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 한국의 달마여 지난 줄거리 3~4(마지막회) 일붕이 이 논문에서 일관되게 내세웠던 것은 세계불교사상 경전연구를 주로 하는 교종과 수행을 통한 득도를 주로 내세우는 선종이 동시에 추구되온 상자가 전부 하다는 사실이다. 또 설령 선교의 통합에서 나오는 취지를 주장했던 종지가 있었다 하더라도 명실상부한 실제적인 수련으로 연결한 역사는 오직 한국의 불교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란 논지를 일관되게 전개하였다. 1단일 학위논문으로서는 드물게 430페이지의 방대한 분량으로 엮어진 이 논문은 140여 권의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있는데, 학위 심사가 끝난 후 캘리포니아주 월낫트크리크市 조계종선원판(板)으로 발간되자 전 세계의 불교학계에 충격을 던졌다. 중국과 일본 양국이 학문적인 주도권을 잡고 있던 탓에 그 두 나라의 불교가 정통임을 당연하게 여기던 서양인들이 의외의 연구논문이 등장하자 관심을 집중한 결과 전혀 상상하지도 못했던 주장이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 런던에서 발간되는 세계적인 불교 잡지 미들 웨이, The Middle Way誌는 “한국불교의 참모습이 실린 논문이며, 이 논문으로 인해 서구인은 한국불교를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되었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골든유그룹 박내춘 회장(좌), 배용주경찰공제조합 이사장(우)가 동국대 이사장 돈관스님(중앙),을 예방해 “한국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불자 양성을 위한 자문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골든유 그룹은 70년 전통으로 60여 년간 한국을 대표하는 국내 최대의 금 도매 거래소 이자 금 시세등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그룹이다.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적멸보궁이 있는 강원 정선 정암사의 수마노탑이 서울 광화문광장 한복판에 위엄을 자아내면서 거룩한 봉축등을 환하게 밝혔다. 광화문광장의 시민들과 더불어 부처님오신뜻을 찬탄하며 세상의 평화와 마음의 평화를 간절히 서원해 본다. 정암사의 수마노탑 마음과 세상을 밝히는 수마노탑등 수마노탑은 정선의 정암사 탑으로 정선 지역의 석회암 벽돌을 일일이 쌓아 만든 유일한 모전석탑입니다. 2020년 국보로 승격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기록에 따르면 신라의 자장율사가 오대산에 문수보살로부터 받은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라고 합니다. 조형적인 안정감과 입체감, 균형미를 갖춘 수마노탑을 화려한 색감과 은은한 전통한지의 멋을 살려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수마노탑 주변에는 국적과 인종, 남녀노소 차별 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져 탑돌이를 하며 평화와 평등한 세상을 기원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벽돌을 하나하나 쌓아 수마노탑이 완성되었듯이 모든 사람들의 염원을 모아 등불로 어둠을 밝히고 희망과 기원을 담아 이곳 광화문광장에서 5월 27일 부처님오신날까지 마음과 세상을 환하게 밝힐 예정입니다. ■크 기 : 11×1120(m) ■ 주 최: 연등회보존위원회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부처님오신날(음력 4월 8일)과 성탄절(양력 12월 25일)에 대체공휴일 적용이 최종 확정됐다. 올해 부처님오신날은 토요일 인 5월 27일로, 29일 하루 대체휴일이 주어지면서 사흘(5월27~29일) 연휴가 가능해졌다. 인사혁신처는 2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부처님오신날과 성탄절에 대체공휴일을 운영하는 내용의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 법령은 대통령 재가 후 이번 주 안에 관보에 게재돼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정부는 설·추석 연휴 등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일요일,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대체공휴일로 지정해 운영할 수 있다. 공휴일이 토요일·일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면 그 다음 첫번째 비공휴일이 대체공휴일이 된다. 부처님오신날과 성탄절이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으로 확정되면서 공휴일 가운데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날은 새해 첫날(1월 1일)과 현충일(6월 6일)만 남았다. 