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64년 8월 29일. 세속의 나이로는 51세, 법랍 33세가 되던 해, 갑진년(甲辰年) 음력 칠월 스무이튿날. 일붕은 마침내 미국으로 향하는 영국 항공사의 트랩을 올랐다. 이 해에 국내에서는 대일 굴욕외교반대 범국민특위가 결성되고 김종필, 오히라의 메모로 불이 붙은 데모 격화로 서울 일원에 비상계엄령선포(6·3사태), 월남파병을 위한 국군파견에 관한 협정체결, 동양방송 개국, 석굴암 복원공사 항공기 국내 첫 취항 등이 있었고 미국 레인저 착륙, 맥아더 사망, 소련 흐루쇼프 실각과 브레즈네프 입각, 존슨 미국 대통령 당선, 중공 제1회 원폭실험 성공 등이 있던 해였다. 인공위성 6호 발사 및 同 7호 달 표면 착륙, 맥아더 사망, 소련 흐루쇼프 실각과 브레즈네프 입각, 존슨 미국 대통령 단선, 중공 제1회 원폭실험 성공 등이 있던 해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중국 승려 경륜조사慶輪祖師와 불교협회 초청으로 미국행 비행기에 오른 일붕은 동남아시아 미얀마와 스리랑카, 유럽의 서독과 영국에서 보낸 교환교수 시절과 6·25 때의 고생이 연상聯想작용에 의해 겹쳐졌다. 참으로 힘들고 어려운 시기였다. 동남아에서는 더위와 오후 불식(하루에 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큰스님 전기집 오! 한국의 달마여 佛敎와 文學 불교에는 팔만대장경이란 거대한 경전經典이 있다. 이는 종합적인 성격을 가진 방대한 종합 체이다. 따라서 보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면 철학자, 과학자, 문학자, 정치가, 교육자, 미술가, 경제학자, 군사연구가들이 각각 자기의 기준에 따라 팔만대장경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이다. 옛 문장가 소동파蘇東坡가 노산盧山이란 높은 산을 이렇게 그린 시가 있다. 橫着成嶺側着峰하니, 遠近高低自不同이라, 不見盧山眞面目은, 只緣身在此山中이라. 이는 다 같은 노산이지만 멀리서 횡(옆)으로 보면 큰 재가 되고 몸을 기울여 올려다보면 높은 봉우리가 된다. 멀고 가까이서 보는 높낮이가 같지 않다. 그러나 노산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는 것은 몸이 노산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란 의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불교는 보는 자의 생각과 기준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그래서 한 가지로 규정짓기 어려운 것이다. 불교는 마음 심(心)자 하나를 온갖 형태로 전개 한 것이다. 그런데도 ‘이것이 불교다'라고 단언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갈래가 워낙 복잡하기 때문이다. 불교는 마음의 근본 바탕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l 오한국의달마여! 불교의 4중 세계관 (3) 일붕의 초기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글을 두 가지만 더 보기로 하자. 실제 일붕의 초기사상은 미국으로 건너가기 전에 거의 완결된 상태로 짐작된다. 경전의 연구나 선의 수행에서나 모두 최고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게 당시의 중론이었다. 불교의 다면성多面性 가운데 문학적인 요소를 간추린 佛敎와 文學이란 글과 불교철학을 압축시킨 佛敎哲學의 四重 世界觀이란 글은 잘 정돈되고 체계화된 그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글을 통해 일붕은 불교의 대중화란 신념을 점진적으로 구현하는 발판을 구축한 것이다. “모든 것은 변화합니다. 불교도 시대와 여건에 맞도록 변화하고 적응하는 가운데 시대와 조화를 이루는 슬기를 익혀야 합니다. 그래야만 범세계적인 진리로서의 영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이를 위해 남들이 꿈조차 꾸지 못하던 시절에 물설고 땅 설은 동남아와 유럽에서 공부했습니다.” 일붕이 절치부심하여 불교의 현대화를 추구하는 이유를 짧게 설명한 말이다. 뒤에 싣는 두 글은 당시 일붕이 어떤 사상의 틀을 형성했는가를 잘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다소 긴 인용이 되더라도 꼭 살필 필요가 있는 글이다. 또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부처는 어디에 계신가? 우리는 불교를 믿으면서도 부처는 어디에 있는가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대부분의 신자들은 산으로 절로 찾아다니면서 부처가 나타나서 은혜를 내려주기를 기도한다. 그러나 실상 부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불교의 경마다「衆生과 諸佛이 一理齊平하다」 「일체중생에 모두 佛性이 있다. '부처님 몸이 법계에 충만하다'하는 말씀이 들어 있다. 그렇다면 일체중생이 모두 부처요 부처가 일체중생일 터인데, 나라고 부처가 못되란 법이 있는가? 물론 부처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가. 내가 나를 아무리 살펴보아도 절대 부처가 아니다. 