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시몽是夢스님의 오늘의 법문 / 馬祖一喝 마조일갈 馬祖一喝 百丈耳聾 木馬踏殺閻浮人 黃蘗聞擧 不覺吐舌 尼龍飮竭東海水 雷聲滿天搖須彌 不現平地波浪起 마조스님의 고함소리 마조의 고함소리에 백장이 삼일을 귀 먹음이여 나무 말이 염부제 사람들 다 밟아 죽인다. 황벽이 이 말을 듣고 저절로 혓바닥을 뺌이여 진흙 용이 바다물을 마셔서 말랐네! 우레 소리 하늘 가득 수미산이 흔들리고 불현듯 평지에서 파도가 일도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인생을 항상 낙관 '(樂觀)' 적으로 보고 나날이 즐겁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은 이런 관념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될 名言을 찾아봅니다. 먼저 '낙관 (樂觀)' 이란 한자어의 속뜻을 속속들이 밝혀 본 다음에.. 낙 (樂) 자는 나무 (木) 로 짠 틀위에 악기를 매달아 놓은 모습을 본뜬 것입니다. '즐겁다'(pleasant)는 [락], '풍류'(elegance)나 '음악'(music)은 [악], '좋아하다'(be tond of)는 [요]로 읽는다. 각각 따로 글자를 만들기가 귀찮아서 그랬나보다. 관(觀)자는 의미요소와 뜻이 완전히 똑같은 (見 볼견)매우 희귀한 예라 할수있다. 왼쪽의 것이 발음이 요소임은 관(灌 물댈 관)도 마찬가지다. '자세히 살펴보다' (observe)가 본뜻인데, '보다'(see) '모양'(appearance) '생각'(an idea) 등으로도 쓰입니다. 낙관(樂觀)은 '세상만사를 희망적이고 즐거운 [樂]것으로 봄[觀]'이 속뜻인데 '앞으로의 모든일이 잘 풀리것으로 여김' 이라는 뜻으로도 많이 쓰인다, 2500년 앞서 살았던 공자(기원전551~479), '論語' 옹야편 제18장에 이런 경험담을 남겨습니다. 즐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리는 누구의 부모이기 이전에 부모님들로 부터 태어난 자식이었음을 너무 자주 잊고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많다. 사대 육신 멀쩡할때 부지런히 정당한 일에 최선을 다하라 옛말에 될놈은 떡잎부터 안다고 했다. 육신 멀쩡한 사람이 부모 형제 지인들 등골 빼먹거나 기대어 산다면 바보 천치가 아니면 정신 이상자에 가까운 큰 병이 아닐지 나로 인해 타인의 도움이 되도록 살라! 누구에 덕만 보려 한다면 얻어먹는 거지 심보나 다름없다. 孝가 없어져가는 세상 도덕성이 우려된다. 우리들이 내몸 아끼려고 남을 혹사 시키려 한다면 언젠가 그 과보가 신상에 지옥길이 닥친다 빼먹을대로 다 빼먹었다 싶으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얼굴만이라도 좀 보여달란 부모들의 간절한 소망까지를 외면해버린다. 해야 할 일이 있다면 꼭 하고 싶었던 일이 있다면 언제 죽을 줄 알고 미루는가? 언제 세상이 끝날 줄 알고 다음으로 미루기만 하는가?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책을 펴는 첫 단계는 '자기의 어리석움'을 발견하기 위함입니다. 쌓은 '학문'으로 자기 부족을 '통감'하지 못한 자가 택한 '종교'는 "포장된 힘으로 자기 행위를 정당화하는 잔인한 무기"가 될수있습니다. 사람들은 "모든 종교가 정상에서 한길로 합치된다"고 생각하고. "인격(양심)은 많은 지식과 비례한다"는 착각을 하고 있습니다. 대중의 갈채속에 "세상을 홀리는 위광(威光)"이 탄생하는 배경입니다. 학문에 만족하는 자는 세상에 속고 자신에게도 속습니다. 따라서,지식으로 승부하려는 자를 대응하지 마십시오! 눈에 보이는 것을 쫓는 사람을 설득하려 들지 마십시오! 그러나 때가 되면 그들도 혹시 깨닫게 될수도 있습니다. -지혜의 근본-옮긴글-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노력없이 막연한 긍정이나 기대만 갖거나 혹은 충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열매만 기다리는 것은 어리석다고 말하고 있다. 세상에 저절로 거저 되는 일은 아무것도 없는 것 같다. 탐내는 마음이 없으면 두려움도 없다. 적든 많든 순리따라 내게 주어진 것은 씨앗뿌려 노력한 결실이니 떳떳하다. 노력없이 얻어지는 것은 쉽게 생각하고 소중함을 모른다. 정당한 노력없이 탐욕으로 얻은 것은 도둑질 강도질 사기쳐서 얻은것과 다를바 없다. 남에 것 함부러 널름거리는 살쾡이 같은 짓을 서슴없이 하는 탐욕심 많은 사람은 허구헌날 늘상 불평불만이 많다. 육신 정신 멀쩡하면 스스로 열심히 노력해서 살라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된다 싶은 일은 오히려 두려움이 대상이 아니라 가능한 대상이다. 매일 쌓아가는 작은 노력은 그 일이 이루어지도록 해 줄 것이다. 재주와 능력이 있어도 노력이 없다면 의미가 없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태어났지만 이를 잘 개발하지 않아서 성공하지 못한 경우도 허다하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앞으로 남은 생(生) 어떻게 살 것인가? 설령 다짐한다고 해서 그렇게 살아질런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오늘 하루만은 내 자신을 돌아봐야한다. 모든 재앙은 욕심에서 부터 비롯 된다. 베품과 나눔없는 세상은 지옥이나 다름없다. 이해와 용서없는 세상도 아비규환 지옥과 다름없다. 