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可勉向正(가면향정)"힘써 바르게 향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可(가)'는 가능성을, '勉(면)'은 힘쓰고 노력함을, '向(향)'은 향하는 방향을, '正(정)'은 올바름을 나타냅니다. 즉, 우리는 노력하는 마음으로 올바른 길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爲福勿回(위복물회)"복을 이루려면 돌아보지 말라"는 말입니다. '爲(위)'는 만들다, 이루다를, '福(복)'은 행복과 복을, '勿(물)'은 하지 말 것을, '回(회)'는 되돌아보거나 후퇴함을 뜻합니다. 이는 우리가 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거의 후회나 망설임에 얽매이지 않고, 앞만 보고 나아가야 함을 말합니다. 내 마음 속에 근면(勤勉)이 깃들고, 정직(正直)을 실천하면 모든 것이 복이 되어 돌아옵니다. 이 말은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두 가지 덕목인 근면과 정직을 강조합니다. 근면은 시간을 헛되이 쓰지 않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입니다. 근면한 사람은 나태함을 버리고,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자기 역할을 다합니다. 이는 마치 밭을 갈고 씨앗을 심는 농부처럼, 미래를 위한 준비와 노력을 의미합니다. 정직은 진실을 말하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속이지 않는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는 일도, 도움을 주는 일도 참 많습니다. 하지만 여러분, 우리 마음속엔 늘 물음표가 하나 떠다니죠. “나는 과연 받는 사람이 될까, 아니면 주는 사람이 될까?” 받는 사람은 순간의 기쁨을 얻지만, 주는 사람은 영원의 빛을 남깁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이 빛나는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물위수혜자(勿爲受惠者) : 받는 자가 되지 말라! ‘물(勿)’은 하지 말라는 뜻이고, ‘위(爲)’는 행동하다는 말, 그리고 ‘수혜(受惠)’는 도움이나 은혜를 받는 것을 말하죠. 즉, 남의 도움에만 의지하며 살지 말라! 이 말씀입니다. 왜냐고요? 받는 데만 익숙해지면, 감사는 잊혀지고 욕심만 늘어납니다. 세상이란 게 참 신기해서, 받기만 하면 언젠가 그 손길은 멈추지만, 주는 마음은 끝없이 이어지는 법이니까요. 항위시여자(恒爲施與者) : 항상 주는 자가 되라! ‘항(恒)’은 변함없이, 언제나를 뜻하고, ‘시여(施與)’는 나누고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즉, 언제 어디서나 주는 삶을 실천하라는 말씀이죠. 주는 사람은 누군가를 밝히는 등불이 됩니다. 그리고 그 등불의 빛은 주는 사람의 삶도 환하게 만듭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오늘 우리는 "제행무상"이라는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을 나누고자 합니다. "제행諸行"은 모든 행위와 현상을 의미하며, "무상"은 영원히 고정되지 않고 변화한다는 뜻입니다. 즉, 이 세상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어떠한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진리를 가리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많은 변화를 경험합니다. 행복할 때는 그 행복이 영원하길 바라지만, 무상無常이라는 법칙 앞에서는 그 행복도 언젠가는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또한, 고통스럽거나 힘든 시기를 겪을 때 우리는 그 고통이 영원히 계속될 것처럼 느끼지만, 사실 그 고통조차도 무상합니다. 변화는 필연적이며, 이를 거부하기보다는 받아들이는 것이 지혜입니다.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면 우리는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좋은 일에 집착하거나, 나쁜 일에 절망하지 않고 그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그것이야말로 제행무상의 가르침이 주는 해탈의 길입니다. 여러분, 우리는 스스로의 삶에서도 무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젊음도, 건강도, 재물도 언젠가는 사라질 것입니다. 하지만 그 사라짐은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모든 것은 흘러가고, 변화하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 우리는 '자리이타'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자리이타'는 '자신의 이익을 도모함으로써 타인의 이익도 도모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불교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로, 우리 삶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혜와 자비의 길을 제시합니다. 먼저, 자리는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돌보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스스로에게 친절하며,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우리는 자주 자신을 돌보는 일을 소홀히 여기지만, 이는 결코 이기적인 행위가 아닙니다. 