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70년, 법랍 39세, 세수 57세가 되는 경술(庚戌)년 국내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 신민당 대통령 후보에 김대중 지명, 박정희 대통령 남북통일에 관한 8.15선언, 전태일 분신자살, 마포 와우아파트 붕괴, 한강 변에서 정인숙 여인 피살, 한글학자 최현배사망, 光州경찰서 미니스커트 착용자 8명 즉심 회부 등이 발생했다. 불교계에서는 문공부가 대처승단인 한국 태고종단 등록을 인정한(5.9) 일이 생겼으며, 세계불교 지도자대회가 서울에서 열려(10.10-16) 21개국 대표 76명이 참가했다. 국제적으로는 영국 버트런트 럿셀 사망, 중국 첫 인공위성 발사, 프레이저가 알리를 이겨 헤비급 챔피언 획득, 인도네시아 수카르노 前 대통령 타계, 로마교황청 재산공개, 낫세르 통일아랍 대통령 타계, 프랑스 드골 전 대통령 타계, 닉슨 유고 티토와 정상회담 등이 있었다. 유달리 전직 원수들이 많이 사망한 해였고 '여성 상위시대'라는 유행어가 나돌고 '검은 고양이 네로'란 유행가가 골목마다 울려 퍼진 70년대의 첫 해였다. 겨울방학을 맞이했음에도 더욱 바빠진 일붕은 전국을 돌며 세미나와 강연을 했다. 1월 11일 오전 10시 30분, 동국대 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시는 "끈기와 희망을 품고 나아가면 결국 모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불정사 사찰에 신도들이 이 시를 보며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나무에 새겨 환구단圜丘壇 주변에 글귀로 남겨두고자 함이다. 愚翁大志不可量 우옹대지불가량 우공의 큰 뜻은 헤아릴 수 없고, 千年巨石亦可降 천년거석역가강 천 년 묵은 거대한 바위도 옮길 수 있으니라. 心懷夢想路必開 심회몽상로필개 마음에 꿈을 품으면 길은 반드시 열리고, 苦行不止福自訪 고행부지복자방 고행을 멈추지 않으면 복이 스스로 찾아오리라. 雲散風和晴日照 운산풍화청일조 구름 걷히고 바람 고요하니 맑은 해가 비추고, 山前松柏亦生光 산전송백역생광 산 앞의 소나무와 잣나무도 빛을 발하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삼장전인三藏全人은 불교 용어로, 경經, 율律, 논論의 삼장三藏을 완전히 갖춘 사람을 의미합니다. 삼장은 불교 경전의 세 가지 주요 분류를 나타내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장經藏,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으로, 수행과 깨달음을 위한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율장律藏, 승가僧伽의 규율과 계율에 대한 내용을 다룬 경전으로, 올바른 수행과 공동체 생활을 위한 규칙을 설명합니다. 논장論藏, 경과 율의 가르침을 해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논서입니다. 삼장전인은 이 세 가지를 모두 깊이 이해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사람으로, 학문적 깊이뿐만 아니라 수행과 도덕적 완성에서도 탁월한 인격을 갖춘 이상적인 불교도를 가리킵니다. 불교의 전통에서 삼장전인은 보통 삼장법사三藏法師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삼장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있어 권위 있는 스승으로 인정받는 이들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천상의 길을 걸어온 발자취, 삼장전인의 여정은 먼 길, 문을 열어 주시고 가르침을 나누며 진리의 구슬을 우리에게 남기셨네. 하늘과 땅을 관통한 지혜의 길, 슬픔과 기쁨의 속삭임 속에서 참된 가르침을 찾고, 세상의 고통을 이해하려 했던 그대. 책의 한 장,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청주시 상당구에 위치한 벽사초불정사(약칭 불정사)가 본격적인 대작불사에 돌입했다.