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붓다께서는 일즉일체다즉일(一卽一切多即一)로서 개인과 전체의 존재방식을 말씀하셨다. 다시 말하면 하나를 부정하면 전체 역시 부정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승보살은 ‘한 중생도 남김없이 제도한 연후에 비로소 성불을 이루겠다’는 자비행을 멈추지 않는다.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부대중은 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으로 스스로를 제도하고 일체중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노력하는 보살로서 교단과 국가의 위기 때마다 참회와 화합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해왔다. 승가는 이미 깨달음을 이룬 정토세계가 아니라, 사바의 미혹중생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공부하고 노력하는 공동체이다. 이런 연유로 승단 안에서도 사바와 같은 온갖 일들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방법으로서 붓다께서는 계율을 제정하셨고 승가의 생명으로서 화합을 강조하셨다. 우리 불자들은 어려움이 닥칠 때 마다 굴복하지 않고 전화위복의 계기로 승화시켜 왔다. 이것은 위기를 맞아 자등명으로서 참회하고 법등명으로서 화합을 실천해왔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역사를 돌이켜 보면 조선 500년의 억불(抑佛), 사찰령의 일제식민, 그리고 무차별로 쏟아지는 외세를 감당해온 대한민국의 100년, 외부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 맘을 가라앉히고 자신의 운이 통할때까지 묵묵히 기다려야 한다. 궁즉통이다. 무슨 일이든 속단하지 말라 한치앞을 모르는게 인생길 이다. 내 인생 미래를 아는사람 있으면 나와 봐라 누구도 내 자신에 내일 일을 아는사람 없다. 희망사항일 뿐이다. 그래서 성인의 말씀속에 누구나 내 미래는 현재에 있다고 했다. 무엇을 누구를 믿으면 좋은곳에 간다는 허무맹랑虛無孟浪한 혹세무민惑世誣民에 속지 말라! 내일 잘 할려 말고 현재 지금 잘 하라! 시건방지면 순간 닥칠 일에도 방심하다 황천길 간다. 천치같은 동심으로 돌아가 무엇이든 덤덤해질 필요가 있다. 소금없는 음식을 먹는 것처럼. 긍정적 허무주의야말로 고만으로 점철된 우리네 인생길에 위안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친구가 된다.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 거짓말은 눈덩이와 같다, 때문에 거짓말은 늘릴수록 점점 커져만 간다.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 하다. 겉은 멀쩡한것 처럼 화려하게 포장하고 속은 썩고 상한 통조림과 다를바 없다. 무식하고 나쁜이 들이 정치인이 되어 권력을 잡으면 선량한 백성들을 볼모로 나라는 망쪼내고 국고도 거덜내고 무법천지無法天地된다. 속빈 강정 처럼 인격도 인성도 도덕도 윤리도 인품도 성품도 갖추지 못한 가짜 사람들이 세상을 시끄럽게 난장판을 만들고 있다. 너와나 서로 도우며 행복한 세상에서 살려면 사람다운 인격을 갖추어 살아 갑시다. 노동 뒤의 휴식이야말로 가장 편안하고 순수한 기쁨이다. 가장 귀중한 사랑의 가치는 희생과 헌신이다. 가벼이 움직이지 말라. 침착하게 태산같이 무겁게 행동하라!
