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세훈 시장은 11월 15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대도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성된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를 만나 수도권 인접도시 통합 관련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논의는 지난 6일 김병수 김포시장, 13일 백경현 구리시장과의 만남에 이은 인접 도시 통합 관련 세 번째 회동으로 지난달 ‘메가시티 서울’을 당론으로 채택하고 추진 중인 뉴시티 특위와 만나 향후 구상에 대해 청취하는 자리였다. 이날 면담은 뉴시티 특위 조경태 위원장을 비롯해 조은희 위원, 이인화 위원, 정광재 대변인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조경태 위원장은 “뉴시티 특위가 이번 주 중으로 수도권 내 도시의 ‘서울’ 편입을 위한 법안을 발의하기로 한 만큼 앞으로 논의에 가속을 붙여 빠르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며 “서울시도 특별법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시로 당과 논의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오 시장은 수도권 인접도시 통합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시민 삶의 질, 도시경쟁력 등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국가경쟁력과 국토 균형발전에 대해서도 ‘뉴시티 특위’ 차원의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메가시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이천시 관고동은 읍면동 중 유일하게 20년째‘사랑의 쌀독’을 운영하고 있어 지역사회에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사랑의 쌀독은 2005년도 저소득 취약계층 가구를 위한 나눔 사업으로 시작됐으며, 관고동 통장단, 주민자치회 등 지역사회단체 등에서 지속적인 쌀 후원으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사업이다. 관고동 관계자는 “약 7년 전부터는 대한불교조계종 영월암(주지스님 원교), 대승불교여래종 천신암(대표 우혜숙)에서 매달 150kg가량의 백미를, 국제전기(대표 심경수)에서 매달 80kg의 백미와 라면 20박스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어, 쌀과 라면이 필요한 관고동 주민들에게 매달 풍족한 후원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관고동 사랑의 쌀독은 상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복지센터 입구에 비치되어 있어, 관내 저소득 취약계층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고동 관계자에 따르면 40kg의 쌀독을 일주일에 두 번꼴로 채우고 있어, 관고동 사랑의 쌀독이 지역사회의 온정을 나누고 희망을 부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랑의 쌀독을 이용하는 관고동의 한 주민은 “이 쌀독 덕분에 매달 쌀이 떨어지면 어쩌나 하는 걱정과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는 11월 14일 구례군 관내 어려운 저소득 가정을 위해 구례군에 백미 100포(20kg)를 기탁했다. 천은사 대진스님은 “동절기 경제적 어려움으로 힘들어하는 어려운 이웃에게 작은 나눔 실천이지만 따뜻한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순호 구례군수는 “매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나눔을 몸소 실천해 주신 천은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이웃을 살피는 따뜻한 마음을 담아 저소득가정에 쌀을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한불교선각종 총무원장 옴천사 회주 정암 큰스님이 지난 11일 옴천사 목조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 기념 효사랑 큰잔치를 개최하고 강진군민장학재단에 장학금 300만 원을 기탁했다. 강진군 옴천면 개산리에 소재한 옴천사는 2005년 1월 국가지정 전통사찰 제92호로 지정됐다. 1983년 현재 주지인 정암 큰스님이 부임하고 사찰명을 만연사에서 옴천사로 개칭했다. 이번 옴천사 효사랑 큰잔치는 ‘목조보살좌상’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365호 지정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로 인기가수 공연과 참석자를 위한 도시락 및 다과를 준비했다. 