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眞如不二진여불이, 즉 "진리는 둘이 아니다"라는 가르침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진여眞如’는 모든 존재의 본래 모습, 즉 변하지 않는 진리를 뜻합니다. 이는 분별과 차별이 개입되지 않은 절대적 실상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 깨달음이란 바로 이 진여를 체득하는 것이며, 모든 번뇌와 망상을 떠나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불이不二’란 두 개로 나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세상은 흔히 선과 악, 옳고 그름, 나와 남이라는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구분이 없습니다. 이는 《금강경》에서 말하는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어느 곳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라는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등의 분별심에 사로잡힙니다. 하지만 모든 것은 본래 하나의 진실된 모습에서 비롯되었고, 상대적인 구분은 인간의 인식 속에서 생겨난 것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진여불이를 체득하는 수행이란, 본래의 자리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차별 없이 평등한 마음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진여불이의 가르침을 삶에서 실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제28회 세계평화미술대전 운영위원장으로 김용모 서양화가가 선출되었다. 김용모 운영위원장은 오랜 기간 예술계에서 활동하며 국내외 미술 발전에 기여해 온 인물로, 이번 대전을 통해 세계 평화와 예술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릴 계획이다. 세계평화미술대전은 예술을 통한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는 국제적인 미술 행사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 작품을 통해 세계인의 공감과 소통을 이끌어 내고 있다. 특히 올해 대회는 수준 높은 작품과 창의적인 예술가들의 참여로 더욱 주목받고 있으며, 김용모 운영위원장의 지도 아래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행사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모 운영위원장은 "예술은 국경을 초월해 사람들의 마음을 연결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번 세계평화미술대전을 통해 평화와 화합의 의미를 되새기고, 더 많은 예술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제28회 세계평화미술대전은 국내외 예술가들이 함께하는 국제 미술 교류전으로, 50여 개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조직위원회는 주한 외국 대사관과 협력해 해외 작가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시상식에는 다수의 주한 외교사절이 초청될 예정이다. 이번 대전은 신진 작가 발굴과 세계 미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번뇌와 욕망 속에서 본래의 자신을 잊고 흔들리며 살아갑니다. 세상의 소리에 휩쓸리고, 남들의 시선에 얽매이며, 때로는 자신의 본모습조차 알지 못한 채 방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본성本性은 언제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본연本然의 자리”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태어나기 전에도 있었고, 죽음 이후에도 변하지 않는 참된 자리입니다.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에 가려져 있지만, 본래 맑고 고요하며 자유로운 자리입니다. 우리가 번뇌를 걷어내고 집착을 놓으면, 그 자리에는 언제나 밝은 지혜와 한없는 자비가 있습니다. 세속의 삶은 마치 흐르는 강물과 같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때로는 거센 물살에 휩쓸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강물 아래 깊은 곳은 언제나 고요하고 흔들림이 없습니다. 우리의 본래 자리도 이와 같습니다. 아무리 삶이 거칠고 복잡할지라도,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면 모든 것이 편안해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나의 본래 모습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마음을 닦고,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야 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국가유산청은 2월 18일 오후 1시 합천 해인사 성보박물관(경남 합천군)에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가 국보로 지정된 것을 기념해 해인사 신도들과 지역주민이 함께 하는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1997년 보물로 지정된 후, 30여 년 만에 국보로 승격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2002년 성보박물관으로 옮기기 전까지 해인사 대적광전 우측 벽에 걸려 있던 불화로, 화면 하단의 화기(畵記)를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을 비롯한 여성(汝性), 행종(幸宗), 민희(敏熙), 말인(抹仁) 등 제작 화승(畵僧)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작품이다. 이 가운데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붓의 신선인 ‘호선(毫仙)’이라는 특별한 호칭으로 기록하여 그의 뛰어난 기량을 짐작할 수 있다. 