설·추석 연휴, 3·1절(3월 1일), 어린이날(5월 5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에 대체공휴일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 한국의 달마여 지난 줄거리 2~3 이어짐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도 부처님의 말씀과 佛法의 正道를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이 같은 다짐과 각오를 스스로 다지는 사이 비행기는 고도를 낮추고 이륙 준비에 돌입했다. 머나먼 여행을 마치고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것이다. 샌프란시스코에 머물며 컬럼비아대학 교환교수로 일하던 일붕은 미국에 한국의 불교를 심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끝에 첫 제자로 네빌 워크 박사 학위를 받아 1964년 10월 4일 머리를 깎고 道明이란 법명을 내렸다. 20년간 천주교 신부로 있던 네빌 워크 박사가 일붕의 제자가 되자 뭇셀씨도 뒤를 따랐고 현지의 매스컴은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1965년 3월 24일, 일붕은 도심(道心)이란 법명을 얻은 제자 완델씨의 주선으로 컬럼비아대학에서 캘리포니아대학 동양학과 교수로 옮겨 강의와 포교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法仁(유진 와그너), 法心(막스), 道香(호르비츠), 道聖(루이스) 등의 유능한 제자를 얻게 된다. 이들은 후에 한국불교를 미국에 포교하는 선봉장 임무를 수행했다.' 그중 루이스의 제자들은 일붕이 루이스에게 내린 주장자의 소유권과 법맥(法脈)을 다투다 캘리포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 한국의 달마여 지난 줄거리 1~2 이어짐 이날 이천 서씨 댁의 장손이 귀중한 生을 받아 태초의 일성一聲을 울리면서 ‘중생의 빛’이 되고자 태어났다. 갓 태어난 아이는 모친 이씨 부인의 태몽과 조부의 꿈을 뒷받침이나 하듯 피부가 유난히 희고, 이목이 수려하고, 골격이 단단하게 생긴 옥동자였다. 이천 서씨 집안에는 밀동자 같은 장손을 얻은 기쁨에 웃음꽃이 활짝 피었다. 산모도 건강했고 갓난아이도 탈 없이 건강해 그 기쁨은 더욱 컸다. 아무리 붙잡아도 안 된다고 여긴 가족들의 출가 허락을 얻을 때는 날아갈 것 같은 기쁨을 얻었지만, 막상 떠나려 하니 세속의 정이 사무쳐 몇 번이고 마음을 다져야 했다. 질기고 질긴 것이 인연이란 사실을 새삼 느꼈다. 그때의 상황과 일붕의 심정을 되살려 본다…. 마침내 출가를 허락받았다는 기쁨에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일붕은 다음날 일찍 길 떠날 준비를 마쳤다. 조부님과 부모님께 떠나기 전 세속인世俗人으로서의 마지막 큰절했다. 어머니와 아내가 멀리까지 따라왔다. 길모퉁이를 돌아서자 어머니는 치맛자락을 들치더니 비상금으로 감추어 놓았던 돈을 “배고플 때 먹을 것을 사 먹어라" 하시면서 주었다. 체면을 차리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하처래 하처거何處來 何處去. 우리 인간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 인간은 태어나기 이전의 곳도 모르고 죽음 그 이후의 곳도 알수 없다. 부처님佛陀은 바로 이러한 삶의 이치를 한 조각 뜬 구름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의 스러짐이라고 말했다. 나는 무엇일까. 누구나 예외 없이 겪는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거치는 우리의 인생은 무엇일까. 왜 태어나고 죽을까. 삶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고 죽음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무엇을 기쁨이라 이르고 무엇을 슬픔이라 이를까. 삶과 죽음의 경계는 어디일까.… 그는 이러한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답을 얻으려 세정世情을 끊고 불제자가 되었고, 얻고자 하는 답에 가까이 가려 참선을 통한 수행에 몰두했다. 아니 지금도 고통받는 중생들을 위한 수행을 계속하고 있다. 서기 1914년(불기 2458년) 음력 5월 9일 술시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 331번지에서 徐成賢·李卯生 부부의 3남 2녀중 장남으로 태어난 일붕은 어릴때부터 총기가 넘쳐 할아버지 徐鳳辰 선생의 전폭적인 뒷받침을 받으며 당시 제주의 제일가는 문장이자 덕망가였던 외삼촌 李華 선생께 한학을 배웠다. 민족정신이 투철했던 할아버지의 뜻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밤과 낮이 한국과는 정반대로 뒤바뀌는 외국에서 온갖 고생을 다 겪으시며 보조가풍(普照家風)을 선양하여 포교하시니, 동방의 제2 보조요, 서양의 제2 달마올시다. 서박사의 미국 포교로 인하여 미국인이 한국의 삼보 사찰인 통도사,通度寺, 해인사, 海印寺, 송광사, 松廣寺를 친견할 풍조가 깊다는 문구를 읽고 화상의 의덕義德을 칭송하오며 결제 후에 만나 뵙길 원하나이다.” 이 글은 임자년(壬子年, 서기 1972년) 2월에 송광사, 구산九山스님이 서경보 법왕님께 보낸 편지의 한 부분입니다. 