오히려 자신의 행복과 평화가 바탕이 되어야만 다른 사람에게 진정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잘 돌본 후, 우리는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내면의 평화를 찾고, 자비와 사랑으로 충만해지면, 그 에너지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전해집니다. 우리가 행복하면, 그 행복은 가족과 친구, 더 나아가 이웃과 사회에도 전파됩니다. 작은 친절과 배려의 행동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자리이타'의 실천은 일상 속 작은 일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충북 증평군 율리휴양촌 일원에 충북 최초 다목적 목조 호텔이 조성된다. 이재영 증평군수는 28일 군청 브리핑실에서 율리휴양촌 노후된 기존 생활관 건물을 철거하고 자연친화적 목조 호텔을 건립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2025년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로 국비 신청한 산림청 주관 국산목재 목조건축 실연사업에 10월 최종 선정됨에 따라 추진된다. 국산목재를 활용해 공공부문에 목조건축물을 신축하는 이 사업은 높이 18m, 연면적 3000㎡ 이상, 국산 목재를 50% 이상 사용해야 하며 이를 통해 탄소중립과 국산목재 활성화를 목표한다. 군은 국비 65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130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3951㎡, 4층 규모의 다목적 목재호텔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1층은 대강당, 다목적실, 휴게시설이, 2∼4층에는 33개의 객실을 갖춰좌구산휴양랜드의 부족한 숙박시설을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임신·육아 돌봄이 필요한 이용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숲속에서의 휴식과 힐링을 원하는 다양한 관광객의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좌구산휴양랜드 목재시설조성 기본계획 및 타당성 평가 용역'을 완료했으며, 지방재정투자심사와 공유재산 심
법왕청 신문 장규호 기자 | 이승화 산청군수가 국가를 위해 헌신한 어르신들이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집중 점검에 나섰다. 28일 산청군에 따르면 이승화 군수는 국가유공자 가정을 찾아 안부와 안전을 확인했다. 이번 점검은 올겨울 강력한 한파가 예상되는 가운데 건강과 안전이 우려되는 국가유공자의 생활 실태 파악을 통한 집중 관리를 위해 추진됐다. 이승화 군수는 국가유공자 4가구를 찾아 동절기 취약 부분을 비롯해 가족이나 이웃을 통한 긴급연락망, 폭설·한파 피해 방지를 위한 전기·수도 등을 점검했다. 특히 온열기기 안전사용법, 건강관리 수칙 등 고령의 어르신이 주의해야 할 부문에 대한 안내도 잊지 않았다. 이승화 군수는 "이번 겨울 국가유공자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따뜻하게 보내길 기원한다"며 "앞으로도 보훈가족이 촘촘히 섬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김포시자원봉사센터(센터장 신현실)는 지난 26일 김포아트홀 공연장에서 2024년 제27회 김포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자원봉사자의 날을 맞아 '시민과 함께 자원봉사로 통(通)하는 행복도시 우리김포'라는 슬로건으로, 이번 기념식에서는 97명의 자원봉사자와 4개 단체에 표창과 인증패, 감사패를 전수해 자원봉사자들의 헌신과 노고를 격려했다. 이날 신현실 김포시자원봉사센터장은 기념사에서 "김포시 자원봉사자분들이 자존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권익을 위해 앞장서며,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원봉사센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념식에 참석한 김병수 김포시장은 축사에서 "우리 김포의 빛과 소금이 돼주시는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감사하고, 늘 함께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올해 김포시자원봉사센터는 코로나19로 중단된 '참! 좋은 사랑의 밥차, 가족봉사단, 사랑의 집수리'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했으며, 자원봉사자의 전문역량 강화와 자긍심을 높이는 김포시자원봉사자대학을 개설해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재단법인 한국불교 명예의전당 출범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 우리는 불교의 근본적 가르침 중 하나인 ‘자타일여自他一如’와 우리의 본성인 ‘청정본연淸淨本然’의 의미를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불교는 언제나 우리에게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 답은 우리의 존재가 결코 홀로 떨어져 있지 않으며, 모든 생명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깨달음에서 시작됩니다. 