특히 정암 큰스님은 강진원 강진군수에게 장학금 300만 원을 전달하고 기탁식을 가졌다. 정암 큰스님은 이전에도 꾸준히 장학금을 기탁해 왔다. 이와 함께 독거노인 및 저소득층 가구를 위한 생활품 기부 등 다양한 선행을 이어왔다. 정암 큰스님은 “지역 학생들에게 희망을 전달해주고 싶은 마음에 장학금을 기탁했다”며 “강진군민 모두가 함께 나눔의 정을 실천해 많은 학생들이 지역 인재로 성장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장학금 기탁을 비롯한 다양한 선행을 계속한 정암 큰스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남양주시 진건읍에 소재한 대한불교조계종 명덕사 주지 우정방생스님은 지난 12일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사랑의 연탄 1만 장을 남양주시복지재단(대표이사 심우만)에 전달했다. 이날 연탄 나눔 행사에는 명덕사 우정방생스님, 손연희 진건퇴계원행정복지센터 센터장, 김태완 진건읍 주민자치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탄 일부가 진건읍 소재 취약계층 가구에 전달됐다. 명덕사 우정방생스님은 “기록적인 한파에 더욱 힘들어하고 계실 지역의 어르신들을 돕기 위해 기부를 결심했다.”라며“추운 날씨에도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봉사에 참여해주신 분들과 뜻깊은 나눔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남양주시복지재단에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손연희 진건퇴계원행정복지센터 센터장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한결같이 따뜻한 손길을 내어주시는 명덕사 우정방생스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오늘을 계기로 더 따뜻하고 행복한 진건읍이 된 것 같다.”라고 전했다. 김태완 진건읍 주민자치회장은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식사대접, 장학금 지원, 연탄 지원 등으로 지역주민들을 잘 살펴 주시는 우정방생스님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나눔을 베풀고 실천하는 스님의 행보를 이어갈 수
법왕청신문 김지은 | 지난 11월 12일 고양특례시 일산동구 일산문화광장에서 한국불교태고종 총무원이 주최하는 제12회 태고문화축제가 개최됐다. 이날 김동연 경기도지사,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박원석 고양특례시 제1부시장 등 주요 내빈과 관람객 1,500여명이 참석했다. 태고문화축제는 태고종연합합창단과 플레이오케스트라 협연을 시작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영산재 특별공연, 법요식, 김희재, 양지원, 은가은 등 인기 가수의 미니 콘서트 순서로 진행됐다. 태고종 총무원은 이날 불자의 마음을 모아 쌀 2,000kg을 고양특례시에 전달했다. 박원석 고양특례시 제1부시장은 “태고문화축제를 통해 태고보우국사의 큰 가르침이 널리 퍼져 우리 사회가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나아가기를 소망한다”라고 말했다. 기자 |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독경 장구가락]회심곡 영인스님 신나게 잘사는법 소원을 성취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독성정근獨聖精勤]영인스님 소원은이루어진다! 담화총사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명상의 말씀] 마음에글중에서 낭송 엄주환 마음의 안정을 위하여 힐링하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2023 세종 낙화축제가 세계축제협회 한국지부가 주관하는 제17회 피너클 어워드(Pinnacle Awards) 한국대회에서 야간 크리에이티브 프로그램 부문 금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피너클 어워드 한국대회는 축제의 완성도와 창의성에 주안점을 두고 심사해 우수한 국내 축제를 발굴, 시상함으로써 축제의 세계화 및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권위 있는 시상행사다. 지난 5월 20일 세종중앙공원에서 3만여 명의 관객이 운집한 가운데 열린 ‘2023 세종 낙화축제’는 창의적이면서도 완성도 높은 공연으로 선보이며 야간 크리에이티브 프로그램 부문 금상에 이름을 올렸다. 낙화(落火)는 낙화 봉에 불을 붙여 불꽃이 떨어지는 모양과 소리를 함께 즐기는 전통놀이이자 불교 의식으로, 예로부터 부정한 기운을 몰아내고 물리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낙화축제를 세종시 대표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불교낙화법보존회(회장 영평사 환성주지스님)와 공동으로 ‘2023 세종 낙화축제’를 개최했다. 