모든 갈등과 증오 원망과 미움역시 탐욕에서 생긴다. 내안에 괴물같은 욕심을 쫓아내면 세상이 행복동산 기쁨과 즐거운 세상 된다. 이 봄이 우리에게 주는 숙제를 풀면 자연섭리 향기로움 무병장수 명약이다. 자기 자신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나약함의 상징이지만 타인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힘의 상징이다. 당신이 만약 햇빛과 따사로운 물기를 받아들이려 한다면 천둥과 번개 또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거룩하고 즐겁고 활기차게 살아라. 믿음과 열심에는 피곤과 짜증이 없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이 있다. 그 공간의 크기가 우리의 성장과 자유를 결정한다. 마음을 고요하게 안정시켜 사물을 마주할 수 있다면 배우지 않았더라도 덕 있는 군자라 할 수 있다. 나만 특별한 것 처럼 요란떨지 말라! 너도 사람 나도 사람 사람안에 너 있고 나 있다. 사람 밖에도 너 있고 나 있다. 나만 사람이라 고 남을 무시하고 멸시 하면 사람에 탈을 쓴 짐승만도 못한 위선자 들이나 뻔뻔스럽게 하는 짓이다. 단 하루를 살더라도 사람답게 살다가야 한다. 내가 지금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알아야 한다. 어려워 졌다면 잘난척 함을 버려라. 그리고 여기서부터 시작 하는 것이다. 이것이 수행의 근본이다. 재물 부자이면 걱정이 한 짐이요. 마음 부자이면 행복이 한 짐인 것을, 죽을 때 가지고 가는 것은 마음 닦는 것과 복 지은 것뿐이라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경험은 무슨일을 할지를 말해주며 자신감은 그 일을 할수 있게 해준다. "즉시, 반드시 될 때까지 하라!" 중요한 것은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느냐 보다는 어디를 향하고 있느냐이다. 이세상 모든일이 내 맘대로 되길 바라지 말라! 순리대로 따라가다 보면 그냥 왔다가는 보람 본전은 찾는다. 내가 오래 살고 싶다 하여 무병장수(無病長壽)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세상 살기 싫다 하여 일찍 가는것도 쉬운일이 아니다. 너무 오래 살려고 발버둥칠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상살기 싫다 어리석은 짓도 다 부질없는 욕심때문 이다. 하루하루 사는것을 무엇 때문이다. 누구 때문이다 . 부질없는 망상속에 아까운 시간 다 까먹고 빈 보따리 들처메고 북망산천 찾아가네 실패란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실천력이 부족해서이다. 불만은 자신감의 결핍이고 나약한 의지의 표출이다. 손을 주머니에 넣고 성공의 사다리에 오를수 없다. 숙고할 시간을 가져라. 그러나 일단 행동할 시간이 되면 생각을 멈추고 돌진하라. 자신의 마음이 무엇을 윈하는지 주의깊게 귀 기울이고, 최선을 다해 그것을 선택해야 한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아름다운 눈을 가진 사람은 나쁜 것을 보지 않아요. 마음을 맑아지는 것을 좋아하지요. 새겨듣는 귀를 가진 사람은 나쁜말을 듣지 않아요. 고요한 마음을 좋아하지요. 지혜로운 사람은 나쁜자리 나쁜길을 걷지않아요. 여유롭고 평온한 길을 좋아하지요. 깨끗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나쁜 마음을 먹지 않아요. 맑고 밝고 환한 것을 참 좋아하지요. 따뜻한 가슴을 가진 사람은 아프고 상처받을 일을 만들지 않아요. 진실앞에서 함께하는 마음을 좋아하지요. 좋은 사람-中에서-펌- -승소-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가만히 있는 것은 영원이 아니다. 끊임없이 끝없이 움직이는 것. 그것이 바로 영원이다. 봄은 왔으나 그 봄은 간다. 오늘이 왔으나 그 오늘도 간다. 너와나 모두가 이 세상에 왔으나 결국은 돌아간다. 어리석으면 오고 가는 순리를 무시하고 머무르거나 영원 할 것 처럼 착각 한다. 오늘 이 순간이 눈 깜짝할새 지나 가는데 어리석은 집착에 착각과 망상의 원인을 만든다. 순리대로 살면 조용히 왔다 조용히 살다가 조용히 간다네 부처는 만물이 무상하다고 말했고 공자는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지나가는 것을 보았으며 서양의 아우구스트는 흐르는 물에서 발을 씻다가 같은 물에 두 번 발을 씻을 수 없음을 알고 시간을 보았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대복사 회주 시몽是夢스님의 회고懷古 我本早意敎 參訪善知識 歸來晩叩禪 一菴藏殘影 笑而我母蹟 醉事溺佛事 怖亂三十年 造佛釣烏兎 나는 본시 敎學에 뜻을 던져 천하의 선지식을 두루 찾았네 늦게서야 돌아와 禪門을 두드리고 작은 菴子에 이 한 몸을 감췼다. 우습다 내가 살아온 지난 날 발자취 일에 취하고 佛事에 빠졌네 괴이하여라 삼십년을 하루같이 造佛造塔 하느라 세월만 낚았구나.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나무는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고 강물은 강을 버려야 바다에 이른다. 바다는 비에 젖지 않는다. 수처작주 입처개진 어디서라도 스스로 주인이 되면 가는 곳마다 참된 진리가 되리니 네가 영혼을 가진 것이 아니다 네가 바로 영혼이다. 