이 편지를 받았을 당시 법왕님께서는 제3차 미국 포교를 마치고 귀국하여 동국대 불교 대학장으로 계실 때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불행하게도 인물을 제대로 키우고 대접하는 역사를 가져보지 못했습니다. 그릇된 사대주의에 젖어 인물마저 외국인은 높고 내국인은 낮다는 식의 평가를 했습니다. 그 때문에 훌륭한 업적을 남긴 우리의 조상들이 빛을 보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흔적 없이 사라졌습니다. 오히려 국내에서는 홀대를 받다가 외국인이 인정하니까 뒤늦게야 연구에 착수하고 법석을 떠는 일이 있었습니다. 퇴계 이황이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법왕님에 대한 평가 역시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책은 세계불교 초대 법왕 일붕 서경보 큰스님의 전기 집이며, 구술자 일붕 서경보, 필수(筆受)자 이존영으로 역은 책이다. 이 책의 1편 오 한국의 달마여, 450여 페이지가 법왕청신문에 연재가 끝남으로서 이어서 붕새가 날은 까닭은 450여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연재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을 널리 알리고자 법왕청신문을 통하여 연재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붕 徐京保(Kyung Bo Seo)세계불교법왕청 초대법왕 법호 : 일붕 서경보박사 83개 취득, 9백여 권 저술.• 기네스북 최다기록보유. ‘95 노벨평화상 후보 1. 부처가 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내가 부처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고, 또 하나는 부처를 내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입니다. 내가 부처 속으로 들어가는 길에는 기도, 염불, 주문 등이 있습니다. 이는 이미 깨우친 각자覺者 즉, 부처의 힘을 빌려 부처가 되겠다는 타력신앙他力信仰입니다. 이 타력신앙은 샤머니즘 적인 토속신앙과 뒤섞여 우리 민족의 가장 일반적인 신앙으로 굳어져 오랜 세월 동안 지속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신라 시대의 원효대사가 귀족불교를 대중 불교화하는 과정에서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붕의 발길따라 초대법왕 태몽에서 열반까지성공하고 싶으면 이것을 들어라 일붕을 알면 세계가 보인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부처님오신날 봉축위원회(위원장 진우스님)에서는 불기2567(2023)년 부처님오신날 봉축표어로 ‘마음의 평화, 부처님 세상(Peace of the Mind, World of the Buddha)’을 선정하였습니다.(매년 선정하는 봉축표어는 기본 표어인 ‘우리도 부처님 같이’와 공동으로 사용되며, 선정 해당 연도의 사회 상황과 염원 등을 담아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봉축표어 ‘마음의 평화, 부처님 세상’은 그동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불안한 일상을 이겨내 온 국민들이 부처님 가르침으로 마음의 평화를 찾고 모두가 평등하게 공존하는 부처님 세상이 되기를 염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개인의 마음에 평화가 깃들면 그 자체가 바로 부처님 세상이며, 불자는 물론이고 국민 모두가 치유와 안정을 통하여 마음의 평화를 찾고 궁극의 평화인 부처님 세상을 이루어 가자는 의미를 담고있다. 한국불교는 그동안 명상 수행과 템플스테이 등을 통하여 많은 국민들이 마음의 평화를 찾도록 노력해왔으며, 앞으로의 미래 천년을 세우기 위하여 대중적인 명상 보급과 명상센터 건립 등으로 국민들이 쉽게 마음속에 평화를 찾을 수 있도록 할 것다. 올해 봉축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하나 됨을 통한 세계평화의 성취 徐京保(Kyung Bo Seo)세계불교법왕청 초대법왕 박사 124개 취득, 저서 1,024종류 저술· 법호 : 일붕 95, 96, 노벨평화상 후보, 기네스북 최다 5관왕 기록보유…. 화합과 평화와 통일은 하나 됨을 뜻합니다. 반면 다툼과 분열과 분단은 쪼개짐을 의미합니다. 본시 만법 萬法은 귀일 歸一합니다. 이는 우주의 원칙이자 대자연의 섭리입니다. 비바람이 몰아치고, 눈비가 흩뿌리고, 서리와 이슬이 내리고, 태풍이 일어나는 온갖 자연의 법칙도 우주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일어나는 지극히 사소한 일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자연의 변화가 우리 인간에게 때로는 해를 끼치고, 때로는 이익을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익과 손해라는 개념도 지극히 주관적인 평가일 뿐입니다. 무덥고 대지가 목말라하던 지난여름, 우리는 태풍이 몰고 온 비를 얼마나 고맙게 느꼈습니까? 다른 때 같았으면 태풍을 해로운 존재라고만 생각하지 않았습니까?