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이사장 담화총사)이 이끄는 불정사는 단순한 불교 수행의 공간을 넘어 우주적 차원에서 평화와 복을 기원하는 성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 벽사초불정사의 위용 불정사는 약 3만 5천 평의 광활한 부지 위에 현재 약 650평의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340평 규모의 2차 건물이 내년 1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이후 박물관, 대웅전, 요사채 등 600여 평의 신규 건축물이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봉안시설 15,000기와 위패시설 5만기를 포함한 대규모 공사가 진행 중으로, 이곳은 현대인들에게 삿된 것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공간으로 설계되고 있다. 2. 상징 조형물 “우주를 품은 佛 달” 지난 12월 1일, 불정사의 중심에는 높이 4미터, 폭 3.5미터, 무게 30톤에 달하는 거대한 조형물 “우주를 품은 佛 달”이 세워졌다. 이 조형물은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해와 달의 조화를 통해 화합과 평화를 상징하며, 우주와 인간의 조화를 꿈꾸는 담화총사의 비전을 담아냈다. 특히, 조형물에 담긴 하트 모양은 인간과 자연, 우주의 에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진충보국盡忠報國은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한다”는 가르침은 단지 국가를 위한 헌신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모든 관계 속에서 참된 충성과 헌신의 자세를 실천하라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1. 진충의 시작은 자신의 자리에서 충성은 거창한 행동에서 시작되지 않습니다. 가족, 친구, 직장에서 자신이 맡은 일을 성심껏 수행하는 것, 그리고 그 일에 진실한 마음으로 임하는 것이 진충의 출발입니다. 일상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온전히 다하는 것이 곧 나라를 위한 길과 연결됩니다. 2. 보국은 이웃과 함께하는 삶에서 나라를 보답하는 일은 단지 국익을 위한 행동으로만 해석될 수 없습니다. 우리 주변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것이 보국의 본질입니다. 작게는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에서부터, 크게는 사회 전체의 행복을 위해 기여하는 삶이 곧 보국입니다. 3. 불자의 진충보국은 깨달음을 전하는 일 불자로서의 진충보국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신의 삶에 실천하며, 그것을 통해 타인에게도 깨달음과 자비의 정신을 전하는 것입니다. 나의 수행과 자비로운 행위가 사회와 국가의 근본적인 발전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정사에 솟아오르다, 우주를 품은 거대한 달. 그 안에 담긴 것은, 하늘의 뜻과 인류의 소망. 3.5미터의 넓은 품으로 4미터 높이의 숭고한 몸짓. 30톤의 무게마저 가벼이 떠받드는 신령의 힘. 삿된 것을 물리치고 평화를 꿈꾸는 이곳, 불정사의 품 안에서 우주는 인간과 조화를 이루네. 하늘은 말을 걸고, 대지는 축복을 보내며, 그 에너지는 흐르고 흘러 우리 마음의 佛 달을 밝히리. 지난 12월 1일, 청주에서 시작된 대작불사, 삶과 우주의 연결을 향한 첫 걸음. 전주행 KTX에서 적다. 2. 담화풍월曇華風月 "벽사초불정사의 미래" 담화 속에서 피어난 꽃, 달빛 아래 춤추는 바람의 노래. 벽사초불정사의 품은 우주, 영원히 머무는 평온의 별들이라. 환구단에 새겨진 마음의 기도, 영구위패엔 쉼 없이 흐르는 강물처럼 삶과 죽음이 하나 되어 불빛 아래 평화를 찾는다. 천 스님 붓끝의 숨결, K-민화 속 살아 숨 쉬는 한국의 혼. 우표의 기록, 시간의 흔적, 그곳엔 세월을 넘어선 빛이 머물다. 풍월이 깃든 이 공간에서 담화의 꿈을 품은 달이 되리라... 2024.12.9 서울행 KTX 안에서 적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글은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의 개념과 함께 삶과 죽음, 그리고 집착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담은 내용이다. 