재단법인 일정불교문화재단, 가피암 회주 일정대종사의 법문 4 「일체중생이 무시겁無始劫으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육도六道에 윤회하면서 생사해生死海에 떠돌아다니며 쉴 사이 없이 고뇌를 받고 있습니다. 세존께서는 대자대비 일체중생을 불쌍히 여기시고 구호하시는 터이니 대중을 위하여 법요를 말씀하여 주시옵소서」하였다. 세존이 대답하되 「그렇다, 일체중생이 도에 윤회하며 쉴 새 없이 고뇌를 받는 것은 모두 마음에 의한 것이다. 왜냐면 마음이란 것은 해마다、 달마다、 날마다 시간마다 모든 경계를 반영하고 세정 티끌에 물들어서 마음이 항상 어지럽고, 안정하지 못하므로, 몸도 따라서 그렇게 되느니라 너는 지금 어떤 뜻에서 이걸 물고 있느냐?」 문수보살이 대답하되 「알지 못하는 사람은 알고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깨닫고, 통하지 못하는 사람은 통하고, 고하지 못한 사람은 하고, 안심할 줄 모르는 사람은 안심하게 하려고 청하나이다」 다시 세존이 말씀하시되 「그러나! 네가 만일 안심하는 법을 배우려거든 먼저 지식에서부터 귀의하여라. 왜냐면 알지 못한 이가 알려 하거든 선지식에 귀의하고 깨닫지 못한 이가 깨달으려거든 선지식에 귀의하고, 통하지 못한 이가 통하려거든 선지식에 귀의하고,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살기좋은 세상에 어쩌다가 인간들이 짐승만도 못한 짓 들을 할까? 문명은 대책없이 최고로 앞섰지만 되려 어렵고 힘든세상 적응들을 못한다. 문명을 쫓아 가려니 가랭이가 찢어지고 벼랑끝에 매달려 발버둥 치는 안타까운 현실들 이다. 어느 집이고 자식새끼 귀하고 귀하지 않은 집 어디 있으랴! 귀한 자식 안쓰럽다. 자식들을 화초 인생 만들어서야 되겠습니까? 스스로 눈보라 치고 태풍 폭우 속에서도 견딜줄 아는 자생력 강하고 자립정신 으로 슬기롭게 살아가는 자식을 만들어야 효자 효녀가 된다. 요즘 부모들은 자식 손자들 에게 스스로 노애가 되어 다 퍼주고 그 공덕이 돌아오지 않으면 울고불고 대성통곡 한다. 다 빼앗기고 울고불고 후회하고 가슴치다 결국 양로원 요양원 현대판 고려장 신세 된다.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재단법인 일정불교문화재단, 가피암 회주 일정대종사의 법문 3 다섯 가지의 德目에 의해서 반야경에서는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 선禪 반야의 여섯 가지를 육도六度、또는 육바라밀六波羅蜜이라고 한다. 그 가운데 보시布施라고 하는 것은 준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무공無空의 지혜를 반야경般若經이라고 하는데 그 가운데에는 크게는 육백 권에서 작게는 반야심경과 같은 작은 것까지 수많은 경전이 있다. 따라서 그 내용도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반야경이라고 하는 것은 그 가운데 일관된 사상의 근저가 있으며 그것에 바탕을 두고 여러 방면으로 사상思想이 발전하여 있기 때문이다. 이제 그 공통점 즉 근저根底의 사상으로서 무無와空의 지혜智慧의 반야般若에 바탕을 두고 여러 가지 반야경이 전개되었다는 것은 이미 많은 사람에 의해서 잘 설명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무無와 공空의 지혜는 반야심경뿐만 아니라 불교 그 자체의 근본적 성격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약 유럽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을「유有」의 지혜에 바탕을 두는 그것으로 생각해 왔다고, 한다면 전혀 반대의 관점에 서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발상發想과 그것에 바탕을 두는 행동의 패턴으로서는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지금 힘이 없는 사람 이라고 우습게 보지 마라! 나중에 큰 코다칠 수 있다. 평소에 잘해라. 평소에 쌓아둔 공덕은 위기 때 빛을 발한다. 고마우면 고맙다고 미안하면 미안하다고 큰 소리로 말해라. 입은 말하라고 있는 것이다. 마음으로 고맙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사가 아니다. 남이 내 마음속까지 읽을 만큼 한가하지 않다. 기대를 앞세우면 실망이 먼저오고 실망을 오래두면 희망이 사라진다. 성실한 노력으로 하루를 잘쓰면 행복은 찾아오고 불행은 물러간다. 기쁨은 노력결과 슬픔은 게으름 탓 이다. 웃으면 복(福)이 오고 성내면 화(禍)가 온다. 있을때 잘하려 말고 평소에 잘해야 한다. 옛 친구들을 챙겨라.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드느라 지금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재산을 소홀히 하지 마라. 정말 힘들 때 누구에게 가서 울겠느냐? 나 자신을 발견해라. 다른 사람들 생각하느라 나를 잃어 버리지 마라.