특히 올해 열린 세종 낙화축제는 낙화봉 3,500여 개가 만들어내는 환상적인 불꽃에 국악, 클래식 등 수준 높은 공연을 가미한 특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충청북도는 '영동 중화사 현왕도'를 충북도 유형문화재로 11월 10일 지정 예고한다고 10일 밝혔다. 현왕은 사람이 죽어 3일 만에 재판을 받는다는 명계(冥界,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의 왕으로 현왕도는 망자(亡者)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그린 불화이다. 현왕도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죽음을 바로 눈앞에서 목격한 사람들이 죽은 이들의 명복을 비는 마음과 부모를 향한 효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영동 중화사 현황도'는 불화의 조성 기록인 화기(畫記)가 온전히 남아 있어 제작 연대(1790년), 봉안처(중화사 대웅전), 제작 화승은 물론 당시 불사에 관여한 스님 명단과 시주자의 이름까지 파악할 수 있다. '중화사 현왕도'는 화면 중심에 현왕을 중심으로 심판대 앞에는 두명의 성왕인 대륜성왕과 전륜성왕이 홀을 들고 서 있으며, 두루마리를 들거나 펼치고 있는 판관(判官)과 녹사(錄事), 여의와 복숭아를 든 동자(童子)와 동녀(童女)가 표현되어 있다. 화면 구성과 각 인물 배치가 안정적이며 얼굴과 자세 표현 등이 생동감이 있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현왕도는 약 100여 점인데, 이 중 대부분이 19세기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Peru, the Embassy of Peru in Korea is hosting an exhibition on the first floor of Seoul City Hall from November 8 to November 24.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한국과 페루 수교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1월 08일~11월 28일까지 서울시청 1층에서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글 / 문화재청 前 전문위원 이칠용 | 불교 목조각장 허길량은 1953년 전남 승주군에서 출생하여 1968년 15세때 서수연 선생으로부터 목조각 기초를 배웠으며 1975년 22세때 이인호 선생으로부터 불교미술의 핵심인 불화를 배움으로써 어려서부터 불교미술에 입문하여 한평생을 불교 목조각과 함께 해온 그야말로 쟁이요 장인이라 할 수 있겠다. 1977년 불교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1998년 인천카톨릭대학교 겸임교수, 1999년 한양대학교 전통미술원 연구원으로 위촉 활동한바 있다. 2001년 문화재청이 생긴 이래 처음으로 공개공모한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종목에서 선정되어 중요무형문화재 목조각장 보유자로 지정받았으나 문화재청 실무자와 부정한 방법으로 신청한 모씨에 대한 문제점을 문화일보(당시 최영창 기자. 현,한국문화재보호재단 이사장)에 게재되자 이를 허길량이 제보(?)한 것이라고 오해를 하여 문화재청 실무자 차(?)모씨 등이 모함하여 허길량을 명예훼손으로 법적문제를 삼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자격을 박탈하였으나 2008년 문화재청 담당자와 당시 문화재전문위원 홍모씨 그리고 김모씨 등이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허길량을 음해 모함하기로 밀약하여 사건을 만들었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박달나무 다듬이목 동자는 ‘박달나무’만을 사용해 작품을 완성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박달나무를 신성시해 「건국신화」에도 단군왕검이 박달나무 아래서 신시를 열었다고 전해진다. 단군檀君의 「단」도 박달나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우리네 삶과 긴밀하게 이어지는 ‘박달나무’에서 허 장인은 특별히 ‘다듬이 목(木)’으로 사용됐던 ‘박달나무’에 주목해본다. 허 장인은 “옛날부터 며느리는 시어머니와 다툼이 있으면 뒷골방에서 다듬이 목에 박달방망이로 마구 두드리며 마음을 달랬다. 우리 어머니들이 사용하던 다듬이 목은 고부간의 맺힌 ‘한’을 풀어주는 힐링의 매개체가 됐고, 그분들의 한 많은 인생살이 사연, 수많은 이야깃거리가 담겨 있다”라며 박달방망이가 가진 의미를 풀었다. 허 장인은 다듬이목으로 동자상을 환생시킨다는 마음으로 박달다듬이목을 깎았다고 말한다. 특히, 목조각 전시작품 중 동자상은 허길량 불모만이 가질 수 있는 내면의 법신불法身佛을 세상 밖으로 끄집어 내 표현한 것이다. 순진무구한 동심을 갖고, 53선지식을 찾아 구도의 길을 택한 53선재 동자상의 작품에 허 장인만이 가진 내면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