세상은 그저 바람처럼 스쳐가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니, 모든 것은 한때의 환영이요, 본질은 결국 공空이라. 꽃이 피어나도 시들어 사라지듯, 마음의 욕망도 언젠가 잦아들리라. 물 흐르듯 흐르는 이 삶 속에서, 집착 없는 마음이 진리를 보리라. 너와 나, 그리고 만물은 하나요, 차별 없는 눈으로 보면 진리가 보이네. 삶과 죽음조차 허망한 꿈일 뿐, 본래의 자아는 이미 깨달음 속에 있네. 공空의 꽃 의미 - 불교적 공空 사상의 상징과 메시지 삶과 죽음의 진리 - 불교에서 바라본 생과 멸의 본질 집착 없는 삶의 지혜 -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르침 본래 자아와 깨달음 - 불교의 깨달음에 이르는 길과 자기 발견 공空 사상과 현대적 해석 - 전통 불교 사상의 현대적 응용과 통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담화풍월曇華風月의 의미는 고결하고 깨달음을 담은 시적 표현의 의미와 해석, 삼장전인三藏傳人의 여정은 삼장의 가르침과 수행자의 길에 대한 이해, 불교 진리와 깨달음이란 고난 속에서 빛을 찾는 진리의 여정, 고승들의 지혜의 발자취는 삼장전인을 통해 본 위대한 깨달음의 유산, 불교 문학과 시에는 담화풍월과 같은 불교적 시어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이다. 천상의 길을 걸어온 발자취, 삼장전인의 여정은 먼 길, 문을 열어 주시고 가르침을 나누며 진리의 구슬을 우리에게 남기셨네. 하늘과 땅을 관통한 지혜의 길, 슬픔과 기쁨의 속삭임 속에서 참된 가르침을 찾고, 세상의 고통을 이해하려 했던 그대. 책의 한 장, 한 장에 담긴 사랑과 고난의 이야기, 세속을 초월한 그 진리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을 비추어 주는 빛. 거룩한 길을 걸어온 전인, 삼장에 깃든 깊은 법문, 그대의 지혜가 나날이 펼쳐져 우리의 삶에 평화와 깨달음을 주네. 삼장전인三藏傳人의 흔적 따라 진리의 길을 걸으며 끝없는 여정 속에서 우리도 그와 함께 할 수 있기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담화풍월曇華風月, "불정사의 소사모종蘇寺暮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어봅니다. 해 저문 산허리에 노을이 드리우고 불정사의 고요함 속에 종소리 울리네. 한 번, 두 번, 메아리치는 맑은 울림 잠든 마음을 깨우며 저 멀리 퍼지네. 소나무 숲길 따라 바람도 숨죽이고 달빛은 살며시 마루 끝에 내려앉는다. 종소리 끝자락에 담긴 깊은 평안 삶의 고단함도 서서히 흩어지리. 저녁의 종소리는 어둠을 걷어내고 소생의 새벽으로 우리를 이끌리라. -초암에서 담화-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제주도에서 태어난 일붕 서경보 스님(1914년 10월 10일 - 1996년 6월 25일)은 한국 불교를 세계에 널리 알린 불교계의 선구자였다. 불교의 진리를 깨닫고자 19세의 나이에 승려로 출가한 스님은 이후 끊임없는 수행과 학문적 탐구로 명성을 쌓아갔다. 특히, 스님은 1964년에 승려로서 최초로 미국에 도착하여 현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함으로써, 한국 불교계에 있어 역사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법왕 일붕 서경보 스님의 주요 활동과 업적 스님은 한국 불교 승려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로, 약 124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소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는 세계불교 법왕청 초대 법왕을 역임하였으며, 대한민국 W.F.B. 한국지부장을 맡아 국제적인 평화 활동을 펼쳤다. 1960년대 스님의 미국 생활은 미국 내에서 불교를 알리고 교류를 촉진하는 기회가 되었다. 스님은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청룡종(Blue Dragon Order)의 창립자와 제자로서의 관계를 맺었으며, 이곳을 비롯해 알라바마 헌츠빌의 선원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스님은 세계평화교육자 국제협의회의 창설자인 찰스 버스킨과 함께 UN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