또 일체 만물을 보아도 부처가 아닐 뿐 아니라 부처를 조금도 닮지 않았다. 왜 이런 엉터리 말이 나왔을까? 그렇다고 부처님 말씀을 엉터리라고 단정지을 수 는 없는 일인데, 나 또한 나를 잘못 보았다고 할수도 없는 일이다. 내가 나를 잘못 보지 않은 이상 부처님 말씀도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면 어디에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 이 말은 이렇다. 나는 나의 입장에서 나를 본 것이고 부처님은 부처님의 입장에서 말씀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과 나 모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또한 일붕은 세상을 경악케 했던 사이비종교의 발호에 대응하는 의미에서迷信과 正信이란 글을 일간지에 싣기도 했다. 사이비종교 단체들이 신들을 비난하는 사람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해害를 끼치던 때였기 때문에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 글에서 일붕은 인륜과 도덕을 무시하고 해악을 끼치는 행위는 결코신, 그리고 정교와 사교의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성종교로서 세계적인 신앙으로 자리 잡은 종교라 할지라도 시대의 추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곤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점은 어느 종교도 마찬가지다. 즉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종교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열렬한 기독교 신앙을 가졌으면서도 당시의 목사나 선교사의 설교를 이렇게 비판했다. “금과옥조金科玉條같이 믿는 성경 가운데도 어느 시대이건 만인 모두가 받들어 행할 것이있고 너무도 맹랑하고 허황되어 돌아볼 가치가 없는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어리석은 교인들은 시대에 맞는 심금을 울리는 교리는 찾으려 하지 않고 원시시대의 신화와 같은 예수의 기적만을 가지고 떠들고 선전하고 있으니 가증스럽고 딱 한 일이다. 기독교는 이런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내부적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계 문명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 미국에 직접 뛰어들어 미국을 배우고 한국의 불교를 알리겠다는 각오로 이미 기반이 다져진 한국을 떠날 준비를 하던 일붕은 지나온 세월을 되돌아 보았다. 참으로 바쁘게 살아온 세월이었다. 한날한시도 헛되이 보낼 틈이 없이 늘 시간에 쫓기면서 보낸 지난 50년이 주마등처럼 스쳐갔고, 잊을 수 없는 장면들이 파노라마처럼 전개되었다. 가슴이 찢어지고 창자가 끊어진다는 애 별이고(別離苦)의 고통을 이겨내고 세속 떠나 부처님 품 안에 안긴 32년 전 일이 마치 어제처럼 선명하게 떠올랐고, 스승을 찾아 뭍으로 나와 지리산 〈화엄사>로 들어간 시절이 생생하게 재현되었다. <화엄사>에 계시던 진진응 대강백의 제자를 따라 전주<위봉사>로 가 유춘담 스님으로부터 일붕(一鵬)이란 법호(法號)를 받던 일, <위봉사>의 살림이 어렵게 되어 강원이 폐지되자 춘담스님이 마련해준 학비와 소개장을 들고 서울로 올라와 동대문에 있던 <개운사 대원암>의 박한영 대강백의 수제자가 된 일,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 선방의 강사 초청을 받고도 부족한 부분을 더 채우기 위해 김제 <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하처래 하처거(何處來 何處去). 우리 인간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 인간은 태어나기 이전의 곳도 모르고 죽음 그 이후의 곳도 알 수 없다. 부처님(佛陀)은 바로 이러한 삶의 이치를 한 조각 뜬구름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의 스러짐이라고 말했다. 나는 무엇일까. 누구나 예외 없이 겪는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거치는 우리의 인생은 무엇일까. 왜 태어나고 죽을까. 삶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고 죽음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무엇을 기쁨이라 이르고 무엇을 슬픔이라 이를까. 삶과 죽음의 경계는 어디일까….… 그는 이러한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답을 얻으려 세정(世情)을 끊고 불제자가 되었고, 얻고자 하는 답에 가까이 가려 참선을 통한 수행에 몰두했다. 아니 지금도 고통받는 중생들을 위한 수행을 계속하고 있다. 서기 1914년(불기2458년)음력 5월 9일 술시,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 331번지에서 徐成賢·李卯生 부부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일붕은 어릴 때부터 총기가 넘쳐 할아버지 鳳辰 선생의 전폭적인 뒷받침을 받으며 당시 제주의 제일가는 문장이자 덕망가였던 외삼촌 선생께 한학을 배웠다. 