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선(禪, Zen)이란 무엇입니까?”“선이란 진정한 이치를 사유思惟하고 생각을 고요히 하여 마음을 한곳에 모아 고요한 경지에 이르는 것인데, 이를 닦는 것을 흔히 참선參禪이라고 합니다. 참선은 자기 마음의 본성이 무엇인가를 깊이 탐구하여 깨닫는 노력으로 타율他律이 아닌 자율적인 수행, 다시 말하면 자기 자신을 올바른 진리의 세계에 참여시켜서 흔들림이 없고 티 없는 마음의 세계에서 자기의 본성을 비추어 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교에서는 이것을 견성見性이라 합니다. 깨달음이란 글자 그대로 자신의 본성을 파헤쳐 보았다는 뜻입니다. 마음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심리학이라면, 마음을 주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선학禪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선학을 심학心學 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선이란 불교 종지의 으뜸가는 선종(禪宗: 敎宗에 대비되는 宗)의 수행을 가르치는 것입니다.”“지금 미국에서 가르치시는 선은 부처님 시대부터 내려오는 것입니까? 아니면 직접 창안하신 것입니까?" “고다마 싯다르타가 살아 계셨을 때는 인도의 요가학파와 비슷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정定과 혜慧를 겸하게 했습니다. 이후 중국의 당唐, 송宋, 명明에서 많은 발전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68년, 일붕이 미국에 온 지 햇수로는 5년째, 법랍으로는 37세이고 세속의 나이로는 55세가 되던 해 무신戊申년. 국내에서는 김신조 일당 무장공비 31명 청와대 습격,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피납, 향토예비군 창설, 국민교육헌장 선포, 김종필 정계 은퇴 선언, 조지훈 사망, 제주도 비행장 국제공항 승격 등이 있었으며 국제적으로는 미 흑인 지도자 킹 목사 암살, 로버트 케네디상원인 대통령 후보 경쟁 중 피살, 재클린 오나시스와 결혼, 닉슨 미 37대 대통령 당선 등이 있던 해이다. 한미관계에서는 박정희와 존슨의 한미정상회담, 한미농산물협정 체결, 박정희 대통령 방미 등이 있었다. 장래가 촉망되던 케네디가 42세의 나이로 괴한의 저격으로 숨지기 한 달 전인 8월 초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市의 한 공증인의 서명이 첨부된 한 통의 기증서가 일붕 앞으로 배달되었다. “관계자에게. 우리 델 H. 휘셔, 로이스 휘셔, 그리고 스탠리 휘셔서는 존 왈 코트로부터 델 H. 휘셔라 사들인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 버그 근처 질레스에 위치한 수프 더스틴 장사에 있는 90에이커의 토지를 한국 불교 조계종의 서경 보스님께 기증한다. 이 토지는 서경 보스님이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붕이 하와이에서 일본 불교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던 그해에는 미국의 존슨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고 한미행정협정의 조인 등 한미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험프리 부통령, 버거 국무성 차관보, 러스크 국무장관 등이 잇달아 방한했고 한미평화봉사단협정에 서명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전 내각 수반을 지낸 장면 씨의 사망(6월 4일), 김기수 선수 세계 주니어미들급 챔피언 획득(6월 25일),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7월 29일) 등의 기억할만한 일들이 있었다. 한국과 미국 간에 정부와 정부 또는 각료와 각료 사이에 맹방으로서의 유대를 다지고 있을 때 일붕은 학문과 인격, 그리고 수행에서 우러나온 참선을 갖고 조용히 미국 곳곳을 뒤흔들며 한국의 이미지 제고에 이바지하고 있었다. 다음 글은 일붕이 하와이대학에서 공개강연을 통해 발표한 <왜 불교를 배우는가>란 주제를 간추린 것이다. 불교는 많은 분야가 모여 성립되었으며 깊고 오묘한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종교이기도 하지만 철학과 과학이기도 하다. 선을 포함한 불교를 우리가 필요로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먼저 종교로서의 불교는 자비의 종교다. 자비의 목적은 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붕은 문화적인 배경과 종교의 성향상 극과 극을 달리는 미국인에게 동양, 특히 한국 고유의 선을 어떻게 이해시켰는가. 이 점은 ‘일붕 붐’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미국에 불교를 소개했던 사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각국이 미국에 진출한 교포를 상대로 하는 경우이고 또 하나는 학문적인 차원에서 유럽처럼 지식인 위주로 연구되는 경우이다. 그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포교는 없었다고 보인다. 