의겸은 18세기 조계산과 지리산을 거점으로 전라·경상도 지역을 넘나들며 왕성하게 활동했던 화승으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의겸의 대형 불화 제작 기량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했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시키고 나머지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眞如不二진여불이, 즉 "진리는 둘이 아니다"라는 가르침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진여眞如’는 모든 존재의 본래 모습, 즉 변하지 않는 진리를 뜻합니다. 이는 분별과 차별이 개입되지 않은 절대적 실상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 깨달음이란 바로 이 진여를 체득하는 것이며, 모든 번뇌와 망상을 떠나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불이不二’란 두 개로 나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세상은 흔히 선과 악, 옳고 그름, 나와 남이라는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구분이 없습니다. 이는 《금강경》에서 말하는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어느 곳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라는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등의 분별심에 사로잡힙니다. 하지만 모든 것은 본래 하나의 진실된 모습에서 비롯되었고, 상대적인 구분은 인간의 인식 속에서 생겨난 것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진여불이를 체득하는 수행이란, 본래의 자리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차별 없이 평등한 마음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진여불이의 가르침을 삶에서 실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번뇌와 욕망 속에서 본래의 자신을 잊고 흔들리며 살아갑니다. 세상의 소리에 휩쓸리고, 남들의 시선에 얽매이며, 때로는 자신의 본모습조차 알지 못한 채 방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본성本性은 언제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본연本然의 자리”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태어나기 전에도 있었고, 죽음 이후에도 변하지 않는 참된 자리입니다.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에 가려져 있지만, 본래 맑고 고요하며 자유로운 자리입니다. 우리가 번뇌를 걷어내고 집착을 놓으면, 그 자리에는 언제나 밝은 지혜와 한없는 자비가 있습니다. 세속의 삶은 마치 흐르는 강물과 같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때로는 거센 물살에 휩쓸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강물 아래 깊은 곳은 언제나 고요하고 흔들림이 없습니다. 우리의 본래 자리도 이와 같습니다. 아무리 삶이 거칠고 복잡할지라도,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면 모든 것이 편안해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나의 본래 모습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마음을 닦고,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야 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개부구족開敷具足은 연꽃이 피면 반드시 열매를 맺는다는 뜻입니다. 이는 불교의 가르침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우리의 신행信行과 수행의 방향을 시사합니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자라지만 맑고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이는 혼탁한 세상에서도 깨달음의 길을 걸을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연꽃이 한 번 피면 반드시 열매를 맺듯이, 올바른 원願을 세우고 정진하면 반드시 그에 합당한 결과를 얻게 된다는 법칙을 보여줍니다. 이 가르침은 우리에게 세 가지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불교에서는 인과(因果)의 법칙을 강조합니다. 선한 씨앗을 심으면 선한 결과가 오고, 악한 씨앗을 심으면 그에 따른 과보를 받습니다. 우리가 수행을 통해 지혜와 자비를 실천하면 반드시 그 공덕이 우리 삶에 열매로 맺힙니다. 연꽃이 피려면 물과 햇빛, 시간이 필요하듯이, 수행과 신행도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불법佛法을 듣고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그것을 몸소 실천하고 생활 속에서 꽃피워야 합니다. 연꽃은 진흙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습니다. 우리도 세속의 번뇌와 고난 속에서도 물들지 않고 깨끗한 마음을 유지해야 합니다. 불교 수행을 통해 내면을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광명종 수은사는 지난 11일 저소득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150만 원 상당의 백미를 복수면에 기탁했다. 이번 기탁은 수은사 주지 혜인 스님과 신도 50여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나눔 활동의 일환으로, 이들은 꾸준히 백미와 라면 등 생필품을 후원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해 오고 있다. 