자타일여(自他一如)의 의미 ‘자타일여’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나와 남이 하나다”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흔히 느끼는 ‘나’와 ‘남’이라는 분리는 실제로는 무지에서 비롯된 착각일 뿐입니다. 내가 기뻐하면 주변 사람도 기뻐지고, 내가 고통을 겪으면 그 고통이 곧바로 남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불교의 연기법緣起法은 이러한 상호 의존성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우리는 서로 분리된 독립체가 아니라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마치 바다의 파도가 서로 다른 모습처럼 보이지만, 결국 한 물결 속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습니다. ‘자타일여’를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더 이상 남을 나의 이익을 위해 이용하거나 해치려 하지 않게 됩니다. 남의 고통이 곧 나의 고통임을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깨달음은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상의 지도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지탱하는 높은 기둥과 같다. 이 기둥이 썩거나 무너지면, 그 아래에서 기대던 사람들은 갈 곳을 잃고 혼란에 빠질 것이다. 지도자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바로 불기자심不欺自心, 즉 자신을 속이지 않는 마음이 중요하다. 정치와 권력의 세계에서 이 가르침은 더욱 절실할 때인 것 같다. 불기자심不欺自心, 자신을 속이지 말라. 정치인은 사람들의 뜻과 마음을 모아 세상을 바르게 이끄는 존재이다. 하지만 스스로의 양심을 속이고 사리사욕과 권력 욕망에 눈이 멀면, 그 결과는 혼란과 분열로 이어질 뿐이다. 사람들의 눈은 잠시 속일 수 있지만, 자신의 양심은 결코 속일 수 없다. 정치적 판단과 행동의 순간마다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내가 내리는 결정이 진정 공익을 위한 것인가?" "이 길이 내가 떳떳하게 걸을 수 있는 길인가?" 지도자가 마음속에 품은 작은 탐욕은 결국 세상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강직한 양심만이 그 파장을 막을 수 있다. 독처무자기獨處毋自欺, 고독 속에서도 떳떳하라. 권력을 가진 자에게 유혹은 고독 속에서 더욱 강렬하게 다가온다. “이 정도는 괜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Diplomatic Journal, November, JPG, 외교저널 11월호 JPG 전체보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대한민국 최고의 미디어 불교컨텐츠 채널 목표 우리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힐링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법왕청신문이 운영하는 불교연합방송은 불자 및 일반인 대상으로 어렵고 생경生硬하게 느껴지던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본 채널은 불교다운 불교 신심나는 불교 존경받는 불교를 구현하겠습니다. 사부 대중이 꿈꾸면 불교가 달라집니다. 본 채널은 청청승가의 진면목과 수행가풍을 진작시켜 우리불교의 저력을 시방세계에 두루 나투도록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당신과 함께 역사를 쓰고 싶습니다. 당신과 함께 미래를 만들고 싶습니다. 씨앗을 뿌리고 가치를 키우고 함께 성장을 위한 성장의 역사를 만들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자연합방송은 법왕청신문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방송입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미디어 불교컨텐츠 채널 목표로, 우리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힐링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불교연합방송 불자 및 일반인 대상으로 어렵고 생경生硬하게 느껴지던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본 채널은 불교다운 불교 신심나는 불교 존경받는 불교를 구현하겠습니다. 사부 대중이 꿈꾸면 불교가 달라집니다. 본 채널은 청청승가의 진면목과 수행가풍을 진작시켜 우리불교의 저력을 시방세계에 두루 나투도록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당신과 함께 역사를 쓰고 싶습니다. 당신과 함께 미래를 만들고 싶습니다. 씨앗을 뿌리고 가치를 키우고 함께 성장을 위한 성장의 역사를 만들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벽사초불정사辟邪招佛精舍는 이름 그대로 "부정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이는 신성한 공간"으로, 불교의 깊은 전통을 경험하면서 현대 예술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입니다.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벽사초불정사,辟邪招佛精舍’ 약칭, 불정사佛精舍 "우주와 인간의 조화를 꿈꾸다."- "우주를 품은 달" 건립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