일본인 불교학자 스즈키 다이세쯔 같은 사람은 일본 불교의 학문적인 이식에 성공한 사례고 일붕을 미국에 초청했던 중국 승려 禪師 같은 사람은 교포를 상대로 포교하기 위해 도미 渡美한 상자에 해당한다. ‘일붕 붐’은 이 두 가지의 사례를 겸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시범을 보이면서 미국인 엘리트를 상대로 파고든 전략이 성공한 탓에 일어난 것이다. 포교는 원칙적으로 밑으로부터 위로 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기독교의 세계화를 성취한 고전적인 전략이다. 그러나 일붕은 현지 상황을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여 그러한 포교 방법이 통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예외적인 전략, 즉,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포교에 진력했다. 하지만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또한 일붕은 세상을 경악케 했던 사이비종교의 발호에 대응하는 의미에서迷信과 正信이란 글을 일간지에 싣기도 했다. 사이비종교 단체들이 신들을 비난하는 사람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해害를 끼치던 때였기 때문에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 글에서 일붕은 인륜과 도덕을 무시하고 해악을 끼치는 행위는 결코신, 그리고 정교와 사교의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성종교로서 세계적인 신앙으로 자리 잡은 종교라 할지라도 시대의 추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곤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점은 어느 종교도 마찬가지다. 즉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종교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열렬한 기독교 신앙을 가졌으면서도 당시의 목사나 선교사의 설교를 이렇게 비판했다. “금과옥조金科玉條같이 믿는 성경 가운데도 어느 시대이건 만인 모두가 받들어 행할 것이있고 너무도 맹랑하고 허황되어 돌아볼 가치가 없는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어리석은 교인들은 시대에 맞는 심금을 울리는 교리는 찾으려 하지 않고 원시시대의 신화와 같은 예수의 기적만을 가지고 떠들고 선전하고 있으니 가증스럽고 딱 한 일이다. 기독교는 이런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내부적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하처래 하처거(何處來 何處去). 우리 인간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 인간은 태어나기 이전의 곳도 모르고 죽음 그 이후의 곳도 알 수 없다. 부처님(佛陀)은 바로 이러한 삶의 이치를 한 조각 뜬구름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의 스러짐이라고 말했다. 나는 무엇일까. 누구나 예외 없이 겪는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거치는 우리의 인생은 무엇일까. 왜 태어나고 죽을까. 삶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고 죽음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무엇을 기쁨이라 이르고 무엇을 슬픔이라 이를까. 삶과 죽음의 경계는 어디일까….… 그는 이러한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답을 얻으려 세정(世情)을 끊고 불제자가 되었고, 얻고자 하는 답에 가까이 가려 참선을 통한 수행에 몰두했다. 아니 지금도 고통받는 중생들을 위한 수행을 계속하고 있다. 서기 1914년(불기2458년)음력 5월 9일 술시,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 331번지에서 徐成賢·李卯生 부부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일붕은 어릴 때부터 총기가 넘쳐 할아버지 鳳辰 선생의 전폭적인 뒷받침을 받으며 당시 제주의 제일가는 문장이자 덕망가였던 외삼촌 선생께 한학을 배웠다. 민족정신이 투철했던 할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밤과 낮이 한국과는 정반대로 뒤바뀌는 외국에서 온갖 고생을 다 겪으시며 보조가풍(普照家風)을 선양하여 포교하시니, 동방의 제2 보조요, 서양의 제2달마올시다… 서 박사의 미국 포교로 인하여 미국인이 한국의 삼보 사찰인 <통도사, 通度寺> <해인사, 海印寺> <송광사, 松廣寺>를 친견할 풍조가 깊다는 문구를 읽고 화상의 의덕(義德)을 칭송하오며 결제 후에 만나 뵙길 원하나이다.” 이 글은 임자년(壬子年, 서기 1972년) 2월에<송광사> 구산(九山) 스님이 서경보 법왕님께 보낸 편지의 한 부분입니다. 이 편지를 받았을 당시 법왕님께서는 제3차 미국 포교를 마치고 귀국하여 동국대 불교 대학장으로 계실 때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불행하게도 인물을 제대로 키우고 대접하는 역사를 가져보지 못했습니다. 그릇된 사대주의에 젖어 인물마저 외국인은 높고 내국인은 낮다는 식의 평가를 했습니다. 그 때문에 훌륭한 업적을 남긴 우리의 조상들이 빛을 보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흔적 없이 사라졌습니다. 오히려 국내에서는 홀대를 받다가 외국인이 인정하니까 뒤늦게야 연구에 착수하고 법석을 떠는 일이 있었습니다.