글 / (재)일정불교문화원 원장 일정대종사 오늘의 법문 1 / 대혜보살의 일자불설一字不說이란? 대혜보살은 세존께 원하옵건데 성자의 모습과 일승一乘의 행상을 말씀해 주시옵소서! 세존께서는 대혜여 보살은 여러 가지 가르침에 의해서 분별을 합하는 일은 없다. 혼자 조용한 곳에 살며, 법을 보고 스스로 깨닫고 타에 의지하지 않는다. 분별의 견見에서 떠나 위로 올라가는 것이 부처의 경지로 들어가는 길이다…. 이처럼 수도하는 것을 성자의 행상이라고 한다. 다음에 일승의 행상이라고 하는 것은, 일승의 길을 깨닫는 것이다. 그것은 주관, 객관의 차별을 떠나서 실제와 같이 사는 것이다. 대혜보살은「세존 일전에 세존은 『정각正覺의 처음부터 열반의 끝까지 한자도 말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는, 그것은 어찌한 의도 이심이니까 묻자 세존께서는 대혜여, 두 개의 마음에서 나는 그렇게 말했었다. 하나의 스스로 깨닫는 것을 말한다. 모든 부처가 깨달은 것은 나도 똑같이 깨닫고, 증감增滅되는 일이 없다. 그 지혜는 언어를 떠나, 분별을 떠나 이름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본성의 법에 대해서 말한다. 금이 광석속에 있듯이, 부처가 세상에 나오든 안나오든 상관없이, 법은 모두 그 본
글 / (재)일정불교문화원 원장 일정대종사 오늘의 법문 1 / 부처는 어디에 계신가의 기본적인 할문基本的인 疑問 우리는 불교를 믿으면서도 어디에 부처가 계시는가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대부분의 신자는 산으로 사찰로 찾아 다니면서 부처가 나타나서 은혜를 내려주시기를 기도한다. 그런데 부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데 있다. 불교佛敎의 경마다「중생과 제불이 일리제평一理齊平하다」「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부처님 몸이 법에 충만하다 하는 말씀이 많이 있다. 그렇다면 일체중생이 모두 부처요 부처가 모두 중생일 터인데, 그렇다면 나도 부처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가? 내가 나를 살펴볼 때 절대로 부처는 아니다. 또한 일체중생을 보아도 부처가 아닐 뿐 아니라 부처를 닮지도 않았으니 말이다. 무엇이 판단되었기에 이런 엉터리 말이 나왔단 말인가? 그렇다고 부처님 말씀을 엉터리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는 일이며 내가 나를 잘못 보았다고 할 수도 없는 일이다. 내가 나를 잘못 보지 않은 이상 부처님 말씀도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면 어디서 부 터 이런 차이가 생기게 된 것일까요? 이 말은 이렇다. 나는 나의 관점에서 나를 본 것에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하면 다음 순간에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우리는 흔히 "내일부터 할 거야."라는 말로 자신을 위로하며 지금 현재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미룬다. 어제는 이미 지나간 과거이니 현재로 돌아오지 않는다. 현재 역시 눈 깜짝할새 과거로 돌아간다. 내일은 미래이니 아직 오지않은 내일을 앞당기려 어리석은 짓 하지 말라! 지금 당장 현명해야 아쉬울 과거도 없고 두렵고 걱정해야 할 현재도 없으며 다가올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으니 미리 걱정할 일 없다. 어제 내일에 집착 말고 지금 현재에 최선을 다하면 앞뒤에 꽉 막힌 구덩이에 고립되지 않는다. 성공하고 싶으면 오늘부터 시작하고 오늘부터 행동하고 매 순간순간 최선을 다 한다면 준비된 내일이 당신을 맞이할 것이다. 내일을 위한 최고의 준비는 오늘의 일을 최고로 끝내주게 하는 것이다.