민족정신이 투철했던 할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밤과 낮이 한국과는 정반대로 뒤바뀌는 외국에서 온갖 고생을 다 겪으시며 보조가풍(普照家風)을 선양하여 포교하시니, 동방의 제2 보조요, 서양의 제2달마올시다… 서 박사의 미국 포교로 인하여 미국인이 한국의 삼보 사찰인 <통도사, 通度寺> <해인사, 海印寺> <송광사, 松廣寺>를 친견할 풍조가 깊다는 문구를 읽고 화상의 의덕(義德)을 칭송하오며 결제 후에 만나 뵙길 원하나이다.” 이 글은 임자년(壬子年, 서기 1972년) 2월에<송광사> 구산(九山) 스님이 서경보 법왕님께 보낸 편지의 한 부분입니다. 이 편지를 받았을 당시 법왕님께서는 제3차 미국 포교를 마치고 귀국하여 동국대 불교 대학장으로 계실 때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불행하게도 인물을 제대로 키우고 대접하는 역사를 가져보지 못했습니다. 그릇된 사대주의에 젖어 인물마저 외국인은 높고 내국인은 낮다는 식의 평가를 했습니다. 그 때문에 훌륭한 업적을 남긴 우리의 조상들이 빛을 보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흔적 없이 사라졌습니다. 오히려 국내에서는 홀대를 받다가 외국인이 인정하니까 뒤늦게야 연구에 착수하고 법석을 떠는 일이 있었습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기사는 이해를 돕기위하여 연합뉴스에서 그대로 퍼옴 불교법왕청(法王廳), 석탄일을 세계불교평화의 날로 선포 입력 1994. 9. 16. 14:16수정 1994. 9. 16. 14:16 불교법왕(法王)廳, 석탄일을 세계불교평화의 날로 선포 徐京保-찬다난다 초대공동법왕(法王), 제2회총회서 결정 불교평화상도 최초로 제정 불교지도자 2명에 수여 핵무기 평화이용등 담은 평화선언문 채택 (방콕=연합(聯合)) 徐玉植특파원= 세계불교법왕(法王)廳은 매년 5월의 부처님 오신날을 <세계불교 평화의 날>로 제정 선포하고 불교도들이 모범적으로 인류의 자유와 평화, 화합을 위한 운동에 앞장서기로 다짐했다. 세계불교법왕청 초대 공동법왕(法王)인 한국의 一鵬 徐京保 큰스님과 스리랑카의 찬다난다 큰스님은 지난 11-13일 스리랑카의 콘듸市와 콜롬보市에서 스리랑카,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태국, 미얀마등 20개국 불교대표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잇따라 열린 제2회 세계불교법왕청 총회에서 이같이 선포했다고 스리랑카로부터 태국에 도착한 한국불교 대표단(단장 金光泰박사.국제불교아카데미학회장)이 16일 밝 혔다. 徐법왕과 찬다난다법왕은 또
법왕청신문 관리자 기자 | 초대법왕 일붕큰스님과, 비서실장 담화의 대화소리 종달새 날려보내니“ 음-메” 언제 : 1993년(癸酉) 여름날 장소 : 법왕청 담화 : 법왕님. 사회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 지위가 낮은 사람, 나이가 많은 사람, 나이가 작은 사람들 함께 살아가는 사회입니다. 지위가 높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도 지위가 낮고 나이가 작은 사람들 보다 모르는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지위가 높은 사람은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 체면때문에 묻지 못하고, 나이가 많은 사람은 나이가 작은 사람에게 부끄러워 묻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찌해야하는지 일러주십시오. 법왕 : 듣거라. 아무리 지위가 높고 나이가 많더라도 자기가 알지 못하는것을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 아니다. 옛날 나라의 임금님도 모르는 것은 신하들에게 물어 보았고, 나라의 대통령도 장.차관에게 모르는 것을 묻고있다. 속담에 “백살이든 할아버지도 세살 박이 손자에게 배울 것이 있다.” 담화 : 법왕님. 사람들은 배움에서나 직장에서 역량에 넘치는 일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배움에서 1.2.3.....의 순서를 무시하고 당장 100을 알려고 하며, 직장이나 사회에서 1을 알고 있으면서도 10을 알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계불교 법왕청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예하 초상화는 무형문화재 채화칠기 청목 김환경 선생이 직접 그린 옻칠 초상화이다. 천년을 살아 숨쉬는 수순 천연 옻칠로 채화칠기하여 특별히 심혈을 이울여 제작한 초상화이다. 현재 원본은 법왕청 총 본산 동탄 법왕사에 모셔져 있으며 법왕청 신문에 올린 초상화는 누구나 다운을 받아 한지나 사진으로 인화하여 액자를 만들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의 족적은 초대법왕 일존자님의 실제 족적을 찍어 만든 것이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세계일화 머리말 일붕의발길따라...