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는 바로 이런 상대적인 관계에 놓여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구상에서 함께 살아가는 같은 인간을 피부색, 언어, 종교, 국가, 풍속, 이데올로기 등으로 나누어 놓고 생각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각종 기록과 연보 은하수 동쪽에서 빛나는 일붕 별 “우리「국제 항성 등록청」은 다음에 명한 별을 일붕 서경보에게 불하하여 별의 새로운 이름으로 지정하였음을 증명하는 바이다. 별의 이름 : 어퀼라 따라서 이 별은 이 순간부터 영원토록 스위스 천체관측소에 등록되며 미국 의회도서관에 위의 이름으로 기록될 것이다. 등록사무총장 : 셀라스터스 도웨이쓰 이는 서경보 법왕이 하늘의 별자리 하나를 사들여 자신의 이름으로 소유권 등록을 마쳤음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한국인 최초의 별 주인星主이 된 것이다. 별 이상한 얘기라고 생각하겠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면 어느 단체에서 주고 어떤 별을 '서경보 별’로 등록했는가? 마치 땅의 주인을 정하여 등기소에 등록하는 것처럼 하늘에 떠 있는 별자리에 주인을 정하여 불하 하고 등록까지 시키는 「국제항공등록청」은 어떤 단체인가. 미국과 캐나다 양국에 본부를 둔 이 단체는 세계적인 저명인사들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별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흥미로운 단체이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순수민간단체의 성격으로 25년 전에 만든 이 단체에는 존경받을 만한 업적을 남긴 역사적인 인물들이 가입돼 있다. 별이 등록된다고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법왕청의 설립 취지 유사 이래 전 인류가 갈망하고 추구해오던 자유와 평화 그리고 행복은 노력이 증대되고 시간이 흐를수록 결과적으로 기대와 상반된 역 현상의 불행만이 가중되고 있으므로 세계사는 새로운 질서와 가치를 절규해 맞이하는 실정에 놓여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유와 평화 및 행복을 개시할 전 세계 불교지도자는 일대 각성하여 기성 가치관에 대처할 새로운 생명질서를 위하여 일치단결하여 일력 탄생의 세계적 운명을 압정 할 새로운 불교 이념과 방법을 구체적이고 생동성 있게 새로운 각도에서 연합 제시할 의무를 져야 하며 또한 인류평화를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른 종교 지도자(가톨릭, 모슬렘, 개신교 등) 와도 폭넓은 대화를 가지면서 당위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전력고자 함에 있다. 법왕청 주요 목적 사업 1) 전 세계 모든 불교도로 하여금 부처님의 추종자로서 하나의 목표하에 단결하여 함께 모이게 한다…. 2) 전 세계 불교도들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그들 의 공동이익을 보호 한다. 3)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파, 보호, 장려한다. 4) 불교의 연구 활동 및 통일 교전 출판업무를 추진한다.. 5) 인류문명의 기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반인은 승려들의 法力을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신통력神通力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일붕은 신통력이란 용어 자체가 불교 본연의 모습에서 벗어난 도교道敎적인 것이라는 전제하에, 신통력을 ①신족통(축지술), ②숙명통(과거를 맞춤), ③천안통·천이통(멀리 보고 잘 들음), ④타심통(독심술), ⑤불안통(부처의 경지)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승려는 설사 신통력이 있더라도 국사國事, 부모님, 자기 자신을 위하는 3가지의 경우 외에는 쓰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승려는 술객術客들이나 쓰는 신통력, 사주 감정, 관상 감정 등을 사용하면 본분에 어긋난다고 말합니다. 또한 술術은 신神을 불러 이용하므로 正道로써 사용하지 않고 사심邪心을 가지면 안 된다고 재강조하지요. 과거 현재 미래는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것이며, 윤회는 이 순환의 원리로 설명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선업善業과 공덕功德을 쌓도록 노력하라고 당부합니다. 신도들이 ‘현세에는 왜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이 잘 되느냐?'고 물으면 그는 미소를 지으며 윤회와 인과因果의 원리를 설명합니다. 일붕은 다시 태어나는 후생後生에 무엇으로 환생하고 싶으냐는 곤란한 질문에 ‘大道人이 되어 세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