글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 / 어디 인간관계뿐이겠는가? 세상일에는 결코 공짜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공짜를 바라는 마음이 우리 안에 들어 있다. 이세상 공짜는 없다. 받기만 하려 말라 주고 받는 미덕은 씨앗뿌려 얻어지는 노력에 결실이다. 아무 노력없이 대가를 바라지 말라! 주고 받는 감사와 고마움에 좋은 인연 공덕 쌓여간다. 메말라가는 인색한 현실을 보라! 감사와 고마움를 망각하고 무자비한 어리석은자들의 작태(作態)로 아비규환(阿鼻叫喚)되어간다. 서로돕고 나누며 자비와 사랑으로 살아 갑시다. 인간은 누구나 보고 싶은 것만을 본다는 현재의 위기를 맞고서도 스스로 자기에게 유리한 것과 보고 싶은 것 만을 보려한다면 우리에게 미래는 암울할 뿐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은 자기의 이름 3자이다. 이름은 천만년을 간다. 이름에 모든 것이 있다. 몸과 이름은 하나다. 늙지않고 죽지않는 사람은 없다. 늙되 아름답게 늙고 죽되 곱게 죽어야 한다. 옛 속담에 호랑이는 죽으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긴다는 말씀처럼 이 가을에 만물이 익어가는 현상에서 곱고 아름다운 인생을 배웁시다. 영원히 늙지않고 죽지 않을것 처럼 주책 부리면 그 꼴이 더 초라하다. 하루를 살더라도 부모 조상에 부끄럽지 않게 살다 갑시다. 시간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은 인생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이다. 가난한 사람은 덕행으로 부자는 선행으로 이름을 떨쳐야 한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ㅣ길에 돌도 연분이 있어야 찬다 가깝고 친하다면 서로 더 조심해야 그 인연이 오래 간다 가깝고 편하다 하여 내가 잘못된 일들을 멋대로 하더라도 이해 해줄거라 생각하면 큰 탈 난다 누구든지 참으로 좋은 인연이 되려거든 무슨 일이든 부담주지 말고 함부러 대하지 말라 옛말에 친할수록 육신은 멀리 보고 마음은 항상 가까이 하고 살라 했다. 어느날 누가 갑자기 친근한척 가까이 다가오는 사람을 조심 하라 사기꾼은 남을 속이려 평소말이 많고 묻지않은 말을 지 혼자 떠들고 혼을 쏙 빼 놓는다. 평소 얌전하고 점잖은 척 하는 사람도 조심하라 친한척 접근하여 투자 하면 대박난다. 달콤한 말로 부자 만들어 주겠다 습관적으로 한다. 욕심을 비우고 순리대로 살면 헛깨비에 속지 않는다 돌다리가 아무리 튼튼하고 안전해도 건널 때 항상 조심하라 생활력이 강한 사람이되자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상산스님의 죽비소리 | 부모들이 우리의 어린 시절을 꾸며 주셨으니 우리는 그들의 말년을 아름답게 꾸며 드려야 한다. 훌륭한 예절이란 타인의 감정을 고려해 표현하는 기술이다. 시시각각 변하고 변화무쌍이 마음이 원숭이 널 뛰듯 하네 춥다 덥다 기쁘고 즐겁다 슬프고 괴롭다 솟뚜껑에 콩.깨 볶으면 사방으로 튀듯이 이내 마음도 생각따라 이 육신이 춤 춘다. 무엇이 내 마음에 든다 안든다 는 것도 보이지 않는 생각이 요사스러워 지옥도 극락천당도 만든다. 이세상 본래 내 맘에 맞는것이 없거늘 어찌하여 보이지 않고 흔적 형체 없는 생각에 놀아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려 하는가? 자연섭리 순리따라 살면 된다. 순리에 순행하면 흥하고 순리에 역행하면 망한다. 값진 성과를 얻으려면 한걸음 한걸음이 힘차고 충실하지 않으면 안된다. 바탕이 성실한 사람은 항상 편안하고 이익을 보지만 방탕하고 사나운 자는 언제나 위태롭고 해를 입는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세속화란 사회적인 것이 영적인 것을 대치하는 것으로서 예배의 참뜻을 떠나 성공을 참배 하고 성품을 높이지 않고 인간을 높이는 것이다. 세속보다 더 타락된 종교가 된다면 낮에 태양이 먹구름속에 가려진것과 같고 깜깜한 밤하늘에 달이 사라진것과 다를바 없다. 정치와 사회가 빛 바래면 달이 괘도를 이탈한것과 다를바 없다. 종교 지도자들이 직업으로 교단에 참여한다면 어찌 신성한 종교 지도자라 하리 성인의 말씀과 진리에 감탄하여 그 거룩하고 심오한 뜻에 뒤를이을 인물은 없고 성인의 말씀과 진리를 외곡하여 출세가도에 빠진 속물들만 있다면 세상에 무슨 희망이 있겠는가? 언젠가부터 말법시대라고 끔찍하고 흉흉한 말들이 유행어처럼 나돌았었다. 떠도는 말이더라도 근거없이 나온 말은 아닐것이다. 내목숨 소중하고 몸둥아리 챙기듯 세상 나라걱정도 그만큼 소중히 챙겨라 세상 나라 없으면 넌들 난들 있을소냐! 혼자 산꼭대기에 서 있다 해서 세속을 벗어나는 길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