4주기 추모다례재에서 이같이 밝혔다. 백운당 지흥대강백은 1934년 전남 장성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만암대종사 조카이자 인곡대종사 사촌형이었다. 부친이 머물렀던 화방사에서 유년생활을 하던 스님은 1944년 만암스님 맏상좌 석상스님을 은사로 백양사에서 출가했다. 만암대종사와 용성대종사의 친선조약에 따라, 만암대종사는 백운스님을 동산스님 문하로 보내고, 대신 범어사 강사로 있던 석산스님을 백양사로 오게했다. 범어사로 간 백운스님은 동산스님을 모시고 수학하다가 1955년 통도사에서 운허 강백 지도하에 월운, 지관, 홍법스님과 동문수학했다. 해인사가 설립한 마산대학에 입학해 월운, 지관스님과 공부했고, 1962년 졸업했다. 제방에서 참선수행을 하다 동산스님과 함께 정화불사에 동참했다. 1971년~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