기탁식에는 박선자 복수면장, 김기종 복수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기탁된 백미는 복수면희망나눔곳간을 통해 지역 내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골고루 전달될 예정이다. 혜인 스님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작은 나눔이라도 실천할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선자 복수면장은 "항상 어려운 이웃을 위해 애정과 관심을 기울여 주시는 혜인 스님과 신도들께 감사드린다"며 "기탁해 주신 물품을 꼭 필요한 분들에게 잘 전달하겠다"고 전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 조계종 국청사 서호 주지스님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광주시에 백미 200포(4㎏, 300만 원 상당)를 기탁했다. 서호 주지스님은 지난 6일 기탁식에서 "많은 분의 관심과 성원으로 백미를 전달하게 됐다"며 "따뜻한 마음과 함께 십시일반 모은 백미가 도움이 필요한 곳에 잘 쓰이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국청사 신도들과 수많은 대중의 손길로 모인 백미를 기탁해 주셔서 감사드린다"며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가구에 잘 전달하겠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국청사는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실천하며 지속적으로 이웃을 위한 나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기탁을 통해 어려운 이웃들에게 따뜻한 정을 나누고, 지역 사회에 희망을 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湖月撈影호월료영 "호수의 달을 건지려 하다" 湖水無塵映月明 호수무진영월명 "호수는 먼지 없이 맑아 달빛을 밝게 비추네." 輕波一掬碎光生 경파일국쇄광생 "잔잔한 물결 한 줌 뜨니 부서진 빛이 인다." 虛浮難取縈手裏 허부난취영수리 "뜬 그림자 잡기 어려워 손안에서 맴도네." 空勞夢影滿江聲 공로몽영만강성 "공허한 노고만 남고, 강물엔 꿈의 그림자만 가득하네." 이 한시는 "호수에 비친 달을 건지려 하지만 결국 잡을 수 없다"는 내용을 통해 헛된 욕망과 허망함을 표현했다. 호수는 맑고 달빛은 선명하다. 하지만 욕망의 대상은 단지 아름답고 매력적일 뿐, 실체가 없다. 손으로 물을 떠보지만, 달빛은 깨지고 흩어진다. 잡으려 하면 사라지고 만다. 달 그림자는 본래 손에 잡을 수 없는 것이다. 욕망이란 애초에 이룰 수 없는 허상과 같기 때문이다. 결국 허망한 노력만 남고, 강물 위에는 여전히 달 그림자만 떠 있을 뿐이다. 헛된 욕심을 부려도 얻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 시는 "잡을 수 없는 것을 잡으려 하면 헛된 노력만 남는다"는 깨달음을 담고 있으며, 불교의 무상無常, 모든 것은 변하고 집착할 가치가 없다는 가르침과도 맞닿아 있다.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그런데 음식 준비하느라 정신없고, 차례상에 뭐 올릴지 고민하는 분들도 많죠. 하지만 여러분,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하나하나에도 깊은 뜻이 숨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조상님들께서 대대로 차례상에 꼭 올리라고 하신 과일이 있습니다. 바로 조율이시(棗栗梨枾) - 대추, 밤, 배, 감입니다. 왜 하필 이 네 가지 과일일까요? 사실 이 과일들은 단순한 먹거리가 아닙니다. 우리 인생을 담은 철학이자, 조상님들이 우리에게 주신 삶의 지혜입니다. 그러니 오늘은 이 과일들이 하는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시죠. 대추(棗) “네 인생엔 헛꽃이 없어!” 대추나무는 참 독특한 나무입니다. 다른 과일들은 꽃이 피어도 열매가 맺히지 않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대추는 헛꽃이 없습니다! 한 번 꽃이 피면 반드시 열매가 맺힙니다. 이게 우리 인생과 닮지 않았나요? "네가 흘린 땀은 결코 헛되지 않는다." 사람들은 늘 걱정을 합니다. "이거 한다고 될까? 괜히 헛수고하는 거 아닐까?" 하지만 대추가 말합니다. "일단 시작해라. 노력한 것은 반드시 네 것이 된다!" 올해는 주저하지 맙시다. 대추처럼 한 번 꽃을 피웠으면 끝까지 열매를 맺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일체개공"이란 모든 것은 본래 실체가 없고 공空이라는 불교의 근본 가르침입니다. 이는 집착과 고통에서 벗어나 참된 자유를 얻기 위한 길을 제시합니다. 세상의 모든 현상은 인연으로 인해 일어나고 사라집니다. 꽃이 피는 것도 지는 것도 인연이 다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마주하는 기쁨과 슬픔, 성공과 실패도 모두 영원하지 않습니다. 이 진리를 깨달으면 현재의 고통에 집착하지 않고, 미래에 대한 두려움도 덜어낼 수 있습니다. 공空은 단순히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것은 모든 것이 인연에 의해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비어 있음 속의 풍요로움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그릇의 물을 보면 물 자체는 공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갈증을 채우는 귀한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공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모든 것에 감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고통받는 이유는 사라질 것을 붙잡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돈, 명예, 관계에 대한 집착은 결국 마음의 짐이 됩니다. 공의 지혜를 깨닫고 집착을 내려놓으면, 진정한 평화와 자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일체개공의 가르침은 일상 속에서 실천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집니다. 매 순간 변화하고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