머리말 한국 불교를 세계화하고 세계불교를 한국화하기 위해 한국인 승려로서는 최초로 미국 땅에서 포교를 시작 해외 포교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일붕 법왕, 국적과 인종, 종교와 언어를 초월하여 전 세계를 무대로 불교를 통한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해오신 일붕 대 선사의 전기 “세계일화世界一花"는 우리에게 꿈과 희망과 용기를 주셨습니다. 바티칸 시티에 있는 가톨릭의 로마 교황청처럼 인류의 평화와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1992년 4월 26일 탄생한 세계불교법왕청은 전 세계 15억 불자들의 구심점이 되었습니다. 일붕법왕님께서는 세계화를 예견하시고 피눈물 나는 독학으로 영어와 일어 등 5개국 언어에 능통하시고 세계 각국의 유명대학에서 126개의 박사학위와. 1024종류의 저서를 집필하신 일붕 서경보 법왕님의 꿈과 희망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이 책은 한 스님의 전기를 역은 책이기 이전에 세계화 시대를 준비하시는 분, 그리고 스님과 불자라면 꼭 읽어야 할 필독서입니다. 제주도 섬마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의 꿈을 하나하나 실현해 마침내 20세기 최고의 석학이자 선교를 겸비한 고승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마지막회 25. 붕새의 뒤를 이은 담화 일붕 초대법왕께서 열반한 이후 비설실장을 지낸 담화총사는 그동안 일붕 큰스님의 유언에 따라 UN을 무대로 활동하다 1997년 3월 영문 UN News 대표이사로서 활동해 오다 2005년 영문판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발행인 겸 대표이사, 불교계 최초로 일간지 경기매일신문사를 운영하며 회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해 왔으며, 현재 법왕청 신문 1992년 창간 초대 발행인 일붕존자 예하께서 운영해 오던 법왕청 신문을 새롭게 단장하여 2023년 1. 19일 오전 11시에 새롭게 단장하여 홈페이지를 개방한다. 담화는 일붕 큰스님의 뒤를 이어 비영리법인 세계불교법왕청 평화재단을 운영해오다 일붕 큰스님의 국제적인 업무를 담당한 경력을 무대로 1992년 미국정부로부터 사단법인 세계불교법왕청평화재단을 허가받아 활동해 왔으며, 그동안 미국, 스리랑카, 태국, 브라질, 대만, 중국, 일본, 우루과이, 필리핀, 아랍에미레이트 등을 비롯하여 1996년 8월부터 70여회의 해외 출장과 국제교류를 활성화 하고 법왕청의 발전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4. 법왕청 설립취지 본 재단의 본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두고 각국의 본부를 설치 운영한다. (재)법왕청평화재단(Supreme Tathagata Followers Peace Foundation, (財)法王廳平和財團은 평화롭게 살기위한 인간의 능력 개발과 석가세존의 해명아래 진리와 대자대비 사상을 바탕으로 憲章헌장을 준수하며 세계인류 평화와 세계불교홍법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서는 찬란하였던 세계불교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후손들에게 전수하고 영구히 보존하여 세계불교사에 기리 남기고 세계인들이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협력으로 세계불교도간의 친선교류는 물론 유대를 도모하여 불교중흥과 중생제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법왕은 불교 전통을 유지보존하며 헌장의 목적에 위배된다고 생각되는 어떠한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 2. 법왕은 학식과 세계평화를 위해 봉사하고 자비와 수도를 통한 덕행으로 고위직에 오른 고승 대덕이어야 한다. 3. 법왕은 60세 이상으로서 고위서품을 받은 지 30년이 지나야 한다. 회원 : 1. 본 조직의 회원 자격은 모든 종교인 즉, 그의 활동, 지위, 직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3. 불교계의 큰 별 붕새의 원적 세계불교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큰스님이 불기2540년(1996년)6월 25일 오전 11시 40분 서울 종로구 신영동 93번지 세계불교 초대법왕 주석처에서 세수 83세 법납 64세로 입적, 원적에 드셨다. 세계불교법왕청 22개 회원국 대표와 함께 동국대 운동장에서 영결식을 거행하였고 전 조계종 총무원장 월주스님, 권익현 의원과 송석구 동국대 총장의 조사가 이어졌다. 영결식을 마치고 일붕큰스님의 법구는 1천 오백여 만장을 앞세우고 의령 일붕사(일붕법왕총본산)에 도착하여 많은 스님들과 신도들이 오열하는 가운데 노제 법의식이 진행됐으며 저녁 7시부터 법구를 연화대로 옮겨 1만 5천명의 참배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종도 스님들의 거화로 다비식이 진행됐다. 7월 3일 사리 습골 결과 영공 큰스님, 봉주 큰스님, 경우 큰스님의 증명으로 편골 사리 16과, 두정골 사리 6과, 비취색 영롱한 두발사리 15과, 치아사리 9과, 점사리 5과, 주홍사리 7과, 뇌수사리 9과, 쇄사리 6과, 미색사리 1과, 대소오색 영롱한 사리 9과 등 총 83과와 덩어리 사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