사람들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홀로 숲속에 사는 것은 진정한 은둔이 아니다. 진정한 은둔이란 좋고 싫음의 분별로 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너 자신을 등불로 삼고 너 자신에게 의지하라. 너 자신 밖의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고 오직 너 자신에게 전념하라.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날개를 달아주고 다시 돌아올 뿌리를 주며 머무를 이유를 주어라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오늘의 우리는 과거의 우리가 생각한 모습이다. 인간은 생각한 대로 이루어진다. 당신의 자비와 이해 그리고 자유가 있다면 어디를 가든 천국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릇은 비어 있어야만 무엇을 담을 수가 있다. 나는 어떤 행동에도 변하지 않고 닥쳐오는 운명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 그러나 행동하지 않는 사람에게 닥쳐오는 운명은 믿는다. 나 아닌 누구도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스스로 길을 걸어가야 한다. 인생 최고의 목표는 타인을 돕는 것
법왕청신문 이정하기자 | 사람들은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면 천국에 있는 듯 좋아하고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지옥에 떨어진듯 괴로워 한다.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고 이루어지지 않는 사이에서행과 불행이 돌고 도는 이 고락을 선인들은 모두 '고苦'라고 한다. 비록 지금 '낙樂'이라 해도, 그 힘이 다하면 곧 고로 전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락의 사슬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면 “바라는 바가 이루어져야 행복하다”는 가치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바라는 바가 있으면 안 된다는 게 아니다. 바라는 바는 누구에게나 다 있지만 그것이 어느때는 이루어지기도 하고 이루어지지 않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바라는 바가 이루어진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일도 아니고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반드시 나쁜 일도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라는 마음을 내려 놓음으로써 지옥도 사라지고 천당도 사라지는것이오니 이것이 진정한 자유의 길 해탈의 길이다. 천국과 지옥은 천상이나 지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삶 속에 있는 것이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순간을 사는일이 하루를 만들고 하루를 사는일이 一生을 이룹니다. 하루를 사는일이 마지막처럼 정성을 다하고 하루를 사는일을 평생을 사는것처럼 길게 멀리 볼 일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젊은 날의 시간을 의미없이 낭비하고 뒤늦게 지난 시간으로 돌아갈수 있다면 다르게 한번 살아볼텐데 하며 후회하고 아쉬워 합니다. 한번 지나가면 다시 살아볼수 없는 시간 순간의 시간을 뜨겁게 사랑하며 살아야 합니다. 하루를 사랑으로 사는 일이란 너그러워지고 칭찬하고 겸손하고 진지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루를 사랑으로 끝내는 일은 반성하고 감사한 마음을 갖는 것을 뜻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마음으로 행복한 하루를 바라봅니다. -하루를 사는일-中에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것은 오직 한 걸음 을 내딛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걸음 항상 같은 걸음일지라도 내딛어야 한다. 생명은 존재에게 주어진 최고의 선물이다. 영원성 생명 현실의 놀라운 구조를 숙고 하는 사람은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 모든 생명은 참으로 고귀하다. 같은 하늘아래 항하사 모래알 처럼 수많은 생명들이 나고 죽는다. 수많은 생명들 중에서 인간의 몸을 받기란 수억만년 덕행을 쌓고 베풀어도 다시 받을까 말까 하는데 이토록 받기 어려운 이내 몸을 어찌하여 함부러 쓰다가 쓰레기 보다 못한 최후를 맞는가? 누구나 생명의 존귀함을 잘 알고 보람있게 쓰다가 내려놓고 가는것이 아름다운 회향 이다. 우리의 생각과 삶, 그리고 지금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우리가 자연으로부터 받은 수명은 비록 짧지만 잘 소비된 일생의 기억은 영원하다 자신의 생명이 존귀하다는 것을 자각하는 속에서의 삶은 더욱 큰 환희를 안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